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최병렬 (정치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병렬
출생1938년 9월 16일(1938-09-16)
일제 강점기경상남도산청군차황면
사망2022년 12월 2일(2022-12-02)(84세)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성별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대한민국
본관화순
학력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문대학원
경력한국일보 기자
조선일보 편집국장
청와대 정무수석
제18대문화공보부 장관
초대공보처 장관
제8대노동부 장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제29대서울특별시장
한나라당 부총재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한나라당 상임고문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배우자백영자
자녀최희준(아들)
종교천주교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2·14·15·16
정당국민의힘
지역구전국구(12·14)
서울서초구 갑(15)
서울강남구 갑(16)

최병렬(崔秉烈,1938년9월 16일 ~2022년12월 2일)은대한민국정치인이다.[1] 그의 호는 우벽(祐碧)이다.[2]

생애

[편집]

서울대학교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1959년한국일보 기자로 입사하면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으며, 4년 뒤인 1963년조선일보로 옮겨 기자 생활을 이어갔다. 1980년 편집국장으로 선임되었고 1983년에는 조선일보 이사에 선임되었다. 조선일보 이사로 근무하던 1985년민주정의당의 공천을 받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1987년 열린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한노태우 후보의 캠프에서 일하며 그의 당선에 기여했다. 민주정의당의 정책연구소 정세분석실장을 역임하였으며, 1988년 2월노태우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정무수석비서관 재임 시기전두환을 비롯한 5공화국 인사들의 정치적 단죄를 주도하였으며, 5공 청문회를 개최하여 전두환을 국회로 소환하였다. 노태우 정부 하에서 문화공보부 장관, 국정홍보처 장관, 노동부 장관을 잇따라 역임하였다. 1990년 3당 합당 후 1992년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김영삼 캠프로 들어가며상도동계에 편입되었다. 3당 합당 이후 YS의 측근이 된 이들을 '신민주계' 로 부른다. 김영삼 후보는 제14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1994년 11월서울특별시장으로 임명되며 마지막 관선직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다. 이듬 해 6월 첫 선출직 자치단체장 선거가 실시되면서 1995년 6월 30일 퇴임하였으며, 퇴임 하루 전인 6월 29일삼풍백화점 붕괴사고가 발생하여조순 서울시장 당선인과 함께 현장을 찾아 구조상황을 점검하고 진두지휘하였다. 서울시장 사퇴 이듬 해인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서초갑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며 국회에 재입성하였으며, 1997년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한국당 경선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6위로 낙선하였다. 낙선 이후이회창 캠프에서 활동하였으나, 이회창 후보가 대선에서 낙선하면서 한나라당은 야당이 되었다.

대선 이듬 해 열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서울특별시장로 후보로 출마해 서울시장직에 재도전하였으나,새정치민주회의 후보로 출마한고건에게 밀려 정치인생 첫 낙선을 경험했다. 그러나 1999년 한나라당 부총재로 임명되면서 정치적 재기에 성공하였으며 2000년 열린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 강남갑에서 당선되었다.

2002년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한나라당 경선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이회창에게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그 후 대선 기간 이회창 후보의 선대위에서 공동 의장으로 임명되어 선거 운동을 총괄했고, 지지 유세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이회창은노무현에게 밀려 다시 2위로 낙선하였고, 이회창은 대선 패배 이후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이듬 해참여정부가 출범하고 2003년서청원 의원을 누르고 한나라당의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최병렬 대표는 취임 초창기에 '소장파' 로 불리던오세훈,남경필 의원 등을 당직에 등용하는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소위 '독수리 5형제' 로 불리던김부겸,이부영,김영춘,이우재,안영근 등 의원 5명이노무현 대통령이 추진하던 개혁 신당에 합류하면서 당의 위기가 찾아왔다. 또한 2003년 말, 대선 당시이회창 캠프가 대기업으로부터 받은 불법 대선자금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면서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폭락하였다.이회창은 미국에서 체류 중 급거 귀국하여한나라당 당사에서 사과성명을 발표하였으며, 최병렬은 이에 이회창에 대한 책임론을 거론하였으나 대선 당시 이회창 캠프에서 일했던서청원 등 당내 이회창계 인사들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자, 최병렬은 국회 당회의실에서 8일동안 단식투쟁을 벌이기도 했다.[3]김영삼은 최병렬의 단식 현장에 방문하여 "굶으면 죽는 건 확실하다"는 뼈 있는 한 마디를 남겨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4] 2003년 12월 5일 특검법안이 국회에서 재가결되자 단식을 중단했다.

