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지중해

좌표:북위 35°동경 18° / 북위 35° 동경 18° /35; 1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지중해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중해
지중해 지도
위치
좌표북위 35°동경 18° / 북위 35° 동경 18° /35; 18
유형바다
주요 유입카디스만,마르마라해,나일강,에브로강,론강,첼리프강,포강
주요 유출지브롤터 해협,다르다넬스 해협
유역 국가
수면 면적2,500,000 km2 (970,000 mi2)
평균 수심1,500 m (4,900 ft)
최대 수심5,109 m (16,762 ft) ±1 m (3 ft)
수량 용적3,750,000 km3 (900,000 cu mi)
체류 시간80–100 years[1]
최대 수온28 °C (82 °F)
최저 수온12 °C (54 °F)
3300개 이상
거주지전체 목록

지중해(地中海, Mediterranean Sea,/ˌmɛdɪtəˈrniən/)는대서양과 연결된바다로,지중해 분지에 둘러싸여 있으며 거의 완전히 육지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으로는서아시아레반트, 북쪽으로는서아시아아나톨리아남유럽, 남쪽으로는북아프리카, 서쪽으로는 거의모로코-스페인 국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지중해는 약 2,500,000 km2 (970,000 mi2)의 면적을 차지하며,[2] 전 세계대양 표면의 0.7%에 해당하지만,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대서양과 연결되는 폭은 겨우 14 km (9 mi)이다. 이 해협은 대서양과 지중해를 연결하며유럽이베리아반도아프리카모로코를 분리한다.

지질학적 증거에 따르면 약 590만 년 전, 지중해는 대서양으로부터 단절되었고,메시나절 염분 위기 동안 약 60만 년 동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건조되었다가 약 530만 년 전잔클레 홍수로 다시 채워졌다.

고대에상인과 여행자에게 중요한 경로였으며, 이 지역 사람의 무역과 문화 교류를 촉진했다.지중해의 역사는 많은 현대 사회의 기원과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로마 제국은 수세기 동안 이 바다에 대한해상 패권을 유지했으며, 전체 해안을 통제했던 유일한 국가이다.

지중해의 평균 수심은 1,500 m (4,900 ft)이며, 가장 깊은 지점은이오니아해칼립소 해연에서 기록된 5,109 ± 1 m (16,762 ± 3 ft)이다. 이 바다는북위 30도46도 N 위도,서경 6도36도 E 경도 사이에 위치한다. 서쪽의 지브롤터 해협부터튀르키예 남동 해안의알렉산드레타만까지 동서 길이는 약 4,000 킬로미터 (2,500 mi)이다. 남북 길이는 해안선과 직선 경로만을 고려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또한 경도 변화를 포함하면 다국적트리에스테만시드라만의 리비아 해안선 사이의 최단 항로는 약 1,900 킬로미터 (1,200 mi)이다. 수온은 겨울에는 온화하고 여름에는 따뜻하여, 대부분의 강수량이 더 시원한 달에 집중되는지중해성 기후의 이름이 되었다. 남부와 동부 해안선은 내륙에서 멀지 않은 곳에 뜨거운 사막이 늘어서 있지만, 지중해 사방의 즉각적인 해안선은 강한 해양 완화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지중해와 그 주변 해역을 시계 방향으로 둘러싸는 나라는스페인,프랑스,모나코,이탈리아,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몬테네그로,알바니아,그리스,튀르키예,시리아,레바논,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이집트,리비아,튀니지,알제리,모로코이다.키프로스몰타는 이 바다에 있는섬나라이다. 또한북키프로스 (사실상 독립국)와영국의 해외 영토 중 두 곳(아크로티리 데켈리아지브롤터)도 지중해를 따라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유역은 수많은 다른 나라를 포함하며,나일강은 지중해로 흐르는 가장 긴 강이다.[3] 지중해는수많은 섬을 포함하며, 그중 일부는 화산 기원이다. 면적과 인구 면에서 가장 큰 두 섬은시칠리아사르데냐이다.

이름과 어원

[편집]
 지중해의 이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고 섬이 많은 그리스는 가장 긴 지중해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로마인은 지중해를 마레 마그눔("위대한 바다") 또는 마레 인터눔("내해")이라고 불렀고,로마 제국 시대부터는우리 바다("우리의 바다")라고 불렀다. 마레 메디테라네움(Mare Mediterrāneum)이라는 용어는 나중에 등장하는데,가이우스 율리우스 솔리누스가 3세기에 이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6세기의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의 저작이다.[4][5]

역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지중해의 역사입니다.

