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삭동물(脊索動物, chordate) 또는척색동물은 발생 시에척삭이 만들어지는동물로후구동물 상문의척삭동물문(학명: Chordata)에 속한다. 척삭은 대부분 연골이나 경골로 이루어진 척추로 바뀌지만 평생 척삭이 남는 동물도 있다.
분류학에서는척추동물 아문에 속하는 모든 동물, 예를 들어사람을 포함한포유류,양서류,파충류,조류,어류와피낭동물 아문에 속하는해초강,탈리아강과 같은 동물들을 모두 척삭동물문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때는장새류와 같은반삭동물문도 척삭동물문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서로 다른 문으로 본다. 후구동물 상문에 속하는 또 다른문으로는불가사리류 같은 것이 속해 있는극피동물문이 있다.
피낭동물아문은 유충일 때척색과신경관을 가지고 있다가 성충이 되면 없어진다.두삭동물아문은 일생 동안 척색과 신경관이 있지만뇌와 같은 특별한 신경절은 없으며순환계통 역시 매우 단순하다. 두삭동물아문 가운데유두동물만이 두개골을 갖고 있다.먹장어를 제외한 모든 유두동물의척수는연골 조직이나뼈로 된척추로 둘러싸여 있고 척색은 퇴화되어 있다.[주해 1]
척삭동물문과 함께 후구동물상문을 이루는 분류군으로는반삭동물문과극피동물문, 그리고진와충동물문이 있다. 후구동물상문은 전체 동물계의 종 수 가운데 3분의 2를 차지한다.
척삭동물의진화에는 몇 가지 가설이 있다. 현재 널리 인정되는 이론에 따르면 척삭동물은 모두가 하나의공통 조상에서 진화한단계통군으로서 어느 시점에유두동물과두삭동물로 나뉘었다고 본다. 척삭동물의 화석은 초기캄브리아기 층에서부터 발견되며,마오티엔산(毛天山) 혈암층에서 어류 두 종이 발견되었다. 캄브리아기 화석은 그 수가 적은 편으로 대부분은분자 고생물학 수준에서 생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유두동물을 두삭동물과 분리하여 별도의 아문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 CAMPBELL, NEIL A. & REECE, JANE B. (2005). Biology, Seventh Edition. San Francisco CA: Benjamin Cummings.p. 676
↑Valentine, J.W. (2004). On the Origin of Phyl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7.ISBN0-226-84548-6."Classifications of organisms in hierarchical systems were in use by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Usually organism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as perceived by those early workers, and those groups were then grouped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nd so on, to form a hierarchy"
↑Rychel, A.L., Smith, S.E., Shimamoto, H.T., and Swalla, B.J. (2006).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the Chordates: Collagen and Pharyngeal Cartilage".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3 (3): 541–549. DOI:10.1093/molbev/msj055.PMID 16280542.
↑Putnam, N. H.; Butts, T.; Ferrier, D. E. K.; Furlong, R. F.; Hellsten, U.; Kawashima, T.; Robinson-Rechavi, M.; Shoguchi, E.; Terry, A.; Yu, J. K.; Benito-Gutiérrez, E. L.; Dubchak, I.; Garcia-Fernàndez, J.; Gibson-Brown, J. J.; Grigoriev, I. V.; Horton, A. C.; De Jong, P. J.; Jurka, J.; Kapitonov, V. V.; Kohara, Y.; Kuroki, Y.; Lindquist, E.; Lucas, S.; Osoegawa, K.; Pennacchio, L. A.; Salamov, A. A.; Satou, Y.; Sauka-Spengler, T.; Schmutz, J.; Shin-i, T. (June 2008). “The amphioxus genome and the evolution of the chordate karyotype”. 《Nature》453 (7198): 1064–1071.Bibcode:2008Natur.453.1064P.doi:10.1038/nature06967.PMID18563158.
↑Ota, K. G.; Kuratani, S. (2007년 9월). “Cyclostome embryology and early evolutionary history of vertebrate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47 (3): 329–337.doi:10.1093/icb/icm022.PMID21672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