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한국철도공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레일에서 넘어옴)
코레일은 여기로 연결됩니다.대전광역시축구 팀에 대해서는대전 코레일 FC 문서를, 폐지된 정부 기관에 대해서는대한민국 철도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철도공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도시 철도 운영공기업에 대해서는도시철도공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AIL)
한국철도공사가 위치한철도기관 공동사옥
형태준시장형 공기업
약칭
한국철도, 철도공사, 코레일(KORAIL)
창립2005년1월 1일
창립자대한민국 정부
서비스철도여객(KTX,ITX-청춘,ITX-새마을,ITX-마음,무궁화호,누리로 등)
화물운송
부대사업
복합역사 개발 등
전신철도청
본사 소재지대전광역시동구중앙로 240 (소제동철도기관 공동사옥)
매출액6조 5,281억 4,474만원 (2024년 별도회계기준)
영업이익
감소1,113억 6,180만원 (2024년 별도회계기준)
자산총액28조 9,987억 2,305만원 (2024년 별도회계기준)
주요 주주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100%
종업원 수
32,380명(2024년 3분기 기준)
자본금10조 9,975억 5,169만원 (2024년 별도회계기준)
슬로건사람·세상·미래를 잇는 대한민국 철도
새로 여는 미래교통 함께 하는 한국철도
마음을 잇다, 당신의 코레일
웹사이트https://info.korail.com/info/index.do
https://www.letskorail.com/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영어:Korea Railroad Corporation, 약칭한국철도 또는철도공사 또는코레일(영어:KORAIL))는대한민국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국토교통부 산하의공기업이다. 본사는대전광역시동구중앙로 240 (소제동철도기관 공동사옥)에 있으며 한국철도공사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연혁

[편집]

조직

[편집]
  • 본사: 7본부 10실 7단 62처
  • 소속기관(현업): 8지역본부 및 4지역관리단 20부속기관
  • 정원: 32,380명 (2024년 3분기)

본사

[편집]
  • 비서실
  • 감사실
    • 감사기획처
    • 종합감사처
    • 경영감사처
    • 청렴조사처
  • 안전기술총괄본부장
    • 안전본부
      • 안전계획처
      • 산업안전처
      • 시민안전처
      • 안전분석처
      • 환경경영처
      • 비상계획처
      • 관제실
      • 철도교통관제센터
    • 차랑본부
    • 차량계획처
    • 고속차량처
    • 일반차량처
    • 전동차량처
    • 철도차량정비단
    • 차량기술센터
  • 시설본부
    • 시설계획처
    • 선로관리처
    • 건설시설처
    • 철도시설안전합동혁신단
    • 고속시설사업단
  • 전기본부
    • 전기계획처
    • 전철전력처
    • 통신처
    • 신호제어처
    • 고속전기사업단
    • 서울정보통신사무소
  • 부사장
    • 법무실
  • 기획조정본부
    • ESG경영처
    • 전략기획처
    • 기획예산처
    • 경영평가처
    • 재무경영실
      • 재무회계실
      • 자금물자처
      • 상생계약처
    • 회계통합센터
  • 인재경영본부
    • 총무처
    • 인사기획처
    • 인사운영처
    • 노사상생처
    • 복지후생처
    • 인제개발원
  • 디지털 융합본부
    • 디지털기획처
    • 디지털경영처(정보보안센터)
    • IT운영센터
    • 철도연구원
  • 여객사업본부
    • 여객계획처
    • 역운영처
    • 여객서비스처
    • 고객마케팅단
    • 열차운영단
    • 특별동차운영단
  • 물류사업본부
    • 물류계획처
    • 물류마케팅처
    • 물류수송처
  • 광역철도본부
    • 광역계획처
    • 광역마케팅처
    • 광역운영처
  • 신성장 사업본부
    • 신성장기획처
    • 자산운영처
    • 신성장개발처
    • 해외남북철도사업단
      • 국제협력처
      • 해외사업1처
      • 해외사업2처

지역본부

[편집]

소속기관

[편집]

철도차량정비단

[편집]

계열사

[편집]

스포츠단

[편집]

사업 분야

[편집]

시설

[편집]
  • 영업거리: 4,131.2km (100개 노선) (2022년12월 31일 기준)
    • 고속선: 595.9km
    • 준고속선: 326.1km[12]
    • 일반선: 3,209.2km
    • 복선거리: 2,885.4km (69.8%)
    • 전철거리: 3,231km (78.2%)

보유 차량

[편집]

여객객차 및 발전차, 화차는2024년 기준 나머지는2025년 기준이다.