고대 문명

[편집]
기원전 6세기경고대 식민지의 그리스 (빨간색) 및 페니키아 (노란색) 식민지
  서기 117년로마 제국의 최대 영토

주요 고대 문명은 지중해 주변에 위치했다. 이 바다는 무역, 식민지화, 전쟁의 경로를 제공했으며, 여러 시대에 걸쳐 수많은 공동체에 식량(어업 및 기타 해산물 채취)을 제공했다.[6] 지중해에서 가장 초기에 발전한 문명은이집트인미노스인으로, 그들은 서로 광범위하게 교역했다.[7] 기원전 1200년경 동부 지중해는청동기 시대 붕괴로 큰 영향을 받았고, 이는 많은 도시와 무역로의 파괴로 이어졌다.[8]

고대 고전 시대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지중해 문명은그리스도시국가페니키아인이며, 이들 모두 지중해 해안선을 광범위하게 식민지화했다.[9]

고대 이집트를 정복한다리우스 1세홍해와 나일강을 연결하는 운하를 건설하여 지중해까지 연결했다. 다리우스의 운하는트리에레스 두 척이 노를 펼친 채 서로 지나갈 수 있을 만큼 넓었고, 통과하는 데 4일이 걸렸다.[10]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 걸친포에니 전쟁 이후,로마 공화국카르타고를 물리치고 서부 지중해 지역의 패권국이 되었다.[11]아우구스투스로마 제국을 건국했을 때, 로마인은 지중해를우리 바다("우리의 바다")라고 불렀다.[12] 그 후 400년 동안 로마 제국은 지브롤터에서 레반트에 이르는 지중해 전역과 거의 모든 해안 지역을 완전히 통제하며,[9] 이 바다에 "로마 호수"라는 별명을 붙였다.[13]

중세 및 제국 시대

[편집]

서로마 제국은 서기 476년경 붕괴했다.[14] 로마의 세력이 4세기 로마 제국의 동반부에서 형성된동로마 제국에 남아 있었으므로 동부가 다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15] 그 시기에 7세기에는 또 다른 세력이 부상했고, 이와 함께이슬람교가 동방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최대 전성기에는[16]우마이야 왕조 통치 하의 아랍인이이베리아반도를 장악하여 이 지역에 새로운 예술과 문화 시대를 열었다.[17]

14세기 초제노바 항구와 함대.퀸토 첸니

다양한 식료품, 향신료 및 작물이 아랍 통치 기간 동안 이슬람 세계의 상업망을 통해 서부 지중해의 스페인과시칠리아에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사탕수수,[18] 쌀,[19] 면화, 알팔파,오렌지,[20] 레몬,[21] 살구,[22] 시금치,[23] 가지,[24] 당근,[25]사프란[26] 및 바나나가 포함된다.[27] 아랍인은 또한 고전그리스-로마 세계 시대부터 올리브유(스페인어로 '기름'과 '올리브'를 뜻하는 aceite와 aceituna는 각각 '올리브 즙'을 의미하는 아랍어 al-zait에서 파생됨)와[28] 석류(그라나다의 문장 상징)의 광범위한 재배 및 생산을 계속했다.

아랍 침공은 서유럽과 동유럽 간의 무역 관계를 혼란에 빠뜨리는 동시에 동아시아 제국과의 무역로를 방해했다. 그러나 이는 간접적으로카스피해를 통한 무역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왔다.이집트로부터의 곡물 수출은동양으로 향하는 경로로 변경되었다. 실크와 향신료와 같은 동아시아 제국의 상품은 이집트에서베네치아콘스탄티노폴리스와 같은 항구로 선원과 유대 상인이 운반했다.바이킹 침략은 서유럽의 무역을 더욱 혼란에 빠뜨리고 중단시켰다. 그러나노르드인은 노르웨이에서백해로의 무역을 발전시켰고,스페인과 지중해에서 사치품을 거래하기도 했다.8세기 중반 동로마 제국은 지중해 북동부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 9세기부터 베네치아 선박은 아랍인의 괴롭힘에 맞서 스스로 무장했고, 아시아 상품의 무역을 베네치아에 집중시켰다.[29]

1571년레판토 해전오스만 튀르크에 맞서 유럽신성 동맹의 승리로 끝났다.

파티마 왕조는 십자군 전쟁 이전에아말피제노바와 같은이탈리아 도시 국가와 무역 관계를 유지했는데, 이는카이로 게니자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 996년 문서에는카이로에 거주하는 아말피 상인이 언급되어 있다. 또 다른 서한에는 제노바인이알렉산드리아와 무역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칼리프알무스탄시르는 약 1060년에 아말피 상인이 라틴호스피스 대신예루살렘에 거주하는 것을 허락했다.[30]

십자군 전쟁은 유럽과아웃레메르 지역 간의 무역을 번성시켰다.[31] 제노바, 베네치아,피사는 십자군이 통제하는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동방과의 무역을 통제하게 되었다. 이들 식민지는 또한 동양과의 무역을 가능하게 했다. 십자군 국가의 멸망과 교황의 무슬림 국가와의 무역 관계 금지 시도는 일시적으로 동방과의 무역을 방해했지만, 그것은 계속되었다.[32] 그러나12세기 르네상스 시기에 국가 권력이 점차 중앙집권화되면서 유럽은 다시 활력을 되찾기 시작했다.[33]

1816년 8월,유럽 노예 해방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지지하기 위한 영국-네덜란드 함대의알제 전투

