쿠바 미사일 위기는1962년10월 14일, 미국 측의 첩보기록히드 U-2에 의해쿠바에서 건설중이던소련의SS-4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기지의 사진과, 건설현장으로 부품을 운반하던선박의 사진이 촬영되면서 시작된 미국과 소련과의 대립을 뜻한다.2015년 1월 24일에는 이 사건을 다룬 결정판으로 평가받은마이클 돕스의 저서 《0시 1분 전》이 대한민국에 출간되었다.
1961년 미국이 이탈리아와 터키에주피터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고,쿠바 침공을 시도하는 등 군사적 긴장이 심화되었다. 또한중국과 마찰을 빚고 있었던 소련은 쿠바가 친중으로 기우는 것 또한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1961년 베를린 위기를 겪으며 국내 정치적으로도 압박을 받고 있었던 흐루쇼프는 미국에 뒤쳐진 핵 전력을 만회하고,쿠바의 신생 공산 정권인카스트로 정권을 보호하며, 서방 세계와의 협상 카드로 쓰기 위해 쿠바에 장거리 미사일 기지 설치를 비밀리에 추진하게 된다.[1]
미국 정부는 소비에트 연방의 쿠바에서의 미사일 기지 건설을 무력시위라고 주장하여, 미사일 기지의 완공을 강행한다면 이를 선전포고로 받아들일 것이며,제3차 세계대전도 불사하겠다는 공식성명을 발표했다. 전 세계는케네디대통령의 과격한 발언에 의해 또다시 전 세계적 규모의 전쟁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떨었고, 학교와 가정에서 대피훈련과 방공호를 파는 작업이 실시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가기에 이르렀다. 미국과 소련의 필사적인 외교에 의하여 소련측의 미사일 기지 건설이 중지되고, 그에 대한 대가로 터키에 있던 미국의 주피터 MRBM 기지를 철수시킨다는 조건하에 사태가 종결됨으로써, 세계는 전면핵전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위와 같이, 쿠바 미사일 위기란소비에트 연방이쿠바에 미사일을 배치하려는 것에 대해 일어난, 미국과의 군사적 대립으로 인한 위기이다. 러시아 측에서는카리브해 위기, 쿠바 측에서는10월 위기라고 부른다.1962년10월 14일,U-2 기에 의한 첩보 사진에 쿠바에 건설 중인 미사일 기지의 사진이 촬영되면서 촉발되었다. 미국의 케네디 행정부는 소련에 의해 쿠바에 설치된 미사일의 즉각적인 제거를 요구하였다. 이 미사일은 미국이 터키와 중동에 설치한 핵미사일에 대응한 것이었다. 소련이 이 요구를 받아들이고, 수개월 내에 쿠바의 모든 미사일을 철수한다는 조건을 내걸었으며, 미국은 터키, 그 밖의 중동국가에 설치된 ICBM기지를 은밀히 제거한다는 내용의 조약을 체결하였다. 케네디는 또한 앞으로 쿠바를 침략하지 않겠다는 데에 동의하였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여파로피그스만 침공에서 붙잡힌 쿠바 출신 망명자들은 미국이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