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
| 성급행정구(省級行政區) |
| 직할시(直轄市) |
| 성(省) |
| 자치구(自治區) |
|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
| 지급행정구(地級行政區) |
| 지급시(地級市) |
| 지구(地區) |
| 자치주(自治州) |
| 맹(盟) |
| 현급행정구(縣級行政區) |
| 시할구(市轄區) |
| 현급시(縣級市) |
| 현(縣) |
| 자치현(自治縣) |
| 기(旗) |
| 자치기(自治旗) |
| 특구(特區) |
| 임구(林區) |
| 향급행정구(鄕級行政區) |
| 진(鎭) |
| 향(郷) |
| 소목(蘇木) |
| 민족향(民族鄕) |
| 민족소목(民族蘇木) |
| 현할구(縣轄區) |
| 가도(街道) |
| 촌급자치조직 |
| 촌(村) |
| 사구(社區) |
| 촌급이하 |
| 촌민소조(村民小組) |
| 기타 |
| 성회(省會) |
| 수부(首府) |
| 부성급시(副省級市) |
| 부성급자치주(副省級自治州) |
| 부지급시(副地級市) |
| 계획단열시(計劃單列市) |
| v • d • e • h |
촌(村)은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는 작은 행정 구역이다.
촌(일본어:村, そん 또는 むら)은 일본의 지방공공단체의 일종이다.시·정하고대한민국의 동격으로 함께시정촌이라고 한다. '~村'은 '~손' 또는 '~무라'라고 읽고 어느쪽으로 정할지는 각 자치체에서 규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정촌의 합병을 유도하여 촌의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현 내에 촌이 1개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게 되었다. 2019년 2월 기준으로 일본에는 183개의 촌이 있다.
촌의 인구는 대부분 1만명 이하이지만,오키나와현의요미탄촌과이바라키현의도카이촌의 인구는 3만명을 넘어정(町)으로 승격될 수 있으나 아직 촌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가장 인구가 적은 촌은도쿄도의아오가시마촌으로 주민 수는 183명에 불과하다. 2014년 1월 1일이와테현의다키자와촌이 '시'(市)로 승격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촌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지위상면(面)에 상당하다.
행정촌(중국어:行政村 xíngzhèngcūn[*]) 또는촌(중국어:村 cūn[*])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촌급 행정 단위의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도시 구역에는사구(중국어:社区)가 설치되고 촌락 지역에는 촌이 설치된다. 한국의 리(里)에 상당하다.
이외에 동일한 수준의 행정 구역으로내몽골 자치구에만 존재하는 가차(중국어:嘎查)와칭하이성에만 존재하는 목위회(중국어:牧委会)가 있다.
촌마다 촌민위원회(村民委员会)가 설치되어 공식적인 커뮤니티의 역할을 한다. 또한 촌의 하위에 이를 세분한촌민소조(중국어:村民小组)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