아나톨리아에 기반을 둔오스만 세력은 계속 성장하여 1453년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으로 동로마 제국을 멸망시켰다.[34] 오스만 선장바르바로스 하이레딘 파샤프레베자 해전 (1538)의 승리로 이러한 지배를 상징하며,트리폴리와 동부 지중해를 오스만 통치에 개방했다.[35] 유럽 강대국의 해군력이 증강되면서, 그들은레판토 해전 (1571)으로오스만 해군의 힘을 약화시키며 이 지역에서 오스만 확장에 맞섰다. 이것은 주로갤리선 사이에서 벌어진 마지막 해전이었다.[36]

북서아프리카바르바리 해적은 서부 지중해에서 기독교 선박과 해안선을 약탈했다.[37] 로버트 데이비스에 따르면,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해적은 100만에서 125만 명의 유럽인을 노예로 잡았다.[38]

해양 운송의 발전은 지중해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한때 서유럽과 동양 간의 대부분의 무역은이 지역을 통과했지만, 1490년대 이후 인도양으로 가는 해상 경로가 개발되면서 아시아의향신료와 기타 상품이 서유럽의 대서양 항구를 통해 수입될 수 있게 되었다.[39][40][41]

1798년 8월,프랑스의 이집트 침공나일 해전

이 바다는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남아 있었다. 영국의지브롤터 지배는 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보장했다. 특히 아부키르 (1799,나일 해전)와트라팔가르 (1805) 해전 이후 영국은 오랫동안 지중해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했다.[42] 전쟁에는제1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해전[43]제2차 세계 대전 지중해 전역이 포함된다.[44]

1869년 잠금 장치가 없는수에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유럽과 아시아 간의 무역 흐름은 근본적으로 변화했다. 가장 빠른 경로는 이제 지중해를 통해 동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이어졌다. 이는 지중해 국가와 중부 및 동부 유럽과의 직접 연결성을 가진트리에스테와 같은 항구에 대한 선호를 가져왔고, 이들 항구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 20세기에는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 그리고수에즈 위기냉전이 무역로를 유럽 북부 항구로 이동시켰으며, 이는 유럽 통합,비단길 활성화 및 자유 무역을 통해 다시 남부 항구로 변화했다.[45]

21세기와 이주

[편집]
 유럽 난민 위기,지중해 이주선 사고 목록유럽 난민 위기 연대표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밤에 촬영된 지중해의위성 사진

2013년몰타 대통령은 지중해를 "묘지"라고 묘사했는데, 보트가 전복되어 익사한 이주민이 많았기 때문이다.[46]유럽 의회 의장은 2014년에 유럽의 이주 정책이 "지중해를 묘지로 만들었다"고 말하며, 이 지역에서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로 익사한 난민의 수를 언급했다.[47] 아제르바이잔의 한 관리는 이 바다를 "사람들이 죽는... 매장지"라고 묘사했다.[48]

2013년 람페두사 이주민 선박 침몰 사고 이후,이탈리아 정부는 이주민을 구조하고 인신매매범을 체포하기 위한 군사 및 인도주의 임무인 "마레 노스트룸 작전"을 승인하여 지중해 순찰 체계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2015년에는 100만 명 이상의 이주민이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들어왔다.[49]

이탈리아는유럽 난민 위기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았다. 2013년 이후 70만 명 이상의 이주민이 이탈리아에 상륙했으며,[50]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인이었다.[51]

지리

[편집]
지중해 위성 사진. 왼쪽 아래(북서) 사분면에지브롤터 해협이 보이고, 그 왼쪽에는유럽이베리아반도, 오른쪽에는아프리카마그레브가 있다.
튀르키예다르다넬스 해협. 북쪽(위쪽)은유럽의 일부를 형성하며(트라키아 지방의겔리볼루 반도), 남쪽(아래쪽)은아시아아나톨리아이다.
 지중해의 섬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중해는 다음을 연결한다.

해안선 길이는 약 46,000 km (29,000 mi)이다.[2][54][55]

남동쪽의 길이 163 km (101 mi)인 인공수에즈 운하는 수위가 본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잠금 장치 없이 지중해를홍해와 연결한다.[56][57]

전형적인지중해성 기후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비가 오는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58] 이 지역의 작물로는올리브,포도,오렌지,탄제린,케럽코르크 등이 있다.

주변 바다

[편집]
크로아티아 해안의엘라피티 제도.아드리아해에는1200개 이상의 섬과 작은 섬이 있다.
에스 말빈스,발레아레스해
이오니아해, 그리스레프카다 섬에서 본 모습

지중해에는 15개의주변 바다가 포함되어 있다.[59]

번호바다면적주변 국가 및 영토
km2sq mi
1리비아해350,000140,000리비아,그리스,몰타,이탈리아
2레반트해320,000120,000튀르키예,시리아,레바논,이스라엘,팔레스타인,이집트,그리스,키프로스,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주권 기지
3티레니아해275,000106,000이탈리아,프랑스
4에게해214,00083,000그리스,튀르키예
5이카리아해(에게해의 일부)그리스
6미르툰해(에게해의 일부)그리스
7트라키아해(에게해의 일부)그리스,튀르키예
8이오니아해169,00065,000그리스,알바니아,이탈리아
9발레아레스해150,00058,000스페인
10아드리아해138,00053,000알바니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크로아티아,이탈리아,몬테네그로,슬로베니아
11사르데냐해120,00046,000이탈리아,스페인
12크레타만95,00037,000(에게해의 일부)그리스[60]
13리구리아해80,00031,000이탈리아,프랑스
14알보란해53,00020,000스페인,모로코,알제리,지브롤터
15마르마라해11,5004,400튀르키예
기타500,000190,000만, 해협, 해협 및 특정 바다의 이름을 가지지 않는 기타 부분으로 구성된다.
총합지중해2,500,000970,000

