쾨펜의 기후 구분(영어: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이란,독일의 기후학자블라디미르 쾨펜(Wladimir Peter Köppen)이 식생분포에 주목하여1918년에 발표한 기후 구분이다.[1]1936년 쾨펜의 수정안이 발표되었으며,[2] 이후독일의 기상학자루돌프 가이거가1954년과1961년에 쾨펜의 기후 구분을 수정하였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쓰이는 쾨펜의 기후 구분은 가이거가 수정한 것이다.쾨펜-가이거 기후 구분이라고도 한다.[3]
기후의 구분은기단과 같은 기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발생적 기후 구분과 식생의 분포와 같은 기후의 결과를 관찰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 나뉜다. 쾨펜의 기후 구분은 식생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는 경험적 기후 구분으로[2], 기온과 강수량의 2가지 변수에 의한 단순한 계산으로기후를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다.[3]
쾨펜의 기후 구분은 분류 기준이 간결, 명확하고 식생, 풍토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어, 현재에도 기후, 산업, 문화, 농업을 논하는 데 있어 빠뜨릴 수 없다. 그러나 식생에만 주목하고 있어 인간 생활등의 감각에 친숙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아시아와아프리카의 기후에 대해서는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2006년 빈 수의학 대학교의 수의학 공중 보건 연구소가 독일 오헨바흐의 지구 기상학 활성화 센터와 공동으로 발간한 쾨펜-가이거 기후도에는 Cfc, Csc, Cwc, Dsa, Dsb 및 Dsc 기후 구분은 매우 협소한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Dsd 기후 구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8]
↑MARKUS KOTTEK, JÜRGEN GRIESER, CHRISTOPH BECK, BRUNO RUDOLF and FRANZ RUBEL,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보관됨 2009-03-27 -웨이백 머신, Biometeorology Group, University of Veterinary Medicine Vienna, Vienna, Austria,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Centre, Deutscher Wetterdienst, Offenbach, Germany, by Gebrüder Borntraeger 2006 - 관련 원문(4쪽): "one of these classes (Dsd) does never occur in this map and some others (Cfc, Csc, Cwc, Dsa, Dsb and Dsc) occur only in very smal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