2004년 2월 9일, 최병렬 대표는한화그룹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 수감된서청원 의원에 대한 석방결의안을 발의했고, 한나라당 주도로 결의안이 가결되면서 큰 논란이 벌어졌다.열린우리당,새천년민주당 등 야권으로부터 비판을 받은 것은 물론남경필,오세훈 등 당내 소장파들 역시 최병렬의 석방결의안 발의를 비판했다. 최병렬은 17대 총선의 공선심사위원장을 맡은김문수로부터 불출마 권유를 받자, 대표직 사퇴 및 조기전당대회 개최를 약속하였다.

2004년 3월, 한나라당은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기자클럽과의 간담회에서열린우리당에 대한 총선에서의 지지를 호소했던 발언이 대통령의 선거 중립 의무를 위배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탄핵안은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이 공동 발의하여자유민주연합,민주국민당이 모두 발의에 동참하였으며 가 193표, 부 2표로 가결되었다. 최병렬은 한나라당 대표로서 탄핵안 통과를 주도하였고 탄핵 당일 국회 본회의에 참석하여 탄핵소추안에 찬성 투표를 하였다. 그러나 탄핵안 발의 직후 탄핵안 발의에 대한 거센 역풍이 불거져나왔고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결국 최병렬은 2004년 3월 22일 대표직에서 사퇴하였으며, 사퇴와 동시에 정계를 은퇴하였다. 최병렬이 대표직을 사퇴한 뒤 열린 임시전당대회에서박근혜가 한나라당의 새 대표로 선출되었고,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121석을 얻으며 탄핵 역풍 속에서도 개헌발의선을 저지하며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박근혜는 총선 이후 열린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재선출되었다.

정계 은퇴 이후에는한나라당의 상임고문직을 유지하며 보수 원로로 종종 등장하였으며 2022년 12월 2일,삼성서울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학력

[편집]

약력

[편집]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선거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5년총선12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정의당7,040,477표
35.2%
전국구 34번초선
1992년총선14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자유당7,923,718표
38.5%
전국구 10번재선
1996년총선15대국회의원서울 서초구 갑신한국당40,191표
48.56%
1위3선
1998년지방 선거31대시장서울특별시한나라당1,512,854표
43.99%
2위낙선민선 2기
2000년총선16대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한나라당62,489표
56.46%
1위4선

소속 정당

[편집]
소속 정당소속 기간비고
민주정의당1985~1990정계 입문
민주자유당1990~1995합당
신한국당1995~1997당명 변경
한나라당1997~2004합당
무소속2004~2007탈당
한나라당2007~2012복당
정계 은퇴
새누리당2012~2017당명 변경
자유한국당2017~2020당명 변경
미래통합당2020합당
국민의힘2020~2022당명 변경
사망

같이 보기

[편집]

가족 관계

[편집]

국회의원최구식, BBK 특검을 담당한 검사최재경,천정배의 딸과 결혼한 최재만은 최병렬의 조카이다. 아들은 TV조선 앵커 최희준이다.

기타

[편집]

1995년 공중파 방송국에서 드라마 《모래시계》가 방송되기 전까지는광주 민주화 운동은 일반 시민들에게 실탄 발포, 시민군의 존재, 전남도청 점거 등은 철저히 감추어지며 평범한 민주화 시위 비슷한 범주로 광주사태라는 명칭으로 대수롭 않은 일로 알려졌다. 그래서 민주화 운동권 인사들을 제외한 일반 대중들의 1980년대 여당과 관련한 문제 의식은12·12 군쿠데타 밖에 없었다.

