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청량리역

좌표:북위 37° 34′ 51.1″동경 127° 02′ 54.2″ / 북위 37.580861° 동경 127.048389° /37.580861; 127.048389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슷한 이름의청량신호소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청량리
역사
역사
경의중앙선 역명판
경의중앙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청량리관리역
소재지서울특별시동대문구 왕산로 214
좌표북위 37° 34′ 51.1″동경 127° 02′ 54.2″ / 북위 37.580861° 동경 127.048389° /37.580861; 127.048389
개업일1911년 10월 15일
역번경의중앙선 :K117
수인분당선 :K209
종별관리역
등급1급
역 코드코레일: 090
AFC: 1014
승강장 수4면 8선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거리표
경원선
용산 기점 12.7 km[1]
회기
(1.4 km)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서울교통공사
소재지서울특별시동대문구왕산로 지하205
좌표북위 37° 34′ 48.4″동경 127° 02′ 42.2″ / 북위 37.580111° 동경 127.045056° /37.580111; 127.045056
개업일1974년8월 15일
역번124
AFC 코드0158
승강장 수1면 2선(섬식)
비고수도권 전철: 서울 1호선 - 경원선 직통운행
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7.8 km[2]
← 123회기
(1.4 km)

청량리역(Cheongnyangni Station, 淸凉里驛)은대한민국서울특별시동대문구전농동에 있는경원선,중앙선철도역이자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경춘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전철역이자환승역이다.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서울역까지 지하 구간이고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이 역부터상봉역을 지나서춘천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부터왕십리역까지 지상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심야에 3편성이 주박한다.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이 역부터상봉역을 지나서신내역까지서울특별시 구간이다.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이 역부터왕십리역을 지나서복정역까지서울특별시 구간이다.

일제강점기였던1938년5월 1일동경성역(東京城驛)으로 역명이 변경됐다가1942년6월 1일에 본래의 역명인청량리역으로 다시 환원됐다.

청량리역사

[편집]
1914년의 청량리역 모습

청량리역은경원선을 처음 계획할 당시에는 구상되지 않았던 정거장이었으나 서울의 동쪽 간문에 해당하는 곳이라 하여 뒤늦게 정거장 개설지로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청량리정거장과 왕십리정거장은 서로 2킬로미터 남짓한 거리에 불과할 정도로 다른 구간에 비해 매우 인접한 곳에 자리하게 되었다.

청량리역은 1911년 10월 용산~의정부 구간을 우선 개통할 때부터 처음 사용되었다.[3]

전차노선인 청량리선은 바로 연장되지 않고 이후 조선박람회를 위해 역전역을 신설하며 연장한다.

기능 확장 및 철도관사 건설

[편집]

철도부설과 더불어 철도직원의 주거대책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도관사 역시 건축되었다.

일제강점기 관청, 공공기관, 기업체가 각 기관의 공무원이나 회사원에게 공급하는 주택을 관사·사택으로 불렀는데, 이러한 주택들은 용산일대 등 철도 및 일본의 관리나 일본군의 주둔지 등에 건립된 경우가 많았다.

청량리지역 역시 중앙선 부설에 앞서 역 주변 전농정(典農洞) 위치에 철도관사를 약 400호 건축하였다.

현 동대문구 전농동, 전농2동 일대에 일부 남아있다.[4]

관사는 관(官) 주도로 조직적으로 건축되어 관리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는 일종의 공공임대주택이다.

1920년대 이후 주택난이 가중될 당시 경성부청이 민간 회사에 공문을 보내 사택을 건설할 것을 요청할 정도로 관사와 사택의 건설이 정책적으로 권장되었고, 그 결과 1920년대 초반 신축된 일식주택의 절반에 달할 정도로 관사는 강점기간 내내 꾸준히 건설되었다.

관사의 공급 확대에도 불구하고 주택난이 심화되자 1930년대 후반 일제는 소규모 관사의 공급을 확대한다.[4]

조선의 교통량이 증가하여 경성역이 혼잡하게 되자, 총독부는 경성역의 화물부담을 청량리역으로 이전하고자 결정한다.

이를 청량리역은 경성일대의 화물취급을 담당하기 위해 1935년 당시의 10배 이상으로 확장된다.[5]

이에 따라 1937년에 청량리 철도관사가 건립된다.[6]

두 차례의 개칭

[편집]

이후 1936년에경성부가 확장되고, 1938년에경춘선의 기점이자중앙선의 종점으로 지정되었고, 경성역의 화물부담을 인계받아 경성일대의 화물취급을 담당하는 등 역의 지위가 향상됨에 걸맞게 5월 1일부로 동경성역(東京城驛)으로 역명을 변경한다.