참고 1:국제 수로 기구는 이 지역을 서부 분지의 일반적인 지중해로 정의한다.사르데냐해라는 명칭은 인정하지 않는다.[61]

참고 2:트라키아해미르툰해에게해의 일부인바다이다.

참고 3:흑해는 포함되지 않는다.

범위

[편집]
 유역 목록 (면적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중해의 경계

국제 수로 기구는 지중해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61] 서쪽의지브롤터 해협부터 동쪽의다르다넬스 해협수에즈 운하 입구까지 뻗어 있는 지중해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해안에 둘러싸여 있으며 두 개의 깊은 분지로 나뉜다.

수문학

[편집]
지중해 유역의 대략적인 범위 (진한 녹색). 나일강 유역은 부분적으로만 표시됨

지중해의유역은 특히 이질적이며 지중해 지역보다 훨씬 넓게 뻗어 있다.[62] 그 면적은 비활성 부분(사막)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4,000,000 and 5,500,000 km2 (1,500,000 and 2,100,000 mi2) 사이로 추정된다.[주 1][63][64][65] 지중해로 흐르는 가장 긴 강은나일강으로, 적도 아프리카에서 발원한다. 나일강 유역은 지중해 유역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며[64]르웬조리 산맥과 같은 높은 지역도 포함한다.[66] 아프리카의 다른 중요한 강으로는아틀라스산맥 북쪽에 있는물루야강첼리프강이 있다. 아시아에서는토로스산맥 남쪽에 있는제이한강세이한강이 있다.[67] 유럽에서는론강,에브로강,포강,마리차강의 유역이 가장 크다.[68] 론강 유역은 가장 넓고쥐라산맥 북쪽까지 뻗어 있으며, 심지어알프스산맥 북쪽 지역도 포함한다.[69] 에브로강, 포강, 마리차강의 유역은 각각피레네산맥, 알프스산맥,발칸산맥 남쪽에 위치하며, 이들은 남유럽을 경계 짓는 주요 산맥이다.

연간 총 강수량은 지중해 분지의 유럽 지역, 특히 알프스(‘유럽의 워터 타워’) 및 기타 높은 산맥 근처에서 훨씬 높다. 결과적으로 론강과 포강의강 수량은 나일강의 유역이 훨씬 더 넓음에도 불구하고 나일강과 유사하다.[67] 이들 강만이 평균 유량이 1,000 m3/s (35,000 cu ft/s)을 초과한다.[64] 큰 자연 담수원으로는빅토리아호 (나일강 유역),레만호 (론강),이탈리아 호수 (포강)가 있다. 지중해 유역은 유럽에서는 다른 강 유역과 경계를 이루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본질적으로내륙유역 또는 사막과 경계를 이룬다.

다음 국가는 지중해 해안선이 없지만 지중해 유역에 속한다.

해안 국가

[편집]
더 완전한 목록의 경우지중해 국가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0년 오픈 내추럴 어스 데이터에서 본 지중해 지도

다음 국가는 지중해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72]

배타적 경제 수역

[편집]

지중해의배타적 경제 수역:[73][74]

번호국가면적
km2sq mi
1이탈리아의 기이탈리아541,915209,235
2그리스의 기그리스493,708190,622
3리비아리비아355,604137,299
4스페인의 기스페인260,000100,000
5이집트의 기이집트169,12565,300
6알제리의 기알제리128,84349,747
7튀니지의 기튀니지102,04739,401
8프랑스의 기프랑스88,38934,127
9키프로스의 기키프로스80,41231,047
10튀르키예의 기튀르키예72,19527,875
11크로아티아의 기크로아티아59,03222,792
12몰타의 기몰타55,54221,445
13이스라엘의 기이스라엘25,1399,706
14레바논의 기레바논19,2657,438
15모로코의 기모로코18,3027,066
16북키프로스북키프로스17,6766,825
17알바니아의 기알바니아13,6915,286
18시리아시리아10,1893,934
19몬테네그로의 기몬테네그로7,7452,990
20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기팔레스타인2,5911,000
21모나코의 기모나코288111
22슬로베니아의 기슬로베니아22085
23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5019
24영국의 기영국6.82.6
총합지중해2,500,000970,000

하위 구분

[편집]
지브롤터에서 본 아프리카 (왼쪽, 수평선)와 유럽 (오른쪽)

국제 수로 기구 (IHO)는 지중해를 여러 개의 더 작은 수역으로 나누는데, 각각 고유한 명칭을 가지고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61]

가장 큰 섬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지중해의 섬 목록입니다.
지중해의 두 큰 섬:시칠리아사르데냐 (이탈리아)
16세기 사르데냐 해안의망루

지중해에는 약 10,000개의 섬과 작은 섬이 있으며, 이 중 약 250개는 영구적으로 사람이 거주한다.[75] 아래 표에는 크기별로 가장 큰 10개 섬이 나열되어 있다.

