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어군 | |
|---|---|
| 아체참어군 | |
| 지리적 분포 | 인도네시아,캄보디아,베트남,태국,중국(하이난섬) 등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 하위 분류 |
|
| 언어 코드 | |
| ISO 639-2 /5 | cmc |
| 글로톨로그 | cham1327 |
참어군(영어:Chamic languages) 또는아체참어군(영어:Aceh-Chamic)은인도네시아수마트라의아체주와캄보디아,베트남,하이난섬에서 쓰이는 열 개 언어가 이루는 어군이다. 참어군은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한다. 이 어군의 조상 언어인참조어는사후인 문화와 관련 있는데, 참조어 화자들은보르네오 또는 어쩌면말레이 반도에서 오늘날의베트남 지역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1]
350만 명이 사용하는아체어 다음으로는자라이어와참어가 가장 널리 쓰이는 참어군 언어들이고, 각각 약 23만 명과 28만 명의 화자가캄보디아와 베트남 양쪽에 있다.차트어는 가장 북쪽에 위치하면서 화자 수도 단 3천 명으로 가장 적다.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안에서 기록 역사가 가장 오래된 언어이다. 고대 참어로 쓰인동옌쩌우 비문은 4세기 후반의 것이다.
장기간 접촉에서 일어난 차용으로 인해, 참어군과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바흐나르어파는 공통된 어휘 항목이 많다.[1][2]
2006년로저 블렌치는[3]아슬리어파 언어들에 참어군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며, 과거 말레이 반도에 참어군 언어 화자들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Thurgood (1999:36)에서는 다음과 같이 참어군 언어들을 분류한다.[1]
참조어 수사에서 7부터 9까지가말레이어군과 공유된다는 사실은 두 어군을 말레이참어군으로 묶는 근거가 될 수 있다(Thurgood 1999:37).
2009년로저 블렌치[4]는 현존하는 어파로 거슬러 갈 수 없는 오스트로아시아계 차용어들이 오늘날의 참어군 언어들에 여럿 있다는 사실에 근거해, 베트남 해안 지역에 지금은 사멸한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어파가 적어도 하나는 존재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Blench 2009;Sidwell 2006).[5]
아래의 참조어는그레이엄 서굿이 1999년에 발표한 재구형이다.[1]
아래의 참조어 전음절 자음 표는 Thurgood (1999:68)에서 가져온 것이다.ɲ의 포함 여부에 따라 총 13~14개의 전음절 자음이 존재했다. 비전음절 자음에는 *ʔ, *ɓ, *ɗ, *ŋ, *y, *w가 있다. 유기음이 재구되기도 한다.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파열음 | 무성 | p | t | c | k | |
| 유성 | b | d | ɟ | ɡ | ||
| 비음 | m | ɲ[6] | ||||
| 설측음 | l | |||||
| 탄음 또는전동음 | r | |||||
| 마찰음 | s | h | ||||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자음군은 다음과 같다(Thurgood 1999:93).
4개의 모음(*-a, *-i, *-u와 *-e 또는 *-ə) 3개의이중모음(*-ay, *-uy, *-aw)이 있었다.[1]
| 전설 | 중설 | 후설 | |||||
|---|---|---|---|---|---|---|---|
| 고모음 | i/i/ | u/u/ | |||||
| 중모음 | e/e/ | ([ə/ə/]) | |||||
| 저모음 | a/a/ |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형태소들은 다음과 같다.[1]
참조어에는 다음과 같은 대명사가 있었다(Thurgood 1999:247-248).
단수
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