이 때영등포역도 남경성역으로 함께 역명을 변경한다.[7][8]

또한 경성역의 화물취급 역시 같은 해 7월부터 정상적으로 이전되었다.[9]

그러나 중국에 있는 역명과 혼동이 있다는 이유로 1942년에 영등포역과 함께 다시 청량리역이라는 원래의 이름을 회복한다.[10]

개요

[편집]

한국철도공사

[편집]

한국철도공사 소속 청량리역은경원선,중앙선철도역으로,중앙선의 기점으로 이 역에서경원선으로부터 분기한다.

중앙선무궁화호태백·영동선무궁화호의 시·종착역이며,경춘선ITX-청춘강릉선KTX,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편도 10회 시·종착하고,수인·분당선 열차는 상·하행을 포함하여 18회 정차하며, 극히 드물게 임시 무궁화호도 다닌다.[11]

덕소역,용문역,춘천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왕십리역 출발 후 청량리역 진입 이전중앙선 선로로 진입하며, 반대로문산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 청량리역 출발 후경원선에 합류한다.

서울교통공사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서울교통공사 관할 청량리역은서울 지하철 1호선 종점으로 유치선이 있다. 다만, 선로는경원선회기역과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 모든 열차들의 기·종점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경원지선 용산~성북 구간 열차가 폐지되기 이전에는경인선 일부 열차와구로역 이남으로 운행하는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들의 기·종점이었다.신창, 천안-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완행열차는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된다(단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지상으로 올라갈 때절연 구간이 있으며,회기역에서 내려올 때 유치선을 통하여 천안·신창 급행 열차를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제공하는 운행 시각표상 표기는1지청이며, 이는 “1호선 지하 청량리의 약자로,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있다.[12][13]

부근에서울시립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환승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직접 연결되는 환승 통로는 없었으나, 승차권에 환승 표시를 하는 방식으로 역외를 통한환승이 가능했었다.

이후 1986년자동 요금 징수, 마그네틱 종이 승차권 도입 등에 따라 환승이 제한되었지만,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민자역사 준공과 함께 환승 통로가 개설되어 자유로운환승이 가능해졌다.

연혁

[편집]

1999년부터 가설 임시 역사로 운영되다가, 2010년 8월 18일에민자역사가 완공되었다.

이에 앞서, 2010년 3월 5일부터 역무 기능을 기존의 임시 역사에서 우선 이전하였다.[14]

한국철도공사

[편집]

서울교통공사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사고

[편집]

2007년 8월 13일 오후 5시 40분경 청량리민자역사 신축 공사장에서 약 25m 높이의천공기가 전복되어 플랫폼에서 열차를 기다리던 일반인 2명이 사망하였다.

사고의 여파로 고압선이 끊어져경원선경춘선,중앙선 일부 구간이 단선되었으며, 이튿날 자정이 넘어서야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25]

경찰 측은 공사장에서 터 파기 작업을 위해 철심을 박던 중크레인을 옮기다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공사장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밤샘 조사를 벌였다.[26][27]

역 구조

[편집]

출구는 7개다.

지상

[편집]

4면 9선의 승강장이며 전철 승강장에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회기(경의·중앙선,경춘선)/상봉(중앙선)/시·종착역(수인·분당선)
| | | | | | | |78 |
왕십리(경의·중앙선,수인·분당선) ↓/서울(경강선,중앙선) ↓/시·종착역(경춘선 )
1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일반열차선정릉 · 서현 · 기흥 · 수원 · 인천 방면
2수도권 전철 경춘선급행열차 · 일반열차상봉 · 퇴계원 · 평내호평 · 가평 · 춘천 방면
3강릉선 · 중앙선KTX서원주 · 만종 · 강릉 · 동해 · 제천 · 안동 방면
4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급행열차 · 일반열차회기 · 망우 · 구리 · 덕소 · 용문 · 지평 방면
경춘선ITX-청춘상봉 · 평내호평 · 마석 · 청평 · 가평 · 춘천 방면
5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급행열차 · 일반열차왕십리 · 이촌 · 용산 · 문산 방면
경춘선ITX-청춘왕십리 · 옥수 · 용산 방면
6강릉선 · 중앙선KTX행신 · 서울 방면
7~8

중앙선태백선정선선

KTX

무궁화호
ITX-마음
정선아리랑열차

원주 · 제천 · 영주 · 안동 · 부전 방면
태백 · 동해 · 부전 방면
제천 · 민둥산 · 정선 · 아우라지 방면

지하

[편집]