각주

[편집]
  1. 한나라당, 최병렬·서청원·박희태 상임고문 위촉[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연합뉴스》
  2. "경제 살리기에는 협력 잘못된 것 걸리면 박살". 2003년 6월 27일. 202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3. 최병렬 단식과 '역대 정치인' 단식의 차이, 《프레시안》, 2003년 11월 26일
  4. 김영삼 전 대통령의 어록, 《매일일보》, 2015년 11월 23일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이진우(정무제1수석비서관)
강우혁(정무제2수석비서관)
제1대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4일
후임
최창윤
전임
정한모
제18대문화공보부 장관
1988년 12월 5일~1989년 12월 27일
후임
(문화부 장관)이어령
(공보처 장관)최병렬
전임
(문화공보부 장관)최병렬
제1대공보처 장관
1989년 12월 28일~1990년 12월 20일
후임
최창윤
전임
최영철
제8대노동부 장관
1990년 12월 27일~1992년 6월 25일
후임
이연택
전임
우명규
제29대서울특별시장(관선)
1994년 11월 3일~1995년 6월 30일
후임
조순
전임
서청원
(대표최고위원 권한대행)박희태
제3대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2003년 6월 26일~2004년 3월 23일
후임
박근혜
공보처장
제1대
제6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대통령 소속 공보실 공보부장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공보부 장관
제11대
제16대
제12대
제17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문화공보부 장관
제17대
제22대
제27대
제18대
제23대
제28대
제19대
제24대
제20대
제25대
제21대
제26대
문화부 장관
제29대
제30대
문화체육부 장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문화관광부 장관
제35대
제40대
제36대
제41대
제37대
제42대
제38대
제43대
제39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제44대
제49대
제54대
제45대
제50대
제55대
제46대
제51대
제47대
제52대
제48대
제53대
노동부 장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16대
제21대
제2대
제7대
제12대
제17대
제22대
제3대
제8대
제13대
제18대
제23대
제4대
제9대
제14대
제19대
제24대
제5대
제10대
제15대
제20대
고용노동부 장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2대
제7대
제3대
제8대
제4대
제9대
제5대
제10대
제1대
제6대
제11대
제16대
제21대
제26대
제31대
제36대
제2대
제7대
고재봉
제12대
제17대
제22대
제27대
제32대
제37대
제3대
제8대
제13대
제18대
제23대
제28대
제33대
제38대
제4대
제9대
제14대
제19대
김성배
제24대
제29대
제34대
제39대
제5대
제10대
제15대
제20대
제25대
제30대
제35대
1번이재형
7번서정화
13번나웅배²
19번현홍주
25번김성기²
31번정창화
37번지연태
43번김집
49번김학준²
55번정휘동
61번이성호
67번김태수
2번진의종
8번박종문
14번조일문
20번이영욱
26번조종호
32번김종인
38번임두빈
44번지갑종
50번서정화
56번김장숙
62번이진
68번홍희표
3번노태우²
9번강경식²
15번권중동
21번김영작²
27번이상희
33번김영구
39번정현경
45번최명헌
51번김두종
57번박혜경²
63번정호근
69번김문기
4번왕상은
10번황인성²
16번이성렬
22번조상현
28번류근환
34번최병렬
40번진치범
46번이종률²
52번양경자
58번이철우
64번김중위
70번정동윤
5번유학성
11번박동진²
17번김현자
23번김영정
29번한양순
35번강용식
41번최영덕
47번조경목
53번문희갑²
59번안영화
65번박성태
71번심국무
6번이상재
12번이용훈
18번배성동
24번안갑준
30번홍종욱
36번송용식
42번임영득
48번김형효
54번김양배²
60번최상진
66번김정균
72번김종렬
²사퇴      †승계
1번김영삼 사퇴
7번정석모 탈당, 사퇴
13번박재홍 탈당, 사퇴
19번김영진
25번이명박
31번이현수
37번유성환 승계
43번이연석 승계
49번김현배 승계
2번박태준 사퇴
8번안무혁
14번강선영
20번강신옥 탈당, 사퇴
26번이환의
32번노인도
38번이재명 승계
44번이민헌 승계
50번김무성 승계 전 탈당
3번김재광 사망
9번이원조 사퇴
15번정시채
21번서상목
27번강인섭
33번구천서 탈당, 사퇴
39번정옥순 승계
45번김재석 승계 전 탈당
51번박승웅 승계
4번노재봉 탈당, 사퇴
10번최병렬 사퇴
16번최운지 탈당, 사퇴
22번윤태균
28번김동근
34번조용직 승계, 탈당, 사퇴
40번윤원중 승계 전 탈당
46번이수담 승계, 탈당, 사퇴
52번진경탁 승계
5번권익현
11번김종인 탈당, 의원직 상실
17번강용식
23번박구일
29번최상용 탈당, 사퇴
35번구창림 승계, 탈당, 사퇴
41번김찬두 승계
47번배길랑 승계, 탈당, 사퇴
53번허세욱 승계
6번이만섭
12번김광수 탈당, 사퇴
18번김영수 사퇴
24번곽영달
30번주양자 탈당, 사퇴
36번박근호 승계
42번김사성 승계
48번김정숙 승계
54번김영순 승계 전 탈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병렬_(정치인)&oldid=4053298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