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칼라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라쉬인
칼라쉬인 소녀
칼라쉬인 소녀
총인구
4100명에서 31000명 사이
지역
파키스탄
언어
칼라샤어
종교
원시브라만교,이슬람교
민족계통
인도아리아인
근연민족누리스탄인

칼라샤인(칼라샤어: کالؕاشؕا) 또는칼라쉬인파키스탄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의 치트랄구에 거주하는인도아리아[1]원주민이다.

그들은 파키스탄인 사이에서 독특한 종교 집단으로 여겨진다.[2][3][4] 그들은 또한 파키스탄에서 가장 작은민족 종교 집단으로 여겨지며,[5] 저자들이애니미즘의 한 형태로 특징짓는 것을 전통적으로 실천하고 있다.[6][7][8][9] 20세기 중반에 파키스탄의 칼라샤 마을 몇 곳을 이슬람교로 개종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들은 개종에 반대했고, 공식적인 압력이 사라지자 대다수 사람들이 다시 자신들의 종교를 믿기 시작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칼라샤인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했지만, 이후 이슬람교로 개종했다는 이유로 그들의 공동체로부터 외면을 받았다.[10][11]

이 용어는 바이족, 치마니셰이족, 반테족, 아쉬쿤어족, 트레가미어족을 포함한 많은 뚜렷한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3] 칼라쉬인은 아시아의 원주민으로 간주되며, 그들의 조상은 아마도 더 남쪽에 있는 다른 위치에서 치트랄 계곡으로 이주해 왔다.[2][12] 칼라쉬는 민요와 서사시에서 이를 "트시얌"이라고 부른다.[13] 그들은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에서 남겨진 그리스 군대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지만, 그가 그 지역을 통과했다는 증거는 없다.[14][15] 그들은 또한간다라인의 후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6]

아프가니스탄과 인접한누리스탄(역사적으로 카피리스탄으로 알려져 있음) 지방에 사는 이웃 민족인누리스탄인은 한때 동일한 문화를 가졌고 몇 가지 사소한 차이점을 제외하면 칼라쉬인과 매우 유사한 신앙을 가졌다.[17][18]

역사적으로 최초로 기록된 이슬람의 영토 침입은 11세기에 가즈나 왕조에 의해 이루어졌지만,[19] 이들은 티무르의 침략 기간인 1339년에 처음으로 존재가 문증된다.[16]누리스탄주는 1895~96년에 강제로이슬람교로 개종했지만 일부 증거에 따르면 누리스탄인들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관습을 따르고 있었다.[20] 반면 치트랄의 칼라쉬인들은 그들만의 분리된 문화적 전통을 유지해 왔다.[2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est, Barbara A. (2010년 5월 19일).《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영어).Infobase Publishing. 357쪽.ISBN 9781438119137. 
  2. “The Kalash –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Minority in the Hindukush Mountain Belt of Chitral, Northern Pakistan”(PDF). 2007년 7월 7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3. “Richard Strand's Nuristân Site: The Kalasha of Kalashüm”. 《www.nuristan.info》. 202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4. Augusto S. Cacopardo.
  5. 'Earthquake was Allah's wrath for Kalash community's immoral ways'. 《The Express Tribune》. 2015년 11월 10일.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6. “The Kalash: Pakistan's last animist tribe”. 《Atalayar》 (영어). 2021년 3월 29일. 2022년 12월 31일에 확인함. 
  7. Searle, Mike (2013년 3월 28일).《Colliding Continents: A geological exploration of the Himalaya, Karakoram, and Tibet》. OUP Oxford.ISBN 978-0-19-165249-3. 
  8. Camerapix (1998).《Spectrum Guide to Pakistan》. Interlink Books.ISBN 978-1-56656-240-9. 
  9. Sheehan, Sean (October 1993).《Pakistan》. Marshall Cavendish.ISBN 978-1-85435-583-6. 
  10. Ahmed, Akbar S. (1986). 〈The Islamization of the Kalash Kafirs〉. 《Pakistan Society: Islam, ethnicity, and leadership in South Asia》. New York, NY: Mayflower Books. 23–28쪽.ISBN 978-0-19-577350-7. 
  11. “Tribe of Kalash: The Last Kafir”. 《Global Human Rights Defence》 (미국 영어). 2021년 3월 1일. 2021년 4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12. Nicolaisen, Johannes; Yde, Jens (1963).《Folk: dansk etnografisk tidsskrift》 (영어). Dansk etnografisk forening. 
  13. 《East and West》 (영어).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1992. 
  14. Shah, Danial (2012년 9월 29일).“In the land of infidels”. 《DAWN.COM》 (영어). 2023년 3월 16일에 확인함. 
  15. Strand, R.“The kalaṣa of kalaṣüm Strand”. 《nuristan.info》. 
  16. Adamec, L.W., 편집. (1985). 《Historical and Political Gazetteer of Afghanistan》6. Akademische Druck- u. Verlagsanstalt Graz. 349쪽.He identifies them more particularly with the Gandhari, that is to say, the former inhabitants of what is now known as the Mohmand country.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편집자-링크= (도움말)
  17. Saxena, Anju (2011년 5월 12일).《Himalayan Languages: Past and Present》 (영어).Walter de Gruyter. 72쪽.ISBN 9783110898873. 
  18.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영어).Taylor & Francis. 2003. 318쪽.ISBN 9780415939195. 
  19. Pagan Christmas: Winter Feasts of the Kalasha of the Hindu Kush, By Augusto S. Cacopardo
  20. .Columbia University.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1. Newby, Eric.

서지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라쉬인&oldid=39735500"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