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철혈 연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와 철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피와 철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철과 피(독일어:Eisen und Blut 아이젠 운트 블루트[*])는 1862년프로이센의 총리 겸 외무대신인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한 연설 제목이다.

1862년 프로이센 하원이빌헬름 1세의 군비 확장 법안을 승인하지 않으려고 하자 왕은 비스마르크를 총리 겸 외무대신으로 임명하였다. 며칠이 지난 뒤 비스마르크는 의회 예산위원회에 나타나 군비 확장이 필요함을 이 "철과 피" 연설로 웅변했다. 비스마르크의 연설은 다음과 같은 말로 결론지어지는데, 이 때 나온 "철과 피"라는 구절이 알려져 그 뒤로 이것이 그대로 연설 제목이자 비스마르크의 별명이 되었다.[1]

독일은 프로이센의 자유주의가 아닌 힘을 찾고 있소. …(중략)… 프로이센이 유리한 순간을 잡으려면 그 힘을 모으고 유지해야 하지만 그런 순간은 이미 몇 차례 왔다가 가버렸소.빈 조약 이래 우리는 우리의 건강한 정치 통일체에 걸맞지 않게 형편없는 국경을 가지고 있소. 오늘의 커다란 문제 앞에 내려야할 결단은,1848년과 1849년에 이미 저질렀던 큰 실수인 연설과 다수결이 아니라, 철과 피로써 이루어져야 할 것이외다.

비스마르크는 사실 군국주의자라기보다 현실주의자이며 탁월한 외교관이었지만 이 "철과 피" 연설이 너무 유명해져서 전쟁을 통해독일의 통일을 이룬 그의 정책 자체를 일컫는 대명사처럼 되었다. 비스마르크 본인도 "철의 재상(the iron chancellor)"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각주

[편집]
  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Excerpt from Bismarck's "Blood and Iron" Speech (1862)

참고 문헌

[편집]
  • Armin Jähne:Blut und Eisen. In: Kurt Pätzold, Manfred Weißbecker (Hrsg.):Schlagwörter und Schlachtrufe. Aus zwei Jahrhunderten deutscher Geschichte. Band 1, Leipzig 2002,ISBN 3-86189-248-0, S. 76–82.
  • Christoph Jahr:Blut und Eisen. Wie Preußen Deutschland erzwang. 1864–1871. Beck, München 2020,ISBN 978-3-406-75542-2.
  • Amerigo Caruso:Blut und Eisen auch im Innern. Soziale Konflikte, Massenpolitik und Gewalt in Deutschland vor 1914. Campus, Frankfurt / New York 2021,ISBN 978-3-593-51328-7.
  • Duden-Eintrag „Blut und Eisen“ siehe: Zitate und Aussprüche. 2., neu bearbeitete und aktualisierte Auflage [redaktionelle Bearbeitung: Maria Grazia Chiaro und Werner Scholze-Stubenrecht], Mannheim u. a. 2002, S. 87.

외부 링크

[편집]
관련 국가
관련 연합체
관련 사건
관련 인물
관련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철혈_연설&oldid=3982076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