1면 2선의섬식 승강장이며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지하역이면서도 대합실이 아래층에, 승강장이 위층에 있는 특이한 역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회기 방면 선로를 지상으로 쉽게 유도하여경원선직결 운행하기 위하여 승강장을 얕은 깊이에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1호선 승강장
회기
|상 하 |
제기동
상행수도권 전철 1호선광운대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 당역종착
하행서울 · 용산 · 영등포 · 구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급행 · 특급)

방면

1호선 청량리역 진입 전에 X자형 교차가 존재하며,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열차가 청량리역신창 방면 플랫폼(2번)으로 역주행해 정차한 후,회차선을 거치지 않고 바로천안·신창 방면으로 출발할 때가 있으며 이 때 X자형 선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2019년 12월 30일부터천안,신창발 경부선 완행열차 대부분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에서광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 단 경부선 완행열차 일부 한정으로 다시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이용객 변동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승차49,25347,68246,05845,90947,66048,42342,06540,92940,30838,730[28]
하차48,74646,26544,65844,77546,06846,84541,19440,38539,69438,414
승하차97,99993,94790,71690,68593,72895,26883,25981,31480,00177,145
1호선(중앙선)승차6,4455,4937,0568,6875,2174,9904,9794,9324,8634,842[29]
하차8,05611,0999,95010,6297,4197,4026,5116,3926,2436,241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1호선승차36,59034,63233,36131,86931,26430,25729,68627,93026,466[28]
하차36,48734,13533,47432,59331,98731,12830,72928,87327,462
승하차73,07768,76766,83564,46263,25161,38560,41556,80353,928
경의·중앙선승차7,43210,76612,07614,17514,77215,23415,33015,21616,626[29]
하차8,99812,76014,41116,63617,16817,39617,34216,94818,098
ITX-청춘승차미개통2,3743,0573,2233,0483,0412,7782,790
하차2,4353,0653,2683,0043,0332,7972,829

인접한 역

[편집]
KTX
서울
행신 방면
KTX
강릉선
상봉
강릉 방면
서울
서울 방면
KTX
영동선
상봉
동해 방면
서울
서울 방면
KTX
중앙선
상봉
부전 방면
새마을호
시·종착역정선아리랑열차원주
정선 방면
ITX-마음
시·종착역ITX-마음
태백선
원주
동해 방면
시·종착역ITX-마음
중앙선
덕소
부전 방면
무궁화호
시·종착역무궁화
태백선
덕소
동해 방면
광역전철 (중앙선)
K116왕십리
문산 방면
문산 방면
문산 방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본선 완행
경의선본선 급행
중앙선 급행
K118회기
지평 방면
용문 방면
용문 방면
시·종착역수도권 전철 경춘선
완행 · 급행
K118회기
춘천 방면
왕십리
용산 방면
ITX-청춘
경춘선
상봉
춘천 방면
광역전철 (서울 지하철 1호선)
123회기
연천 방면
광운대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 경원선급행
경부선 완행
125제기동
인천 방면
서동탄 · 신창 방면
시·종착역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급행
125제기동
신창 방면
광역전철 (경원선)
시·종착역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분당선 급행
K210왕십리
인천 방면
고색 방면


역 주변

[편집]

사진

[편집]

지상 청량리역

[편집]
  • ITX-청춘 역명판
    ITX-청춘 역명판
  • ITX-청춘 승강장
    ITX-청춘 승강장
  • 일반열차 승강장
    일반열차 승강장
  • 임시역사 (1999년 ~ 2010년)
    임시역사
    (1999년 ~ 2010년)
  • 대합실 (1999년 ~ 2010년)
    대합실
    (1999년 ~ 2010년)
  • 플랩식 출발안내기
    플랩식 출발안내기
  • 승강장 (1999년 ~ 2010년)
    승강장
    (1999년 ~ 2010년)
  • 수인분당선 역명판
    수인분당선 역명판
  • 수인분당선 승강장
    수인분당선 승강장
  • 경의중앙선 승강장
    경의중앙선 승강장
  • 경의중앙선 역명판
    경의중앙선 역명판

지하 청량리역

[편집]

