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영어 위키백과의Choi Hong Hi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요한 번역 안내를 보려면 [펼치기]를 클릭하십시오.
|
| 최홍희 | |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출생일 | 1918년 11월 9일(1918-11-09) |
| 출생지 | 일제강점기함경북도명천군 |
| 사망일 | 2002년 6월 15일(2002-06-15)(83세) |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
| 사용 무술 | 태권도,가라테,택견 |
| 스승 | 한일동, 김현수,후나코시 기친 |
| 계급 | 태권도 9단, 가라테 2단 |
| 기타 | 본관: (전주) 군복무:대한민국 육군 (1944년 ~1962년) 육군 제6군단 (근무) 육군 제6군단 부군단장 (지휘), 학력:육군사관학교 3기 졸업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태권도 보급 운동가 활약 |
최홍희(崔泓熙,1918년11월 9일 ~2002년6월 15일)는함경북도명천군에서 태어난대한민국 육군 장성 출신 무술가로,국제 태권도 연맹(ITF)이 주장하는태권도의 창시자이다.[1]
일본주오 대학 법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이던1944년 1월에 징용되어평양의 42부대에서 근무하였다. 그는 조선 학병을 중심으로 전국 반일동맹 조직을 도모했다가 검거되어 6년형(7년형이라는 말도 있다)을 선고받아 평양 형무소에서 수감되었다가 해방과 함께 풀려났다.
해방 이후 군에서 장성으로 복무하던 그는, 해방 전 일본에서 배운가라테를 중심으로 한국군에게 새로운 무술을 가르쳐야겠다고 결심하고 군대내에 도장 오도관을 세워(민간 청도관 출신 인물들이 많았다) 지금의 ITF 태권도의 원형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또 택견에서 영감을 받아서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한다. 1955년 초기 태권도에 많은 기여를 한 청도관에서 손덕성 2대 관장 명의로 명예 4단증을 받았다.[2]
1961년 육군 제6군단 부군단장을 역임하였으며 1962년에 예편하였다. 1962년 4월말레이시아 대사로 발령받았다.[3]
1959년에대한태권도협회를 창립하였다.1966년 3월 22일에국제태권도연맹(ITF)를 창립하고 총재로 취임하였다.
1972년 3월 박정희 정권과 갈등을 빚다 캐나다로 망명한 후유신체제 반대 운동을 펼쳤다. 1980년대 들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몇 차례 방문해 ITF 태권도를 보급했다.
2002년6월 15일 북한과 캐나다를 오가며위암 치료를 받다 평양에서 사망한 뒤애국열사릉에 안장됐다.
최홍희의 영향으로, 스위스에서는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국제태권도연맹(ITF)태권도가 주류를 이루었다.[4] 사실 북미나 공산권에서도 꽤 큰 조직세를 갖추었으나, 그의 사후 내부가 북한계/비북한계로 나뉘어 파벌 싸움이 일어나며 쪼개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90년대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9부~13부의 모델이 최홍희이다.[5]
政府는 外務部待機大使로 있던 崔泓熙씨를 30日字로 「말라야」聯邦駐箚特命全權大使로 任命했으며
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스위스에서는 「북한식 태권도」가 주류를 이뤘다고 한다. 제3대 대한태권도협회장(65~66년)을 역임하고 월북한 최홍희의 제자들이 활동했다. 지금은 북한인들이 거의 활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동안 이 다부작은 ... 崔泓熙(한국외교관출신·전국제태권도연맹 총재) .... 등 지도급 해외동포들의 생애를 다뤘다.
| 초대주(駐)말레이시아 대사 1962년 4월 ~ 1964년 11월 | 후임 최규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