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처녀자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처녀자리
학명: Virgo
처녀자리 성도
약자Vir
소유격Virginis
상징처녀
적경13h 21m
적위−3°31′
넓이1294 평방도 (2위)
주요 항성 갯수??개
가장 밝은 항성스피카 (α Vir) (1m)
유성우
  • ????
  • ???
이웃 별자리
위도 +80°에서 −80°사이 지역에서 관측 가능.
5월 25일월 21:00 (9 p.m.)에서 최적의 관측 가능.

처녀자리(라틴어:Virgo 뷔르고[*])는 하늘의 적도 부근의 비교적 큰별자리로,황도12궁 중 하나이다.사자자리천칭자리 사이에 놓여 있으며, 별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스피카를 중심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추분점 이 별자리에 있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청룡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별자리인각수항수,동태미원에 해당한다.

별과 천체

[편집]

처녀자리는 종종 두 개의 이삭을 갖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그 중 하나가 가장 밝은스피카(Spica, α Vir)가 된다. 스피카는북두칠성의 국자로부터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에 이르는 곡선을 연장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밖에 밝은 별들은 다음과 같다.

비교적 어두운 별들에도 별칭이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처녀자리 70 별은 초기에 알려진 태양계외 행성계로, 목성의 7.5배 질량의 행성이 확인되었다.처녀자리 HW 별은 대한민국이 발견한 최초의쌍성주위 행성계이다.

은하단

[편집]
헤벨리우스 성도의 처녀자리
천구 바깥에서 본 그림으로, 좌우가 바뀌었다.

처녀자리는 경계 부근에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Virgo cluster)이 처녀자리 ε별(Vindemiatrix) 서쪽 5° ~ 10°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특히 은하계가 많은데,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이 중에서메시에 104(M104)는 솜브레로(맥고모자) 은하라고도 불리는 특이한 나선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는 속해 있지 않다. 스피카 서쪽 10°에서 찾을 수 있다.

추분점

[편집]

세차운동의 효과로,추분점(autumn equinox point)이 처녀자리 β별 부근의 천칭자리와의 경계 안쪽에 놓여 있다. 이는천구의 적도황도와 만나는 두 점 중 하나로, 다른 하나인춘분점물고기자리에 놓여 있다. 추분점은2440년경에는사자자리로 옮겨가게 된다.

신화와 역사

[편집]

처녀자리가 정확히 누구를 뜻하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역사 속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유명한 여신과 관련되었다. 이시타르(Ishtar), 이시스(Isis), 퀴벨레(Cybele), 성모 마리아, 아테나(Athena) 등이 그 예이다. 처녀자리는큰곰자리,작은곰자리와 함께칼리스토의 전설의 일부가 되어 칼리스토나헤라로 여겨지기도 했다.페르세포네가 언급되기도 하는데, 그녀가 지하세계로부터 올라오는 시기라고 믿어지는 봄에 처녀자리를 볼 수 있다. 페르세포네는 일부 신화, 특히엘레우시스 신비 가르침에서는 데메테르로 여겨졌다.

일부 해석에서는, 이 별자리는제우스신과테미스(Themis)여신의 딸 아스트라이아(Astraea)로 묘사된다. 이는 아스트라이아는 정의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의의 저울인천칭자리가 주변에 있기 때문이다. 아스트라이아는, 신들이 인간과 함께 사이 좋게 살다가 인간들이 다투기만 하여 한 명씩 떠날 때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정의와 천문의 여신으로, 인간에게 정의를 가르쳤으나 결국 실망하여 스스로 하늘에 올라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또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 페르세포네에관한 이야기도 있다.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의 왕인 하데스의 마음을 사로잡을 정도로 아름다운 여인이었다. 페르세포네의 아름다움에 반한 하데스는 그녀를 납치하여 자신의 아내로 삼았다.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에서 부족할 것 없는 생활을 하였지만 가끔씩 땅 위의 풍경들을 생각할 때면 깊은 슬픔에 잠기곤 하였다. 한편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로 납치 된 후 딸을 잃은 데메테르는 비탄에 빠졌고 토지의 여신이 슬퍼하자 대지는 황폐해젔고 사람과 동물들이 살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신들의 왕인 제우스는 이를 방관할 수 없어 지하세계의 왕이자 자신의 형인 하데스를 설득하였다. 결국 제우스의 도움으로 페르세포네는 일년의 반 동안만 지하세계에 있고 나머지 반은 지상에서 어머니와 함께 지낼 수 있게 되었다. 딸을 만나게 되어 데메테르의 슬픔이 가시게 되면 땅은 다시 활기를 찾게 된다. 봄이 되면 동쪽 하늘로 떠오르는 처녀자리는 지하세계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페르세포네의 모습 인 것이다.

점성술

[편집]
 처녀자리 (점성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처녀자리는 서양의 점성술로는8월 23일 ~9월 23일에 해당한다. 또한 단짝인 별자리는황소자리로, 처녀자리는 하늘의 적도 부근의 비교적으로 큰 별자리이며,황도 12궁중 하나이다.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처녀자리
항성
바이어
플램스티드
아르겔란더
헨리 드레이퍼 목록
기타
은하
기타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처녀자리&oldid=3976238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