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페넴(carbapenems)은 여러 가지세균감염을 치료하는 데에 흔히 쓰이는 아주 효과적인항생제 클래스이다. 카바페넴은다제내성이 있거나 있다고 의심되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보통 남겨 놓는 항생제이다.페니실린이나세팔로스포린과 비슷하게 카바페넴은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의 일종으로, 베타-락탐 계열의 항생제들은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여 세균의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카바페넴은 대부분의 세팔로스포린이나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와 비교했을 때 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세균에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카바페넴은 일반적으로 다른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와 비교했을 때항생제 내성의 영향을 덜 받고 있다.
본래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를 처음 개발한 것은MSD로,스트렙토미세스 캐틀야(Streptomyces cattleya)에서 자연적으로 유래한 산물인티에나마이신이 최초이다.[1][2] 카바페넴 내성을 가진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 균주나 다른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3] 감염을 치료하는 데에는 치료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최근 카바페넴에 대한 내성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점에 대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4][5][6]
카바페넴 항생제의 일종인에르타페넴은미국 감염병학회에서 경도~중등도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하는 여러 약물 중 하나이다.도리페넴,이미페넴,메로페넴 등 녹농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가지는 약제는 이 같은 경우 권장되지 않는다. 도리페넴, 이미페넴, 메로페넴은 고위험군의 지역사회 획득 복강내 감염 또는원내감염으로 발생한 복강내 감염 환자에게 권장된다.[7]
2015년의메타분석에서는 녹농균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페니실린과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의 복합제제인피페라실린/타조박탐이패혈증 환자에서 카바페넴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낸다고 결론 내렸다.[11] 2015년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소(NICE)에서는 피페라실린/타조박탐을호중구감소증이 있는암 환자의 혈류 감염에서 일차 치료제로 권장하게 되었다.[12]
한편 혈류 감염의 원인균이 광범위 베타-락타메이스를 만드는 장내세균과에 의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면 카바페넴이 다른 대안들보다 우월하다.[13]
이전에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에 대한알레르기를 보였던 환자에게는 카바페넴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에르타페넴과 이미페넴의근육 주사용 제형은리도카인과 함께 제제화되므로, 이전에 리도카인에 대한 부작용을 보였던 환자에게는 근주용 에르타페넴과 이미페넴을 사용하지 않는다.[14][15] 한편 카바페넴은 발작 치료용으로발프로산을 사용 중인 환자에서도 금기인데, 이는 카바페넴이 발프로산 농도를 90%까지 감소시킨다고 밝혀져 있기 때문이다.[16]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2005).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171 (4): 388–416.doi:10.1164/rccm.200405-644ST.PMID15699079.
↑Shiber S, Yahav D, Avni T, Leibovici L, Paul M (2015).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s versus carbapenem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Antimicrob. Chemother.》70 (1): 41–7.doi:10.1093/jac/dku351.PMID25261419.
↑Vardakas KZ, Tansarli GS, Rafailidis PI, Falagas ME (2012). “Carbapenems versus alternative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bacteraemia due to Enterobacteriaceae producing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ntimicrob. Chemother.》67 (12): 2793–803.doi:10.1093/jac/dks301.PMID22915465.
↑Herrero, Miranda (2015). “Pharmacological interaction between valproic acid and carbapenem: what about levels in pediatrics?”.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Neurology》19 (2): 155–61.doi:10.1016/j.ejpn.2014.12.010.PMID25578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