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산주의 |
|---|
역사 • 독일 농민전쟁(1524년) • 산업 혁명(18세기 중반) • 프랑스 혁명(1789년) • 의인동맹 창설(1836년) • 공산주의자동맹 창설(1847년) • 제1인터내셔널 성립(1864년) • 파리 코뮌(1871년) • 메이데이 총파업(1886년) • 제2인터내셔널 성립(1889년) • 10월 혁명(1917년) • 러시아 내전(1917년) • 스파르타쿠스 봉기(1919년 2월) • 코민테른 성립(1919년 3월) • 소비에트 연방 성립(1922년) • 제1차 국공 내전(1927년)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1928년) • 스페인 내전(1936년) • 대숙청(1937년 7월) • 제2차 국공 합작(1937년 9월) • 그리스 내전(1946년 3월 30일) • 제2차 국공 내전(1946년 3월 31일) • 냉전(1947년) • 한국 전쟁(1950년) • 베트남 전쟁(1955년) • 1956년 헝가리 혁명(1956년) • 대약진 운동(1958년) • 쿠바 혁명(1959년) • 문화대혁명(1966년) • 니카라과 혁명(1978년) • 페레스트로이카(1985년) • 동유럽 혁명(1989년 6월) • 소련의 붕괴(1991년) |
관련 문헌 • 플라톤,《국가》(BC.4세기?) • 플라톤,《법률》(BC.4세기?) • 캄파넬라,《태양의 나라》(1602년) • 캄파넬라,《형이상학》(1623년) • 미상,《바뵈프 선언에 대한 분석》(1796년) • 바이틀링,《인류의 현실과 이상》(1839년) • 바이틀링,《조화와 자유의 보증》(1842년) • 바이틀링,《가난한 죄인의 복음》(1843년) • 마르크스,《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1843년) • 마르크스,《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1844년) • 엥겔스,《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1845년) • 마르크스,《독일 이데올로기》(1846년) • 마르크스,《공산주의의 원리》(1847년) • 마르크스,《임노동과 자본》(1847년) • 마르크스,《공산당 선언》(1848년) • 마르크스,《정치경제학 비판 요강》(1858년) • 마르크스,《자본 I》(1867년) • 마르크스,《고타 강령 비판》(1875년) • 엥겔스,《반듀링론》(1878년) • 엥겔스,《자연변증법》(1883년) • 엥겔스,《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1884년) • 마르크스,《자본 II》(1885년) • 마르크스,《자본 III》(1894년) • 레닌,《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1893년) • 레닌,《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1899년) • 룩셈부르크,《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1900년) • 레닌,《무엇을 할 것인가?》(1902년) • 판네쿡,《마르크스주의와 다윈주의》(1909년) • 레닌,《유물론과 경험비판론》(1909년) • 레닌,《철학 노트》(1909년) • 판네쿡,《계급 투쟁과 국가》(1912년) • 스탈린,《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1913년) • 룩셈부르크,《자본축적론》(1913년) • 레닌,《제국주의론》(1916년) • 레닌,《국가와 혁명》(1917년) • 루카치,《정통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1919년) • 판네쿡,《세계 혁명과 공산주의 전술》(1920년) • 루카치,《역사와 계급의식》(1923년) • 스탈린,《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1924년) • 마오쩌둥,《실천론》(1937년 7월) • 마오쩌둥,《모순론》(1937년 8월) • 스탈린,《변증법적 유물론》(1938년) • 판네쿡,《철학자로서의 레닌》(1938년) • 판네쿡,《노동자평의회》(1947년) • 루카치,《실존주의에 대해》(1949년) • 루카치,《이성의 파괴》(1951년) |
관련 조직
|
주요 운동가 마줌다르(1919년 ~ 1972년) 구즈만(1934년 ~ ) |
주요 이론가 마오쩌둥(1893년 ~ 1976년) |
주요 정치인 보응우옌잡(1911년 ~ 2013년) 상카라(1949년 ~ 1987년) |
집단지도체제(集團指導體制,영어:collective leadership system)란 단일 조직구조 안에 권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다.공산당과사회주의 국가의 이상적 통치형태라고 여겨진 바 있다.소련 집단지도체제가 특히 유명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덩샤오핑 집권기인 1970년대부터 집단지도체제를 구축하여,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가 그 집단지도부의 역할을 했다. 하지만장쩌민이중국공산당 총서기를 "동급자 중 1인자"로 공식화하는 등 그 지속성에 불안요소가 보이더니, 2018년시진핑이 지도자 임기제한을 폐지하면서 집단지도체제 시대가 끝났다는 평가도 있다.[1]
베트남은레주언이 공산당 총비서였을 때공산당 총비서와 상임위원회 정치국 사이에 권력을 분산시켰다. 하지만 그래도 일단 지도자는 단일했다. 현대의 베트남은 보다 집단지도체제에 가까운 형태가 되었다. 단일하게 부각되는 지도자가 없으며, 총비서,주석,수상이정치국,서기국,당중앙 같은 합의체들을 통해 권력을 공유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심으로 집단지도체제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조선로동당 총비서,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역대 총리 이 세 명으로 상무위원을 구성하여 집단지도체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200명을 구성원으로 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도하고 있다.[2][3][4]
| 이 글은 정치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