문화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도라산 기점 70.0 km
  2. 연천 기점 60.6 km
  3. “아카이브 상세 < 京元線寫眞帖 경원선사진첩 < 서울역사아카이브”. 2020년 10월 2일에 확인함. 
  4. “아카이브 상세 < 청량리 <서울역사아카이브”. 2020년 10월 2일에 확인함. 
  5. “대경성 동부 관문, 청량리역을 확장, 경성 일대의 화물 취급역으로 현재 10배로 확대”. 조선중앙일보. 1935년 2월 17일. 
  6. “淸凉里驛中心으로 鐵道村을 建設 驛改築과 同時에”. 每日申報. 1937년 5월 21일. 
  7. “大都京城의 兩翼 淸涼里驛은 東京城驛이라 하고 永登浦驛은 南京城驛 改名”. 동아일보. 1938년 4월 12일 조간.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8. “東京城驛(淸凉里) 南京城驛(永登浦) 今日부터 改稱實施”. 매일신보. 1938년 5월 1일. 
  9. “長斫 七月一日부터 東京城驛에서 取扱”. 동아일보. 1938년 5월 16일. 
  10. “東, 南 京城驛 改稱 - 다시 淸凉里, 永登浦로”. 매일신보. 1942년 5월 2일. 
  11. 드물게 임시 열차가경원선,경부선을 경유해서울역,영등포역으로 운행한다.
  12.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13. 서울교통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도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으로,한국철도공사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14. “청량리역, 복합문화공간으로 변신”. 이투뉴스. 2010년 3월 4일.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15. 조선총독부 관보고시 제296호, 1911년 9월 25일
  16.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30호, 1938년 4월 21일
  17.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03호, 1942년 5월 7일
  1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5호, 1976년 7월 2일
  19. “청량리 민자역사 18일 준공…역세권 '환골탈태'. 연합뉴스. 2010년 8월 11일. 2015년 1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20. “코레일, 청량리 민자역사 20일 준공”.연합뉴스. 2010년 8월 18일. 2015년 1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21.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
  22. ‘영동남부 주민들의 염원’ 동해역 KTX 3월 2일 개통 확정 강원도민일보
  23. 주요 정차역은 청량리-양평-원주-제천-영주-안동 순이며, 2022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완료 이후부터는 안동-의성-영천-신경주-태화강-부전 순으로 운행될 가능성이 있다.
  24.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2009년 10월 29일.
  25. “청량리역 크레인 전복…승객 2명 사망”.연합뉴스. 2007년 8월 13일. 2012년 2월 7일에 확인함. 
  26. 박, 선하 (2007년 8월 14일).“청량리역 천공기 전복 사고로 2명 사망”. 《MBC 뉴스투데이. 2018년 4월 17일에 확인함. 
  27. 김, 요한 (2007년 8월 13일).“열차 타려다 날벼락…크레인 쓰러져 2명 사망”. 《SBS 8 뉴스. 2018년 4월 17일에 확인함. 
  28.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2018년 3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29.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
차량
국내용
운행 중
개발 중
수출형
운행 노선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
행신 ~부산
서울 ~수원 ~부산
행신 ~구포 ~부산
경전선 계통
행신 ~진주
동해선 계통
행신 ~포항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
행신 ~목포
행신 ~서대전 ~목포
전라선 계통
행신 ~여수엑스포
용산 ~서대전 ~여수엑스포
강릉선 계통
행신 ~강릉
서울 ~동해
중앙선 계통
서울 ~부전
중부내륙선 계통
판교 ~문경
경춘선 계통
용산 ~춘천
경부선 계통
서울~부산
서울~신해운대
경전선 계통
서울~진주
동해선 계통
부전~강릉
동대구~부전
동대구~강릉
호남선 계통
용산~목포
용산~익산
용산~광주
전라선 계통
용산~여수엑스포
중앙선 계통
청량리~부전
태백선 계통
청량리~동해
서해선 계통
서화성~홍성
평택선 (순환) 계통
홍성~홍성
장항선 계통
용산~홍성
경부선 계통
서울 ~부산
호남선 계통
용산 ~목포
용산 ~광주
광주 ~목포
충북선 계통
서울 ~제천
대전 ~제천
경전선 계통
부전 ~광주송정
동대구 ~진주
장항선 계통
용산 ~익산
전라선 계통
용산 ~여수엑스포
동해선 계통
포항 ~부전
동대구 ~포항
동대구 ~부전
영동선 계통
동해 ~영주
동해 ~동대구
경북선 계통
영주 ~김천
태백선 계통
청량리 ~동해
교외선 계통
대곡 ~의정부
경원선 계통
연천 ~백마고지
목포보성선 계통
순천 ~목포
청량리 ~아우라지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경부고속선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도라산 ~ 임진강: 운행 중단
임진강 ~ 문산: 셔틀전철 형태로 주중 2회, 주말 4회만 운행.
경원선
분당선
수인선
본선
지선(망우선)
광운대 -상봉(춘천 방면)
* 지선은 평일 출퇴근시간대에 한해 왕복 4회 운행
  :폐역.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1. 영업거리표 미기재. 공식적으로 미개업.
1:경강선(원주-강릉)으로 편입.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철도
노선
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교량
도로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
국도·국지도
시내간선도로
특별시도
교량
터널
버스
시내버스
환승센터
고속·시외
버스전용차로
기타
교통카드
항공
자전거
요금제
수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청량리역&oldid=4091452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