국가면적인구
km2sq mi
이탈리아시칠리아25,4609,8305,048,995
이탈리아사르데냐23,8219,1971,672,804
키프로스키프로스9,2513,5721,088,503
스페인마요르카섬3,6401,410869,067
그리스크레타8,3363,219623,666
프랑스코르시카8,6803,350299,209
그리스에비아섬3,6551,411218,000
튀니지제르바섬514198182,911
스페인이비사섬572221159,180
그리스로도스섬1,400540117,007
그리스케르키라섬641247101,600
스페인메노르카섬69626999,005
그리스레스보스섬1,63263090,643
그리스히오스섬84232551,936

기후

[편집]

지중해 해안의 대부분은고온 지중해성 기후를 누린다. 그러나 남동 해안의 대부분은고온 사막 기후이며, 스페인 동부(지중해성) 해안의 대부분은냉량 스텝 기후인 반면, 이탈리아 북부(아드리아해) 해안의 대부분은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드물기는 하지만열대성 사이클론이 지중해에서 가끔 발생하며, 주로 9월에서 11월 사이에 발생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지중해 주변 지역의 기후대 지도

해수 온도

[편집]
평균 해수 온도 °C (°F)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말라가[76]16 (61)15 (59)16 (61)16 (61)18 (64)20 (68)22 (72)23 (73)22 (72)20 (68)18 (64)17 (63)18.6 (65.5)
바르셀로나[77]13 (55)12 (54)13 (55)14 (57)17 (63)20 (68)23 (73)25 (77)23 (73)20 (68)17 (63)15 (59)17.8 (64.0)
마르세유[78]13 (55)13 (55)13 (55)14 (57)16 (61)18 (64)21 (70)22 (72)21 (70)18 (64)16 (61)14 (57)16.6 (61.9)
나폴리[79]15 (59)14 (57)14 (57)15 (59)18 (64)22 (72)25 (77)27 (81)25 (77)22 (72)19 (66)16 (61)19.3 (66.7)
몰타[80]16 (61)16 (61)15 (59)16 (61)18 (64)21 (70)24 (75)26 (79)25 (77)23 (73)21 (70)18 (64)19.9 (67.8)
베네치아[81]11 (52)10 (50)11 (52)13 (55)18 (64)22 (72)25 (77)26 (79)23 (73)20 (68)16 (61)14 (57)17.4 (63.3)
아테네[82]16 (61)15 (59)15 (59)16 (61)18 (64)21 (70)24 (75)24 (75)24 (75)21 (70)19 (66)18 (64)19.3 (66.7)
이라클리오[83]16 (61)15 (59)15 (59)16 (61)19 (66)22 (72)24 (75)25 (77)24 (75)22 (72)20 (68)18 (64)19.7 (67.5)
안탈리아[84]17 (63)17 (63)16 (61)17 (63)21 (70)24 (75)27 (81)29 (84)27 (81)25 (77)22 (72)19 (66)21.8 (71.2)
리마솔[85]18 (64)17 (63)17 (63)18 (64)20 (68)24 (75)26 (79)28 (82)27 (81)25 (77)22 (72)19 (66)21.7 (71.1)
메르신[86]18 (64)17 (63)17 (63)18 (64)21 (70)25 (77)28 (82)29 (84)28 (82)25 (77)22 (72)19 (66)22.3 (72.1)
텔아비브[87]18 (64)17 (63)17 (63)18 (64)21 (70)24 (75)27 (81)28 (82)28 (82)26 (79)23 (73)20 (68)22.3 (72.1)
알렉산드리아[88]18 (64)17 (63)17 (63)18 (64)20 (68)23 (73)25 (77)26 (79)26 (79)25 (77)22 (72)20 (68)21.4 (70.5)

해저

[편집]

지중해는아프리카판유라시아판 아래로섭입하면서 형성된 수많은수중지질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89][90] 이 바다는시칠리아 섬에서아프리카 해안으로 이어지는몰타 단층애를 따라 서부와동지중해 지역으로 자연적으로 나뉜다.[91][92][93][94]

서부 지중해 지역은 세 가지 주요 수중 분지로 나눌 수 있다.[95]

동지중해 지역은 또한 다음과 같은 수중 분지로 세분될 수 있다.

