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서는 한국의 분단 이전에 존재했던 철원군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철원군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한국의 분단 이전에 존재했던 철원군에 관한 것입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철원군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철원군(鐵原郡)은강원도 북서부에 위치한군이다.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해 예부터 중시되었던 곳으로궁예가 세운태봉이 한때 수도로 삼았던 곳이다.조선시대에는 강원도 서북부를 아우르는 중심지로 발전하였으며,일제강점기에는 철도(경원선)와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로 성장하였다.
철원군 전 지역이38선 이북에 위치하여 광복 직후(1945년 9월 2일)소련군정의 관할 아래 들어갔고,한국 전쟁 중에는철의 삼각지대의 격전지여서 이 지역을 가로질러군사분계선이 설정되어 군역(郡域)이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현재 철원군은대한민국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쪽 모두 설치하고 있는 행정구역이다.
철원군도고성군과 마찬가지로 남북으로 분단 된 군이다.그중에서도 분단되어있는읍이나면을 예시로 들자면 철원군에서는김화읍이 대표적이다. 기존의 김화읍은 일부가북한의 강원도(북측) 김화군이 되었다.
| 1914년 | 현재 | ||
|---|---|---|---|
| 면 | 리 | 읍·면 | 리 | 
| 어운동면 (於雲洞面) |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 | 철원군 | 강산리, 중강리 | 
|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일부, 중강리 일부 | 철원군 동송읍 |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중강리 | |
| 동송면 (東松面) [6] |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 |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 상노리 | |
| 갈말면 (葛末面) |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일부, 토성리 일부, 문혜리, 군탄리 일부, 군탄리 일부, 지포리 일부, 지포리 일부 | 철원군 갈말읍 | 상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문혜리, 군탄리, 신철원리, 지포리, 강포리 | 
| 북면 (北面) | 홍원리 일부, 유정리 일부 | 철원군 철원읍 | 홍원리, 유정리 | 
|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일부, 홍원리 일부 | 철원군 |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삼사리 | |
| 묘장면[7] (畝長面) |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 | 독검리 일부? ,삼사리 일부? | |
|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일부, 가단리 일부 | 철원군 철원읍 | 대마리, 중세리, 산명리, 가단리 | |
| 서변면 (西邊面) |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 |
| 내문면 (乃文面) | 독검리 일부 | 독검리 | |
| 마방리, 내문리, 창동리, 반석리, 독검리 일부, 오동리 | 철원군 | 마방리, 내문리, 오동리, 반석리, 독검리 | |
| 마장면 (馬場面) | 밀암리, 립석리, 왕피리, 장포리, 남원리, 대전리 | 밀암리, 립석리, 신진리, 마장리, 남원리, 대전리 | |
| 인목면 (寅目面) | 검사리, 신현리 일부, 승양리, 갈현리 일부, 덕산리 일부, 도밀리 일부 | 검사리, 송현리, 가승리, 갈현리, 도밀리 | |
| 신현리 일부, 갈현리 일부, 덕산리 대부분, 도밀리 일부 | 연천군 신서면 | 신현리, 갈현리, 덕산리, 도밀리 | |
| 신서면 (新西面) |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 |
 이 부분의 본문은철원군 (남)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철원군 (남)입니다.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이다. 4읍 7면(그 중 1읍 7면은김화군에서 편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어운면, 묘장면, 북면, 인목면, 내문면, 마장면의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다.[8] 광복 당시 면적은 841km2, 군청 소재지는 철원읍 사요리였다.(현재 철원군청 소재지는 갈말읍 신철원리) 이북5도위원회에서 임명하는 6개 면이 관할하는 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 면 | 리의 수 | 리(里) | 비고 | 
|---|---|---|---|
| 어운면(於雲面) | 5 | 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 | 동송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 
| 묘장면(畝長面) | 4 | 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 | 철원읍에 편입 전 지역 수복 | 
| 북면(北面) | 6 | 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 | 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 
| 내문면(乃文面) | 6 | 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 | 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 
| 마장면(馬場面) | 6 | 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 | 전 지역 미수복 | 
| 인목면(寅目面) | 6 | 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 | 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신서면에 편입 | 
 이 부분의 본문은철원군 (북)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철원군 (북)입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 1읍 36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의 남쪽은군사분계선을 경계로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과경기도연천군에 접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