철도 문화재

[편집]

한국철도공사에서는2011년2월 7일 『철도문화재 관리 지침』을 제정하여 사(社) 소유의 철도 유물을 철도기념물과 준철도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철도기념물

[편집]

철도사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철도유물 중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사장이 지정한 것이다. 다만, 문화재청장이 이미 등록한 문화재는 제외한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제작자
(단체)
지정일제작시기
1호증기기관차 터우 5형철도인재개발원서울공작창2012년1월 31일 지정1935년
2호디젤전기기관차 4102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1월 31일 지정1966년
3호디젤전기기관차 4201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1월 31일 지정1967년
4호디젤전기기관차 5025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1월 31일 지정1957년
5호디젤전기기관차 6230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1월 31일 지정1967년
6호디젤전기기관차 7001호부산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2년1월 31일 지정1986년
7호전기기관차 8001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알스톰2012년1월 31일 지정1972년
8호새마을동차(PMC)126호(객차335호포함),
새마을디젤동차(PMC)130호
청도역,대전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2년1월 31일 지정1989년
9호침대객차(무궁화)2012년1월 31일 지정
10호전호등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60년대
11호일면 후부 표지등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60년대
12호입실역사 기록물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7년
13호심천역사 기록물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5~1957년
14호기관사 제복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74년
15호故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대전광역시동구판암동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62년
16호영암선 개통기념비승부역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5년
17호산업선전철준공기념비동해역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75년
18호경경선 전통기념비단성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42년
19호경전선 전통기념비구.하동역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68년
20호모터카 MB8901대동상공2012년1월 31일 지정1986년
21호궤도안정기(DTS9201: Dynamic Track Stabilizer)PLASSER & THEURER2012년1월 31일 지정1992년
22호수동핸드카승부역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60년
23호완목식신호기등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0년
24호통표폐색기(통표, 휴대기, 수수기 포함)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6년
25호자석식 전화교환기통감부 철도관리국2012년1월 31일 지정1907년
26호공전식 전화교환기철도박물관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25년
27호완목식신호기(신호레바 포함)주평역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6년
28호철도역사용지도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3년
29호안성천안간 선로준공 종단면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22년
30호선로조사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44년
31호주주증권(조선철도주식회사)조선철도2012년1월 31일 지정1924년
32호주주증권(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조선경남철도2012년1월 31일 지정1920년
33호주주증권(경춘철도주식회사)경춘철도2012년1월 31일 지정1936년
34호DEC형 특별동차 1호(대통령 전용)철도박물관니혼샤료2013년9월 5일 지정1969년
35호DEC형 특별동차 2호(경호용)철도박물관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9월 5일 지정1985년
36호경복호(PMC형 특별동차 1호, 대통령 전용)한국철도차량2013년9월 5일 지정
37호경복호(PMC형 특별동차 2호, 경호용)한국철도차량2013년9월 5일 지정
38호업무용 동차철도박물관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9월 5일 지정1990년
39호디젤전기기관차 7301호부산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3년9월 5일 지정1989년
40호전기기관차 8091호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9월 5일 지정1986년
41호경주역사경주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36년
42호불국사역사불국사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36년
43호철도안전수송비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74~1975년
44호통표폐색기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0년대
45호통표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46호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47호완목식신호기 일체삼화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8년
48호완목식신호기 일체장생포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50년대
49호표지부 선로전환기 신호등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50호정규도 및 표준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

준철도기념물

[편집]

