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크스-레닌주의 |
|---|
역사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28년 10월) • 코민테른 12월 테제(1928년 12월) • 소비에트 연방의 농업집산화 정책(1929년) • 홀로도모르(1932년) •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33년 1월) • 국가의회 의사당 화재 사건(1933년 2월) • 반파쇼인민전선(1935년 8월) • 스타하노프 운동(1935년 11월) • 스페인 내전(1936년) • 대숙청(1937년)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38년) • 독소전쟁(1941년) • 후크발라합 반란(1942년) • 즈다놉시나(1946년) • 그리스 내전(1946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 • 냉전(1947년) • 베를린 위기(1948년) • 한국 전쟁(1950년) • 반둥 회의(1955년) • 베트남 전쟁(1955년) • 스탈린 격하 운동(1956년 2월) • 1956년 헝가리 혁명(1956년 10월) • 쿠바 혁명(1959년) • 중소 분쟁(1960년)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1961년) • 비동맹운동(1961년) • 수정주의 논쟁(1961년) • 쿠바 미사일 위기(1962년) • 문화대혁명(1966년) • 프라하의 봄(1968년 1월) • 브레즈네프 독트린(1968년 9월) • 앙골라 내전(1975년) •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개방(1978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년) • 페레스트로이카(1985년) • 글라스노스트(1986년 2월) • 체르노빌 원전 사고(1986년 4월) • 베트남의 도이 머이 실시(1986년 12월) • 1989년 톈안먼 사건(1989년 6월) • 동유럽 혁명(1989년 6월) • 몰타 회담(1989년 12월) • 독일의 재통일(1990년) • 8월 쿠데타(1991년 8월) •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1991년 12월) • 쿠바의 비상 시기 선포(1992년) •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1993년) • 고난의 행군(1995년) |
관련 문헌 • 스탈린,《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1913년) • 데보린,《변증법적 유물론 강론》(1916년) • 데보린,《인격성과 세계관》(1923년) • 스탈린,《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1924년) • 스탈린,《트로츠키주의인가? 레닌주의인가?》(1924년) • 스탈린,《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적 편향》(1926년) • 스탈린,《중국 혁명과 코민테른의 작업들》(1927년) • 스탈린,《곡물 조달과 농업 발전 전망》(1928년) • 스탈린,《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결과들》(1933년) • 스탈린,《변증법적 유물론》(1938년) • 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볼셰비키당사》(1938년) • 페도시프,《종교와 그 극복으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1941년) • 페도시프,《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과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이해》(1948년) • 콘스탄티노프,《과학으로서 역사적 유물론》(1949년) • 스탈린,《마르크스주의 언어학》(1950년) • 콘스탄티노프,《사회적 의식의 형태》(1951년) • 스테파니얀,《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점진적인 전환》(1951년) • 스탈린,《소련 사회주의의 경제 문제들》(1951년) • 콘스탄티노프,《사회 발전에서 고등 관념의 역할》(1953년) • 페도시프,《사회주의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 관계》(1955년) • 페도시프,《사회주의와 인본주의》(1956년) • 페도시프,《역사에서 군중과 인민의 역할》(1956년) • 콘스탄티노프,《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기초》(1958년) • 쿠시넨,《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초》(1960년) • 보응우옌잡,《인민의 전쟁, 인민의 군대》(1961년) • 차긴,《G. V. 플레하노프와 마르크스주의 철학 발전에서 그의 역할》(1963년) • 체 게바라,《게릴라 전쟁》(1963년) • 스테파니얀,《현대 사회 발전의 변증법》(1966년) • 스테파니얀,《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현대성》(1970년) • 페도시프,《공산주의와 철학》(1971년) • 페도시프,《현대 시대의 변증법》(1976년) • 호자,《제국주의와 혁명》(1978년) • 콘스탄티노프,《현대 세계의 관념 투쟁》(1978년) • 페도시프,《세계관, 철학, 과학》(1979년) • 미틴,《철학과 사회 진보》(1979년) • 콘스탄티노프,《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과 현대성》(1982년) • 스테파니얀,《공산주의 형성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문제》(1985년) • 로디오노프,《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란 무엇인가?》(1988년) |
관련 조직
|
주요 이론가 |
주요 정치인 레주언(1907년 ~ 1986년) 보응우옌잡(1911년 ~ 2013년) 마셸(1933년 ~ 1986년) 멩기스투(1937년 ~ ) |
카스트로주의(스페인어:Castrismo,영어:Castroism)은쿠바의피델 카스트로가 주창한마르크스-레닌주의 분파 사상이다. 카스트로주의에는 쿠바의 독립운동가인호세 마르티의 쿠바 민족주의 사상과이오시프 스탈린의마르크스-레닌주의, 쿠바 특유의인민민주주의,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통합과 라틴아메리카 약소국가의 민족 해방적 국제연대 이론이 깃들여져있다.
1959년바티스타 정권이 피델 카스트로와체 게바라를 주축으로 한 혁명군에 의해 전복되고,1960년부터 본격적으로 쿠바에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부가 들어선다. 이 때문에 쿠바는소련의 막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반면,미국의 경제 봉쇄정책으로남미 간의 경제 외교가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피델 카스트로는1961년마르크스-레닌주의를 쿠바의 현실 상황에 맞게 개조하여 카스트로주의 사상을 만들었는데, 이는라틴 아메리카의 약소국 해방을 주장하며, 동시에 그러한 국가들과 긴밀한 연대를 갖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카스트로주의가 라틴 아메리카에 들여진 결과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도 쿠바의 카스트로주의 외교 정책은 효과적으로 받아들여져, 미국의 경제 봉쇄에도 불구하고 주요 남미 국가들과 긴밀한 경제적 외교 관계를 갖게된다. 특히앙골라 내전에서쿠바는 다수의쿠바 혁명군을 참전시킴으로써아프리카에도 카스트로사상을 일부 전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