1960년대까지 지중해는 한때동반구를 둘러싸고 있던 고대 (2억 년 전)중생대테티스해의 주요 잔존 부분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해저 확장 이론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 지중해 해저의 대부분이 테티스 해저의 일부가 아님을 시사했다. 이는신테티스라고 불리는 구조적으로 더 젊은 분지로, 후기트라이아스기와 초기쥐라기 동안아프리카판유라시아판의 수렴으로 처음 형성되었다.[91] 일부 연구자는 몰타 단층애 동쪽에 위치한 이오니아 분지를 테티스해의 잔존물로 간주한다.[102] 지난 4,400만 년 동안 아프리카와유라시아의 대륙판이 수렴하고 후퇴하면서 현재의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분지와 주변 산맥이 형성되었다. 지질학적 데이터 해석에 따르면, 현재 아프리카와 유라시아가 충돌하는 여러 주요 지점이 있으며, 이는 육지 침수, 산맥 형성, 그리고 화산 활동을 유발한다.[91]

1970년과 1975년에 시추된퇴적물 코어는 약 600만 년 전 지중해가 현재 해수면보다 약 3,000 미터 (10,000 ft) 아래에 있었으며, 증발암 염으로 덮인 건조한 사막을 포함했다는 이론으로 이어졌다. 약 550만 년 전까지 지브롤터의 높은 산등성이가 대서양 물의 유입을 막았고, 그 후 이 산등성이가 붕괴되면서 지중해가 범람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의 지진 및 미화석 연구에 따르면 해저가 완전히 마르지 않았다. 오히려 약 500만 년 전에는 해저가 깊이가 200 to 1,520 미터 (650 to 5,000 ft)에 이르는 다양한 지형과 크기를 가진 여러 분지로 구성되었다. 염은 아마도 다양한 깊이의 고염도 해수 바닥에 축적되었을 것이다. 해저 염 형성의 시기와 특성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후속 지진 연구 및코어 샘플의 증거는 격렬한 과학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91]

몰타 단층애

[편집]

몰타 단층애시칠리아 동해안에서몰타 제도의 동해안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는 길이 250-킬로미터 (160 mi)의수중석회암급경사면으로, 주로판 구조론 활동으로 형성되었다.[91] 절벽을 따라 500개 이상의 해저 협곡이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높이가 3.5 킬로미터 (2.2 mi)에 달할 수 있다. 이 협곡에서는 풍부한 생물 군집을 찾을 수 있으며, 해저 해류로 인해 오염 물질과 영양소의 통로 역할도 한다. 이러한 깊은 계곡은 표면의 강 때문에 침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수중산사태는 몰타 단층애에서 발견되는 자연 재해 중 하나이다.몰타 대학교,사우스햄튼 국립 해양학 센터,뉴질랜드 국립 수질 및 대기 연구소,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이탈리아 국립 해양학 및 응용 지구물리 연구소유럽 연합이 자금을 지원한 최근 연구에서 이 단층애에 초점을 맞춰 협력했다.[92][103]

해양학

[편집]
6월의 우세한 표층 해류

지중해에서는증발강수량과 강물 유출을 크게 초과하며, 이 사실이 분지 내 수분 순환의 핵심이다.[104] 증발은 특히 동부 절반에서 높아, 수위가 감소하고염분이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105] 이 분지의 평균 염분은 수심 5 m (16 ft)에서 38PSU이다.[106]

지중해의 가장 깊은 곳의 수온은 13.2 °C (55.8 °F)이다.[106]

대서양으로부터의 순수 유입 수량은 약 70,000 m3/s 또는 2.2×1012 m3/a (7.8×1013 cu ft/a)이다.[107] 이 대서양 물이 없었다면 지중해의 해수면은 연간 약 1 m (3 ft)의 속도로 하강했을 것이다.[108]

해양학에서는다른 지중해와 구별하기 위해 유라프리카 지중해, 유럽 지중해 또는 아프리카 지중해라고 부르기도 한다.[109] 예를 들어발트해나 북동 대서양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110]

일반적인 순환

[편집]

지중해의수분 순환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대서양에서 유입되는 표층수(그리고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해 흑해에서 지중해로 유입되는 저염도 물)에 기인한다. 시원하고 비교적 저염도인 대서양 물은 북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순환한다. 표층수 일부는시칠리아 해협을 통과하지 못하고 코르시카 쪽으로 편향된 후 지중해를 빠져나간다. 동부 지중해 분지로 유입되는 표층수는 가열되어 염분이 증가하여 초기 대서양 상태보다 밀도가 높아지고 가라앉아 레반트 중간수(LIW)를 형성한다. 지중해의 수심 50 and 600 m (160 and 2,000 ft) 사이에서 발견되는 물의 대부분은 LIW에서 유래한다.[111]

LIW는 튀르키예 해안을 따라 형성되며, 그리스와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따라 서쪽으로 순환한다. LIW는 시칠리아 해협을 서쪽으로 통과하는 유일한 해수이다. 시칠리아 해협을 지나면 LIW는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해안을 따라 순환한 후 지브롤터 해협의 깊은 곳을 통해 지중해를 빠져나간다. 지중해의 심층수는 세 가지 주요 지역에서 기원하는데, 동부 지중해 심층수의 대부분이 기원하는아드리아해,에게해, 그리고리옹만이다. 지중해의 심층수 형성은보라와 같은 강한 한랭풍으로 촉진되는 강한 겨울대류 때문에 발생한다. 새로운 심층수가 형성되면, 오래된 물은 상층의 중간층 물과 섞여 결국 지중해를 빠져나간다. 지중해의물의 체류 시간은 약 100년으로, 지중해는 기후 변화에 특히 민감하다.[112]