향후 역사적, 기술적, 교육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것 중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사장이 지정한 것이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제작자
(단체)
지정일제작시기
1호객차(비둘기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인천공작창2012년1월 31일 지정1963년
2호객차(통일호)국립대전현충원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2년1월 31일 지정1981년
3호수화물용저울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60년대
4호승차권 날짜기계(일부인)신성기전2012년1월 31일 지정
5호승차권 개표가위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6호집표도장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7호승차권 체송함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8호김유정역사(구 신남역)김유정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9년
9호영월역사영월역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6년
10호풍기역급수탑풍기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42년
11호화본역급수탑화본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7년
12호수원역급수탑수원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1년
13호수원역급수탑수원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31년
14호보성역급수탑보성역만철 경성관리국2012년1월 31일 지정1922년
15호순천역급수탑순천역만철 경성관리국2012년1월 31일 지정1922년
16호경주역급수탑경주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1월 31일 지정1944년
17호철도시발기념지비노량진역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75년
18호영등포역 위령비철도인재개발원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48년
19호테르밋트 용접기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0호톱(침목절단용)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1호단고마와 켄트게이지제천역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2호선로게이지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3호수동 레일천공기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4호트렉젝크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1999년
25호모터카 TMM94012021년 고철매각[14]게이즈마2012년1월 31일 지정1994년
26호휴대용 전화기(PT-93)범아공영2012년1월 31일 지정
27호휴대용 전화기(PT-65)범아실업2012년1월 31일 지정1980년
28호자석식 전화기제천역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29호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철도청2012년1월 31일 지정
30호금고(현금보관용)다케우치2012년1월 31일 지정1970년
31호규정집(교통부소관국유재산취급규정)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1954년
32호관내지도(황해도곡산군)교통부2012년1월 31일 지정
33호전기동차 1047-1247-1347-1147호[15]구로차량사업소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3년 9월 5일 지정

2020년10월경 지정취소

1987년
34호통지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35호전령자 완장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0년대
36호금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37호개집표 가위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38호2004년형 승차권 발매단말기(WTIM) 일체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2004년
39호2004년형 승차권 자동발매기 (ATIM)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2004년
40호장항선원죽역역명판(향나무 포함)원죽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0년대
41호북전주역 명판북전주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8년
42호가야역 역사 기록서가야역2013년9월 5일 지정1951~2001년
43호거제역 역사 기록서거제역2013년9월 5일 지정1946~2006년
44호군산역 역사 기록서군산역2013년9월 5일 지정1912년
45호간치역 역사 기록서간치역2013년9월 5일 지정1945년
46호남포역 역사 기록서남포역2013년9월 5일 지정1945년
47호웅천역 역사 기록서웅천역2013년9월 5일 지정1945년
48호웅천역 역세권 보고웅천역2013년9월 5일 지정1957년
49호경주역 직원 사진첩경주역2013년9월 5일 지정
50호구열차운전시행절차교통성 등2013년9월 5일 지정1958년~
51호열차운전시각표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52년~
52호규정류찬(제3편 운수)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41~1977년
53호뱃지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50년대
54호제모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0년대
55호하양역 화물상옥[16]하양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40년
56호덕산역사덕산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31년
57호동래역사구.동래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34년
58호포항역사구.포항역[17]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45년
59호극락강역사극락강역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59년
60호명봉역사명봉역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50년
61호기장역 철도관사기장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9월 5일 지정1935년
62호함평역 추모비함평역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51년
63호모산건널목 사고 위령탑충청남도아산시배방읍 공수리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71년
64호일산역장 순직비일산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79년
65호보선분소 직원 순직비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67년
66호선임시설장 직원 순직비동해시설관리사무소2013년9월 5일 지정2002년
67호기관사 직원 순직비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99년
68호통신 직원 순직비2013년9월 5일 지정1950년대
69호기관사 직원 순직비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46년
70호이리역 위령탑익산역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77년
71호명암터널 위령비충청북도충주시산척면 명서리교통부2013년9월 5일 지정1958년
72호모터장착 핸드카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73호토사적재트레일러(SLT9807-9809)태현2013년9월 5일 지정1999년
74호초음파 레일탐상기(ASP7072)도쿄계기2013년9월 5일 지정1981년
75호토오크렌치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76호곡선정정계산기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1970년
77호대곡자철도청2013년9월 5일 지정
78호휴대용전화기 상자 제작도교통성 등2013년9월 5일 지정1958년~
79호한국교통동란기(속편)교통사편찬위원회2013년9월 5일 지정1953,1956년
80호철도창설 제59주년 기념 종합체육대회교통부부우회2013년9월 5일 지정1958년

운행 차량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만을 기술하였다.

