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쿠바 미사일 위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영어 위키백과Cuban Missile Crisi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신뢰성 있고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의 일부
날짜1962년10월 14일-10월 28일
장소
결과

소련군 철수

  • 쿠바에서소련 핵무기 철수
  • 터키-이탈리아에서 미국 핵무기 철수
  • 미·소 양국이 선포없는 쿠바 침공을 자제하기로 합의
  • 미·소 양국 사이 전화선이 개통됨
교전국
바르샤바 조약 기구북대서양 조약 기구북대서양 조약 기구
지휘관

소련니키타 흐루쇼프
소련아나스타스 미코얀
소련로디온 말리놉스키
소련이사 플리예프
소련게오르기 아바스빌리
쿠바피델 카스트로
쿠바라울 카스트로

쿠바체 게바라

미국존 F. 케네디
미국로버트 F. 케네디
미국로버트 맥나마라
미국맥스웰 테일러
미국커티스 르메이
이탈리아안토니오 세니
이탈리아줄리오 안드레오티
이탈리아아민토레 판파니

튀르키예카말 귀르셀
쿠바의 역사
Historia de Cuba

쿠바 미사일 위기1962년10월 14일, 미국 측의 첩보기록히드 U-2에 의해쿠바에서 건설중이던소련SS-4준중거리 탄도 미사일(MRBM) 기지의 사진과, 건설현장으로 부품을 운반하던선박의 사진이 촬영되면서 시작된 미국과 소련과의 대립을 뜻한다.2015년 1월 24일에는 이 사건을 다룬 결정판으로 평가받은마이클 돕스의 저서 《0시 1분 전》이 대한민국에 출간되었다.

배경

[편집]

1961년 미국이 이탈리아와 터키에주피터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배치하고,쿠바 침공을 시도하는 등 군사적 긴장이 심화되었다. 또한중국과 마찰을 빚고 있었던 소련은 쿠바가 친중으로 기우는 것 또한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1961년 베를린 위기를 겪으며 국내 정치적으로도 압박을 받고 있었던 흐루쇼프는 미국에 뒤쳐진 핵 전력을 만회하고,쿠바의 신생 공산 정권인카스트로 정권을 보호하며, 서방 세계와의 협상 카드로 쓰기 위해 쿠바에 장거리 미사일 기지 설치를 비밀리에 추진하게 된다.[1]

개요

[편집]
쿠바의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기지 항공 사진

미국 정부는 소비에트 연방의 쿠바에서의 미사일 기지 건설을 무력시위라고 주장하여, 미사일 기지의 완공을 강행한다면 이를 선전포고로 받아들일 것이며,제3차 세계대전도 불사하겠다는 공식성명을 발표했다. 전 세계는케네디대통령의 과격한 발언에 의해 또다시 전 세계적 규모의 전쟁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떨었고, 학교와 가정에서 대피훈련과 방공호를 파는 작업이 실시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가기에 이르렀다. 미국과 소련의 필사적인 외교에 의하여 소련측의 미사일 기지 건설이 중지되고, 그에 대한 대가로 터키에 있던 미국의 주피터 MRBM 기지를 철수시킨다는 조건하에 사태가 종결됨으로써, 세계는 전면핵전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성격

[편집]

위와 같이, 쿠바 미사일 위기란소비에트 연방쿠바에 미사일을 배치하려는 것에 대해 일어난, 미국과의 군사적 대립으로 인한 위기이다. 러시아 측에서는카리브해 위기, 쿠바 측에서는10월 위기라고 부른다.1962년10월 14일,U-2 기에 의한 첩보 사진에 쿠바에 건설 중인 미사일 기지의 사진이 촬영되면서 촉발되었다. 미국의 케네디 행정부는 소련에 의해 쿠바에 설치된 미사일의 즉각적인 제거를 요구하였다. 이 미사일은 미국이 터키와 중동에 설치한 핵미사일에 대응한 것이었다. 소련이 이 요구를 받아들이고, 수개월 내에 쿠바의 모든 미사일을 철수한다는 조건을 내걸었으며, 미국은 터키, 그 밖의 중동국가에 설치된 ICBM기지를 은밀히 제거한다는 내용의 조약을 체결하였다. 케네디는 또한 앞으로 쿠바를 침략하지 않겠다는 데에 동의하였다.

쿠바 미사일 위기의 여파로피그스만 침공에서 붙잡힌 쿠바 출신 망명자들은 미국이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2]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쿠바 미사일 위기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Jonathan R. Adelman and Deborah Anne Palmieri,The Dynamics of Soviet Foreign Policy (New York: Harper&Row, 1989), 268-270.
  2. Leslie Bethell. 《Cuba》. 
USA  · USSR  · ANZUS  · NATO  · NAM  · SEATO  · WarPac
서방권  · 동구권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동결분쟁
대외 정책
이데올로기
조직
프로파간다
경쟁
더 보기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바_미사일_위기&oldid=4049238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