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 | |||
---|---|---|---|
우선명 (PIN) Azepan-2-one | |||
별칭 1-Aza-2-cycloheptanone 2-Azacycloheptanone ε-Caprolactam Capron PK4 Cyclohexanone iso-oxime Extrom 6N Hexahydro-2-azepinone Hexahydro-2H-azepin-2-one (9CI) Hexanolactam Hexano-6-lactam Aminocaproic lactam | |||
식별자 | |||
| |||
3D 모델 (JSmol) | |||
106934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
ECHA InfoCard | 100.003.013 | ||
EC 번호 |
| ||
101802 | |||
KEGG |
| ||
UNII | |||
| |||
| |||
성질 | |||
C6H11NO | |||
몰 질량 | 113.160 g·mol−1 | ||
겉보기 | White solid | ||
밀도 | 1.01 g/cm3 | ||
녹는점 | 69.2 °C (156.6 °F; 342.3 K) | ||
끓는점 | 270.8 °C (519.4 °F; 544.0 K) at 1013.25 hPa | ||
866.89 g/L (22 °C) | |||
증기 압력 | 0.00000008 mmHg (20° C)[1] |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신호어 | 경고 | ||
H302,H315,H319,H332,H335 | |||
P261,P264,P270,P271,P280,P301+312,P302+352,P304+312,P304+340,P305+351+338,P312,P321,P330,P332+313,P337+313,P362,P403+233,P405,P501 | |||
인화점 | 125 °C (257 °F; 398 K) | ||
폭발 한계 | 1.4%-8.0%[1] |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none[1]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카프로락탐(caprolactam)은아미노카프로산의 고리아마이드의 하나로 폴리아마이드, 나일론-6 따위의 원료로 쓴다. 화학식은 C6H11NO이다.
카프로락탐(caprolactam)은 자극적이며 LD50이 1.1g/kg(쥐, 경구)인 약한 독성이 있다. 1991년에는 1990년 발 미국 대기 청정법(U.S. Clean Air Act of 1990)에 의해 유해 대기 오염 물질 목록에 포함되었던바있었다. 이후 제조업체의 요청에 따라 1996년 목록에서 제거되었다.[2] 물에서 카프로락탐은 의약으로 사용되는 아미노카프로산으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
현재 미국에서 카프로락탐을 취급하는 근로자에 대한 공식적인 허용 노출 한도는 없다. 권장 노출 한계는 카프로락탐 분진 및 증기에 대해 8시간 근무 교대에 걸쳐 1mg/m3로 설정된다고 알려져있다. 단기 노출 한계는 카프로락탐 분진 및 증기에 대해 3mg/m3로 정해진 바 있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