열차 내 안내방송

[편집]

철도청 시절이었던1990년대까지는 종착역을 제외하면 별도의 음악 없이 육성으로만 녹음된 자동안내방송이 나왔으며 카세트테이프 방식으로 송출되었다.2002년 이윤정, 브랜든 성우의 투입과 함께 1호선에 정차역, 환승역 음악이 처음 적용되었고2003년 남은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 전 구간에 성우 변경과 정차역, 환승역, 출발역 음악이 적용되었다. 철도청은2002년 이후 카세트테이프 방식의 자동안내방송을 중단하였고,2003년 전 구간 안내방송을 CD로 재녹음한 이래 CD 안내방송만을 사용했다.2010년 이후에는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으로 방송한다.

1993년부터2003년까지는 김수희 성우가 정미나 성우가 광역전철과통일호에서 각각 한국어와 영어 안내방송을 맡았다.2002년 1호선 한정으로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의 안내방송으로 시험 변경되었고, 다음 해인2003년 국철, 분당선, 3호선, 4호선 등 철도청 관할 광역전철 전 노선이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의 안내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철도청은 KTX가 개통한2004년에는 무궁화호, 새마을호의 안내방송까지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로 바꾸었는데 이는 고속철도 개통을 앞두고 외국인 관광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영어 방송을 기존 한국인 성우에서 원어민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의 교체였다. 통일호 종운 이후 남은 통근열차에는 김수희, 유미나 성우의 안내방송이2009년까지 적용되었다.

출발역, 정차역, 환승역, 종착역 시그널 음악

[편집]
  • 출발역
  • 정차역
    • KTX: California Vibes[21]
    • 광역철도, ITX-청춘: 미적용
    •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누리로[22]: 어린달
  • 환승역
    • 광역철도: 얼씨구야
    • KTX, 무궁화호, 누리로,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 청춘, ITX-마음: 미적용
  • 종착역
    • KTX
      • 방송 전: Same road same reason[23]
      • 방송 후: Happiness[24][25]
    • 광역철도, ITX-청춘: 한국철도공사 로고송
    •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누리로, ITX-마음: 날자꾸나

과거

[편집]
  • 출발역
    • 광역철도: 4음징글(~2001년), Last Mattinata (2002년~2010년)
    • KTX: Peaceful Rain (2004년), 꽃의 동화 (2005년~2008년), Let it be (2008년~2012년), Kiss the rain (2013년~2020년)
    • 무궁화호: What will I do (2002년~2003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0년~2014년)
    • 새마을호: Looking for you (2000년~2003년), Dreamers (2004년~2007년), Outlook (2002년~2009년)
    • 통일호,통근열차: 육성 방송, 4음징글
  • 정차역
    • 광역철도: 미적용
    • KTX: 4음 징글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변주곡 (2008년~2010년)
    • 무궁화호: 육성방송 (~2007년), 회전목마 (2008년~2010년),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 새마을호: 4음 징글 (2000년~2005년), Jumping (2006년~2007년), 겨울이 오면 (2008년~2012년),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 통일호,통근열차: 육성 방송, 자동안내방송
  • 환승역
    • 광역철도: 육성방송, 뻐꾸기 효과음 (1993년~2002년)[26] 모차르트 미뉴에트 (2002년~2010년)[27]
    •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통일호, 통근열차: 미적용
  • 종착역
    • 광역철도: 터키행진곡 (1993년~2002년)[28] 모차르트 교향곡 17번곡 (2002년~2010년),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2008년~2010년)[29]
    • KTX: High noon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 변주곡 / Dreamers (2008년~2010년)
    • 무궁화호: What will I do (2002년~2003년), Let it be (2008년~2012년), 코레일 사가 (2010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 새마을호: Outlook (2002년~2007년), Looking for you (2000년~2007년), Let it be (2008년~2009년), 코레일 사가 (2010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 통일호,통근열차: 육성방송, 자동안내방송

성우

[편집]

