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최정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최정희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글의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주관적인 내용이나 감정적인 표현은 없는지, 고려할 가치가 있는 여러 관점이 편견 없이 공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2012년 9월)
최정희
崔貞熙
작가 정보
출생1912년 12월 3일(1912-12-03)
일제강점기함경남도단천군
(現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함경남도단천시)
사망1990년 12월 21일(1990-12-21)(78세)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직업소설가,시인,수필가,언론인
학력경성 숙명여고보 졸업
경성 중앙보육학교 전문학사
경력한국여류문학인협회 고문
한국소설가협회 대표위원
필명(號)는 담인(淡人)
활동기간1930년 ~1984년
장르소설, 시문학, 수필
부모최재연(부)
배우자김동환(재혼),김유영(이혼)
자녀김지원(첫째 딸)
김채원(둘째 딸)
주요 작품
소설 《인맥》, 《지맥》, 《천맥》
영향
영향 준 인물임옥인 등에게 영향을 줌.

최정희(崔貞熙, 1912년 12월 3일(1912-12-03) ~ 1990년 12월 21일(1990-12-21))는 대한민국의소설가이다. 호는 담인(淡人)이다. 시인김동환의 두 번째 아내이다.함경남도 단천 출생이다.

생애

[편집]

함경남도단천 외가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함경북도북청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함경북도성진에서 성장한 그녀는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중앙보육학교를 나왔다.

1930년일본에서유치진을 중심으로 유학생들이 신극 운동을 할 때 참가하여 문예 운동에 뛰어들었다.

1934년카프 계열 연극인들이 창단한 극단 신건설을 빌미로신건설사 사건이 발생하였다.최정희도 이때 체포되어전주형무소에 수감되었다. 카프계 영화인김유영의 부인이었던최정희는 이 사건에서 여성 작가로는 유일하게 옥고를 치렀다.[1]

두 번째 남편인 김동환과는1931년에 김동환이 발행하는 잡지 《삼천리》의 기자로 입사하면서 만나게 되었다. 당시 김동환은 첫 부인(신원혜, 1993년 타계.)과 결혼하여 자녀들을 두고 있었으나, 최정희와 사랑에 빠져 집을 나간 뒤 새살림을 차렸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김동환이 삼천리사를 발판으로 활발한 친일 활동을 하면서, 최정희도 여성 명사들이 구성한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에 참가하여 〈군국의 어머니〉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는 등 부부가 함께태평양 전쟁 지원에 나섰다.2002년 발표된친일 문학인 42인 명단민족문제연구소2008년 발표한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어 있다. 밝혀진 친일 작품 수는 소설 〈장미의 집〉(1942) 등 총 14편이며[2]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김동환은 광복 후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는 등 고초를 치르다가한국 전쟁 때 납북된 뒤1958년 사망하였고,최정희대한민국 공군 종군작가단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이후대한민국 소설계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로 활동하면서한국여류문학인협회 회장을 지냈고,대한민국예술원 회원도 역임했다. 서울시문화상(1958년)과3·1문화상(1983년)을 수상했다.

문단 등단작은 1931년 《삼천리》에 발표한 〈정당한 스파이〉이다. 이후 1934년 검거될 때까지는 카프의 경향파 문학을 토대로 한 현실참여적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출옥한 뒤로는 여성의 시선에 관심을 두고 남녀간의 애정이나 미망인을 소재로 다룬 작품을 쓰면서 문학적 경향이 변모했다. 가난 때문에 흉가를 얻어 사는 한 여성 가장의 삶을 1인칭 시점에서 묘사한 〈흉가(凶家)〉(1937)와1939년부터 2년간 차례로 발표한 〈인맥〉, 〈지맥〉, 〈천맥〉의 3부작이 이 시기의 대표작이며,중일전쟁부터4·19 혁명까지의 근대사를 배경으로 지식인 남녀를 주인공으로 그린 《인간사》(1960 ~ 1964)는 한국 전쟁 후 발표한 장편 소설이다.

그녀는 한때 1978년 2월에서부터 같은 해 1978년 8월까지신민당 당무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김동환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인 김지원·김채원 자매도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가족 관계

[편집]

학력

[편집]

명예 박사 학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1. “인간사”. 매일경제. 2008년 8월 2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김재용 (2002년 8월).“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67호): 123~148쪽. 2007년 9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1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국제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정희&oldid=3905863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