물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사건

[편집]

반폐쇄된 분지인 지중해는 단기간에 물 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시적인 현상을 겪는다. 1990년대 중반, 에게해는 특히 추운 겨울 조건 이후 동부 지중해의 심층수 형성의 주요 지역이 되었다. 동부 지중해 심층수 기원의 이러한 일시적인 변화는 동부 지중해 일시적 현상(Eastern Mediterranean Transient, EMT)이라고 불리며 지중해 물 순환에 주요한 결과를 초래했다.[113][114][115]

지중해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일시적인 현상의 또 다른 예는 그리스 해안의이오니아해 북부에서 관찰되는반시계 방향해양 환류인 북이오니아 해류의 주기적인 역전이다. 이 해류의 회전이 반시계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전환되면 해류를 형성하는 물의 원산지가 바뀐다. 순환이 반시계 방향일 때(가장 흔한 경우), 해류의 물은아드리아해에서 유래한다. 순환이 시계 방향일 때, 물은레반트해에서 유래한다. 이 물은 서로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북이오니아 해류의 주기적인 역전(양식 진동 체계 또는 BiOS라고 불림)은 아드리아해와 레반트 지역 주변의 지중해 순환과 생물 지구 화학을 변화시킨다.[116]

기후 변화

[편집]

지중해는 수심이 얕아 기후 변화 기록의 핫스팟으로 간주되며,[117] 실제로 1950년대 이후 전체 수심에 걸쳐 현저한 온도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118][119] 기후 예측에 따르면, 이 지역의 강수량 감소는 더 많은 증발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해수 염도를 증가시킬 것이다.[120] 온도 및 염도 증가의 결과로, 지중해는 21세기 말까지 더 층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물 순환 및생물지구화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층화 및 온난화는 이미 동부 지중해가 대기로의 CO2 순 배출원이 되게 했다.[121][122]

인간이 유발한 기후 변화는 최근 몇 년간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된해양 폭염의 발달에 점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중해에서는 서부와 동부 하위 분지의 여러 지역에서 기록상 전례 없는 최고 기온과 더 빈번하고 강렬하며 오래 지속되는 온난화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해양 및 대기 요인의 조합 때문에 발생하며, 종종 고기압 체계로 유발되어 구름 양을 줄이고 해수면의 태양 흡수를 증가시킨다. 이는 저서 생물 군집의 대량 사망, 산호 백화 현상, 어획량 감소 및 종 분포 변화와 같은 해양 생태계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3] 극심한 온난화는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124] 일부 서식지에 대한 실존적 위협을 초래하고[125] 동시에 외래 열대종에게 더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126]

생물지구화학

[편집]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의 순환에 대한 자세한 설명. 광대역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산소 생산 및 해양 먹이 사슬에서의 역할이 강조됨.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의 순환

지중해는 엄청난생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엽록소와 영양소 농도가 매우 낮아 전 세계에서 가장빈영양성 해양 지역 중 하나이다. 지중해는 일반적으로저영양, 저엽록소 지역 (Low-Nutrient, Low-Chlorophyll, LNLC)으로 불린다. 지중해는 영양소 함량이 낮아 동식물이 자라기 어려운사막의 정의에 부합한다.

지중해에는 영양소 농도, 엽록소 농도, 일차 생산성의 급격한 경사가 있다. 서부 분지의 영양소 농도는 동부 분지의 약 두 배이다.지브롤터 해협과 가까운알보란해의 일일일차 생산성은 약 0.25 g C (그램 탄소) m−2 day−1인 반면, 동부 분지의 평균 일일 생산성은 0.16 g C m−2 day−1이다.[127] 이러한 이유로 지중해의 동부 지역은 "초빈영양성"이라고 불린다. 지중해의 생산적인 지역은 소수이며 작다. 높은(즉, 세제곱미터당 0.5그램 이상의엽록소 a) 생산성은 용해된 영양소의 주요 공급원인 강 하구 근처의 해안 지역에서 발생한다.리옹만은 높은 수직 혼합 지역이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가지며, 이는식물성 플랑크톤이 엽록소 a를 생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영양소를 표층수로 가져온다.[128]

지중해의 일차 생산성은 강렬한 계절적 변동성으로도 특징지어진다. 겨울에는 분지 위로 강한 바람과 강수가 발생하여수직 혼합을 일으키고, 심층수의 영양소를 표층으로 끌어올려 식물성 플랑크톤이 이를바이오매스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129] 그러나 겨울에는 빛이 일차 생산성의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3월에서 4월 사이 봄은봄꽃이 피는 데 이상적인 빛의 강도와 표층수의 영양소 농도를 제공한다. 여름에는 높은 대기 온도로 인해 표층수가 따뜻해진다. 그 결과 발생하는밀도 차이는 표층수를 나머지 수층으로부터 사실상 고립시키고 영양소 교환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6월에서 10월 사이에는 일차 생산성이 매우 낮다.[130][128]