과거

[편집]
  • 한국어
    • 광역철도:김수희 (1993년~2003년)[30],이윤정 (2002년~2010년)[31]한수림 (2008년~2010년)[32]
    • 무궁화호:이선 (2000년~2007년), 이윤정 (2008년~2012년)
    • 새마을호: 이선 (2000년~2005년), 이윤정 (2005년~2007년)
    • 누리로: 이윤정(2009년~2016년 11월)
    • 통일호 / 통근열차: 김수희 (1990년대~ 2009년)[33]
  • 영어
    • 광역철도: 조미나 (1993년~2003년)[34], 브랜든 (2002년~2010년)[35]
    • 무궁화호: 브랜든 (2000년~2014년)
    • 새마을호: 브랜든 (2000년~2014년)
    • 누리로: 브랜든 (2009년~ 2016년 11월)
    • 통일호 / 통근열차: 조미나 (1990년대~2009년)

열차 접근음

[편집]
  • 상행선
    • 광역/도시철도[36]: 실로폰
    • ITX 청춘[37]: 실로폰
    • 수도권 전철 : 실로폰 멜로디
  • 하행선
    • 광역/도시철도[38]: 트럼펫
    • ITX 청춘[39]: 트럼펫
    • 수도권 전철 : 트럼펫 멜로디

사옥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철도기관 공동사옥입니다.

2006년12월 착공한한국철도공사 대전 본사는2009년8월 완공되었으며,쌍둥이 빌딩 형식으로 서관에한국철도공사, 동관에한국철도시설공단(現 국가철도공단)이 입주하였다. 본사는 연면적 23,507m2이며, 지하 4층, 지상 28층 규모이다.

역대 사장

[편집]
  • 임기는 3년이다.
대수이름임기비고
1신광순2005년1월 1일 ~2005년5월 7일제24대 철도청장
2이철2005년6월 29일 ~2008년1월 25일前 제12~14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 갑)
대행박광석2008년2월 ~2008년6월
3강경호2008년6월 11일 ~2008년11월 27일서울메트로 사장
대행심혁윤2008년11월 ~2009년3월
4허준영2009년3월 19일 ~2011년12월 22일제12대 경찰청장
대행팽정광2011년12월 ~2012년2월의정부경전철 대표이사
5정창영2012년2월 6일 ~2013년6월 17일감사원 사무총장
대행팽정광2013년6월 18일 ~2013년10월 1일前 의정부경전철 대표이사
6최연혜2013년10월 2일 ~2016년3월 14일제20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첫 번째 여성 사장
대한민국 철도청 차장
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대행김영래2016년3월 15일 ~2016년5월 9일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前 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이사장
7홍순만2016년5월 10일 ~2017년8월 4일인천광역시 경제부시장
대행유재영2017년8월 5일 ~2018년2월 5일한국철도공사 부사장
8오영식2018년2월 6일 ~2018년12월 11일前 제16대 국회의원 (전국구)
前 제17, 19대 국회의원 (서울 강북 갑)
대행정인수2018년12월 12일 ~2019년3월 26일한국철도공사 부사장
9손병석2019년3월 27일 ~2021년7월 16일국토교통부 철도국장
前 국토교통부 제1차관
대행정왕국2021년7월 17일 ~2021년11월 25일한국철도공사 부사장
10나희승2021년11월 26일 ~2023년3월 3일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대행고준영2023년3월 4일 ~2023년7월 23일前 한국철도공사 기술본부장
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11한문희2023년7월 24일 ~ 현재부산교통공사 사장

경영현황

[편집]

철도공사 출범이후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2007년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으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무산되면서 다시 당기순손실로 전환되었다.

2015년4월호남고속철도 1단계 구간 개통으로 흑자전환되었다가2016년수서고속철도의 운영사SR 출범으로 다시 적자로 전환되었고2020년코로나19 여파로 1조원이라는 사상 최대규모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그러자 코레일측은2011년12월이후 동결된 철도요금을 인상해달라고 관계부처에 요청했다.[40]국토교통부는 동의하나기획재정부는 물가상승 억제를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재무제표

[편집]

(단위: 억원)

구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자산140,554198,122178,690246,441245,937284,525287,523289,987
부채57,99496,579132,078174,407181,452195,782203,585210,632
자본82,560101,54346,61172,03364,48588,74383,93879,354

손익계산서

[편집]

(단위: 억원)

