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케이 중간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케이온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만화에 대해서는케이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케이온
구성K+:us¯K0:ds¯/sd¯K:su¯{\displaystyle {\begin{matrix}K^{+}&:&u{\bar {s}}\\K^{0}&:&d{\bar {s}}&/&s{\bar {d}}\\K^{-}&:&s{\bar {u}}\end{matrix}}}
통계보손
기호K+, K0, K
발견1947년 로체스터, 버틀러
질량K±: 493.667 ±0.013 MeV/c²
K0: 497.648 ±0.022 MeV/c²
전하K±: ±e
K0: 0
스핀0

케이온(kaon) 또는케이 중간자(K meson)는입자물리학에서기묘도(strangeness)양자수에 따라 구별되는 네 가지중간자 상태 중 하나를 일컫는다.

1947년에 조지 로체스터(George Rochester)와 클리포드 버틀러(Clifford Butler)가 우주선 관측에서 발견되었으며, 월슨의 안개상자 안에 V모양의 비적을 남기는 수수께끼 입자로 발견되었다. 1964년에는 중성 케이온의 붕괴 실험 과정에서, CP 대칭성 깨짐이 처음으로 관측되어 그 실적으로제임스 왓슨 크로닌밸 로그즈던 피치가 1980년에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쿼크 모형에서, 케이온은기묘 쿼크(혹은 그반쿼크) 한 개를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입자는 K0, K+, 반입자는K0, K으로 총 4가지가 있다.

K는 스트레인지 쿼크와 반업 쿼크, K+는 반스트레인지 쿼크와 업 쿼크로 이루어졌으며, 또한, K0는 반스트레인지 쿼크와 다운 쿼크,K0는 스트레인지 쿼크와 반다운 쿼크로 이루어졌다. K와 K+는 각각 입자와 반입자의 관계로 이루어졌고,K0와 K도 같은 관계이다.

K, K+의 질량은 대략 494 MeV/c2이고, 수명은 1.2×10-8초이다.K0, K0의 질량은 대략 498 MeV/c2이고, 수명은 5.2×10−8초인 긴 것과 9.0×10−11초인 짧은 것이 있다.

K+의 붕괴 패턴과 분기비는 다음과 같다.

  1. μ+νμ{\displaystyle \mu ^{+}\nu _{\mu }} (약 63.4%);
  2. π+π0{\displaystyle \pi ^{+}\pi ^{0}} (약 21.1%);
  3. π+π+π{\displaystyle \pi ^{+}\pi ^{+}\pi ^{-}} (약 5.6%);
  4. π+π0π0{\displaystyle \pi ^{+}\pi ^{0}\pi ^{0}} (약 1.7%);
  5. π0e+νe{\displaystyle \pi ^{0}e^{+}\nu _{e}} (약 4.9%)

같이 보기

[편집]
기본 입자
페르미온
쿼크
렙톤
보손
미관측 입자
대통일 이론
초대칭짝
게이지노
스페르미온
양자 중력끈 이론
기타
합성 입자
강입자
중입자
맛깔없는 가벼운중간자
맛깔없는 무거운중간자
맛깔있는중간자
기타
미관측 입자
준입자
목록
위키미디어 공용케이 중간자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 글은 물리학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케이_중간자&oldid=3911980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