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체코슬로바키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어:Československo
슬로바키아어:Česko‑Slovensko

1918년~1939년
1945년~1992년

 

표어Pravda vítězí
(체코어:진실은 승리한다, 1918년 ~ 1990년)
Pravda víťazí
(슬로바키아어:진실은 승리한다, 1918년 ~ 1990년)
Veritas vincit
(라틴어:진실은 승리한다, 1990년 ~ 1992년)
국가나의 집은 어디에(Kde domov můj) 및
타트라산맥 위에 번개가 쳐도(Nad Tatrou sa blýska)

체코의 국가

슬로바키아의 국가
수도프라하
정치
대통령
  • 1918년–1935년(초대)
  • 1992년(말대)

총리

  • 1918년–1919년(초대)
  • 1992년(말대)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바츨라프 하벨


카렐 크라마르시

얀 스트라스키
지리
1992년 면적127,900km2
인문
공용어체코어,슬로바키아어
인구
1992년 어림15,600,000명
인구 밀도122명/km2
경제
통화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기타
현재 국가
폴란드의 기폴란드체코의 기체코
슬로바키아의 기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

체코슬로바키아(체코어:Československo 체스코-슬로벤스코[*],슬로바키아어:Česko-Slovensko 체스코-슬로벤스코,문화어: 체스꼬슬로벤스꼬)는1918년부터1992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제외하고)중앙유럽에 있었던공화국이다.1993년1월 1일체코슬로바키아로 나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를 국명으로 사용한 정체는 총 다음과 같다.

역사

[편집]

원래 이 나라는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보헤미아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할 계획이었으나,1918년11월 12일,군주제를 폐하고 제국 국호도 폐함으로써 공화국이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혼합국가의 모습을 띈다.[1] 산업화된 오스트리아에 속했던 체코 지역(보헤미아,모라비아,슐레지엔)은 농업 중심의 후진적인 헝가리에 속했던 슬로바키아 지역과 대조된다.[1] 게다가 이 나라는 게르만족이 매우 강력한 소수민족을 구성하고 있었다.(35% 정도).[1] 체코의 중산계급이 주도하는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에드바르트 베네시가 이끄는) 정부의 중앙집권 정책은 슬로바키아인과 특히 "노스트리피카티온"(사회안정을 위한 체코슬로바키아 계획)으로 피해를 입은 게르만족의 저항을 야기했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몇달 전인1939년에는나치 독일에 불법 점령을 당했다.1941년12월나치 독일선전 포고를 한 바가 있어서연합국이라 봐야 옳다. 제2차 대전 중에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자런던에 망명했던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이 귀국하여 신정부를 조직하였다. 1946년의 총선거에서는 공산당이 제1당이 되어 당수클레멘트 고트발트(1946년에 수상, 1948년부터 1953년까지는 대통령)가 연립내각을 조직하였지만, 1948년 2월의 무혈 쿠데타를 통하여 공산당이 정권을 잡았다. 1960년에는 신헌법이 채택되어 현 국명으로 개칭하였다. 1968년 집권한알렉산데르 둡체크(당제1서기)를 비롯한 개혁파들은 먼저 민주화를 시도했으나 이같은 움직임을 자본주의 부활이라고 경계해오던 소련 등바르샤바 조약기구 5개국 군대가 무력으로 그 해 8월 21일 밤 체코를 강제로 점령하고,[2]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강제로 막음으로써 실패로 끝났다. 이로 인해 전 세계의 비난이 가중되기도 하였다.(→프라하의 봄) 1969년 1월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연방제가 수립되었다.[2]

1989년 당시슬로바키아에게 평화로운 완전 자치를 주었고,1993년에 평화롭게 분리되었다.

정치

[편집]

1939년 나치의 점령 후 혼란이 이어지다가 1948년바츨라프 성에서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고,1989년에 시민 혁명을 통해 다시 민주화되었다.

종교

[편집]

대부분이가톨릭을 믿었다. 하지만 15세기에얀 후스에 의해 체코종교개혁 이후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가톨릭을 믿는 합스부르크왕가가 보헤미아를 지배하면서 급속하게 가톨릭화가 진행되었고페르디난트 2세의 박해로개신교를 억압했다. 이에 보헤미아의 개신교 귀족들이 가톨릭 교인들을 창밖으로 투척한 "창 밖 투척사건"이 벌어지면서30년 전쟁으로 발발하였고빌라 호라 전투 이후 개신교 동맹이 패배하며 가톨릭으로 바뀌었다.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으면서 개신교가 멸절 상태가 되고, 개신교인들은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3]

교육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체코슬로바키아의 교육입니다.

지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르주 뒤비 지음, 채인택 옮김, 《지도로 보는 세계사》, 생각의 나무 (2006), 198쪽
  2.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3. 권재일《체코.슬로바키아사》(한국외국어대 지식출판원)

외부 링크

[편집]
1918년
이전
1918년~
1938년
1938년~
1945년
1945년~
1948년
1948년~
1989년
1989년~
1992년
1993년
이후
보헤미아
모라비아
실레시아
오스트리아 제국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a
주데텐란트b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e
1948년~1960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f
1960년~1990년
체코
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1990년~1992년
체코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c
1938년~1939년
보헤미아-
모라비아
보호령

1939년~1945년
슬로바키아헝가리
왕국
슬로바키아
공화국

1939년~1945년
슬로바키아
남슬로바키아 및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d
아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자카르파탸주g
1944년 / 1946년~1991년
자카르파탸주h
1991년~현재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a ČSR;1920년 헌법에 의해 설립된 경계 및 정부.
b나치 독일에 병합됨.
c ČSR; 슬로바키아 및 아카르파티아 루테니아자치 지역을 포함.
d헝가리병합됨 (1939년~1945년).

e ČSR;1948년 쿠데타 이후,5월 9일 헌법에 따라 (정식 명칭 변경 없이) "인민민주주의"를 선언.
f ČSSR; 1969년프라하의 봄 이후,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ČSR) 및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SSR)으로 구성됨.
g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h우크라이나의 주.

산하기구
회원국
참관국
구 회원국
국제
국가
지리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체코슬로바키아&oldid=3901969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