구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34,02936,82552,20744,00451,42754,55758,15965,281
영업이익(5,380)(5,287)1,143(11,684)(8,660)(4,363)(4,743)(1,113)
당기순이익(6,069)3,8075,776(12,380)(11,081)(3,104)(5,424)(5,16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승선 기자 (2005년 1월 5일).“4조 5천억 부채 안고 한국철도공사 출범”. 《프레시안》. 
  2. 이문차량사업소 구내 위치
  3. 영등포역 구내 위치
  4. 대전역 구내 위치
  5. 제천역 구내 위치
  6. 익산역 구내 위치
  7. 광주역 구내 위치
  8. 동대구역 구내 위치
  9. 부산역 구내 위치
  10. 경주역 구내 위치
  11. “역 운영 현황,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2016년 8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4일에 확인함. 
  12. 중부내륙선,경강선,중앙선 청량리~도담구간
  13. 한국철도공사 소유, (주)SR 임대
  14. “온비드 공매물건 매각 l 고철및금속폐기물 l 헌 전철보수장비 1대”.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5. 2021년 11월 15일 고철 매각되었다.온비드
  16. 현재 한국철도공사가 복선공사로 철거시켜 볼 수 없음
  17. 도로공사로 인하여 철거됨
  18. ITX-새마을과 동일한 등급이다.
  19. 감성밴드 나봉에서 편곡한 것이다.
  20. 일본의 그룹 DEPAPEPE에서 편곡한 버전.
  21. 캐나다가수스티브 바라캇이 연주한 곡이고,2000년11월 18일에 발매된 A Love Affair 앨범에 수록되었다.
  22. 2016년12월부터 적용
  23. 영국가수스무스 재즈밴드어쿠스틱 알케미가 부른 곡이고, 어쿠스틱 알케미의 12번째 앨범인Arcanum 앨범에 수록되었다.
  24. 대한민국가야금 연주자인이랑이 연주한 곡이고,2006년12월 27일에 발매된 1집 앨범인 행복만들기 앨범에 수록되었다.
  25. 대부분의 종착역에서는 이랑의 편곡 독주버전이 나오지만, 예외적으로 서대전역과 전주역 종착 열차에서는 원곡 합주버전이 나온다.
  26. 1호선은 2002년 모차르트 미뉴에트로 변경, 뻐꾸기 효과음은 국철(용산~성북)과 분당선에만 적용.
  27. 국철은 2003년 초, 4호선은 2003년 7월, 분당선은 2003년 9월, 3호선과 2003년 말 변경.
  28. 1호선은 2002년 모차르트 교향곡 17번곡으로 변경.
  29.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기존의 모차로트 교향곡 17번곡과 코레일 자체제작 로고송이 혼용.
  30. 1호선은 2002년 이윤정 성우로 변경
  31.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은 2003년 변경
  32. 2008년~2010년은 이윤정, 한수림 성우 방송 혼용
  33. 통일호 운행 중단 이후 통근열차에서도 '통일호' 로 방송이 나왔다.
  34. 1호선은 2002년 브랜든 성우로 변경
  35.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은 2003년 변경
  36. 1호선소요산 방향,3호선대화 방향,4호선당고개 방향,경강선판교 방향,경의·중앙선문산 방향,경춘선청량리 방향,수인분당선청량리 방향,동해선부전 방향이다.
  37. 용산 방향
  38. 1호선인천·신창·서동탄 방향,3호선오금 방향,4호선오이도 방향,수도권 전철 경강선여주 방향,경의·중앙선지평·서울 방향,경춘선춘천 방향,수인분당선고색 방향,수인분당선인천 방향,동해선태화강 방향이다.
  39. 춘천 방향
  40. 송종호 기자 (2024년 7월 14일).“[단독] 13년째 멈춘 철도요금…코레일 노선 24개 중 19개 적자”. 《서울경제》.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한국철도공사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산하
기획재정부 산하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산업통상부 산하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토교통부 산하
해양수산부 산하
본부 소속
행정청
보조기관
소속기관
부속기관
특별지방행정기관
지방국토관리청
지방항공청
철도특별사법경찰대
 
산하 공공기관
소관기관
순수 공기업
공기업 자회사
민간기업
대한민국의 대규모 기업집단 (2025년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기준)
지정 해제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철도공사&oldid=4062489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