해양학 탐사는 지중해 생물 지구 화학의 특징적인 특징을 밝혀냈다: 대부분의 엽록소 생산은 표면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80~200미터 깊이의 표층 아래 수심에서 일어난다.[131] 지중해의 또 다른 주요 특징은 높은 질소-인 비율(N:P)이다.알프레드 레드필드는 전 세계 대부분의 대양이 평균 16 정도의 N:P 비율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지중해는 평균 N:P 비율이 24에서 29 사이로, 광범위한 인 제한을 의미한다.[132][133][134][135]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지중해의 플랑크톤 군집은피코식물성 플랑크톤세균과 같은 작은 유기체가 대부분이다.[136][127]

지질학

[편집]
 지중해 분지의 지질학 및 고기후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오미시 근처의 해저카르스트 용천인 브룰리야(vrulja). 잔잔한 해수면의 여러 파동을 통해 관찰된다.

지중해의지질 역사는 복잡하다.해양 지각 아래에 위치한 이 해양 분지는 한때 고대테티스해의 지각 잔존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후기트라이아스기와 초기쥐라기 동안아프리카판유라시아판의 수렴으로 처음 형성된 구조적으로 더 젊은 분지인신테티스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기후에서 거의 육지에 둘러싸인 수역이기 때문에 지중해는 강렬한 증발과증발암의 침전의 영향을 받는다.메시나절 염분 위기는 약 600만 년 전(mya) 지중해가 육지에 둘러싸여 사실상 말라붙으면서 시작되었다. 분지 바닥에는 100만 입방킬로미터 이상의 염분 퇴적물이 쌓여 있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두께가 3킬로미터가 넘는다.[137][138]

과학자는 약 530만 년 전(mya)잔클레 홍수로 대서양에서 새로 생긴지브롤터 해협을 통해아마존강의 현재 유량보다 약 천 배 빠른 속도로 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바다가 2년도 채 안 되어 마지막으로 채워졌다고 추정한다.[139]

지중해의 평균 수심은 1,500 m (4,900 ft)이며, 가장 깊은 지점은이오니아해칼립소 해연에서 기록된 5,267 m (17,280 ft)이다. 해안선은 46,000 km (29,000 mi)에 달한다.시칠리아 섬과튀니지 해안 사이의 얕은 해저 능선(시칠리아 해협)은 바다를 두 가지 주요 하위 지역으로 나눈다: 면적이 약 850,000 km2 (330,000 mi2)인 서부 지중해와 약 1.65 x 10^6 km2인 동부 지중해이다. 해안 지역에는 해저카르스트 용천 또는vrulja가 있는데, 이는 지표 아래에서 압력을 받은 지하수를 물 속으로 배출하며, 배출되는 물은 대개 신선하며 때로는 온천일 수도 있다.[140][141]

메시나절 염분 위기

[편집]
잔클레 홍수 이전의 메시나절 염분 위기
애니메이션: 메시나절 염분 위기

중생대신생대 동안 아프리카 북서부가 이베리아와 수렴하면서 이베리아 남부와 북서 아프리카에 베틱-리프산맥을 솟아오르게 했다. 그곳에서 산간 분지인 베틱 분지와 리프 분지가 형성되어 대서양과 지중해 사이에 두 개의 거의 평행한 해상 관문이 생겼다.베틱 회랑리피아 회랑으로 불린 이들은 중기와 후기미오세 동안 점차 폐쇄되었고, 아마도 여러 번 폐쇄되었을 것이다.[142] 후기 미오세에는베틱 회랑의 폐쇄가 이른바 "메시나절 염분 위기"(MSC)를 촉발했는데, 이는 두꺼운 증발암층의 퇴적(레반트해에서는 최대 2km 두께의 염분 퇴적물)과 분지 대부분의 수위가 대폭 하락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사건은 오랫동안 격렬한 과학적 논쟁의 대상이었으나, 이제는 훨씬 완화되었다.[143] 이는 그 순서, 지리적 범위, 증발암층 및 염분 퇴적물을 유발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었다. MSC의 시작은 최근 천문학적으로 596만 년 전으로 추정되었으며, 약 63만 년 동안 지속되어 약 530만 년 전까지 이어졌다.[144] 오른쪽 애니메이션: 메시나절 염분 위기 참조.

초기 해수면 하강과 재범람 이후, MSC 기간 동안 해수면 하강과 재범람의 추가 에피소드가 이어졌다(총 횟수는 논쟁 중이다). 이 사건은 대서양의 마지막 재범람으로 분지가 다시 채워지면서 끝났는데, 이는지브롤터 해협을 만들고잔클레 홍수를 야기한 마이오세 말기(533만 년 전)에 일어났다. 일부 연구는 건조-범람-건조 주기가 여러 번 반복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대량의 염분 퇴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145][146] 그러나 최근 연구는 지구역학적 관점에서 반복적인 건조와 재범람은 가능성이 낮음을 보여준다.[147][148]

건조와 동식물 교환

[편집]
 플라이스토세 거대동물난쟁이코끼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의 대서양 통로인지브롤터 해협은 초기 플라이오세잔클레 홍수를 통해 형성되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그 이전에는 스페인 남부를 가로지르는베틱 회랑과 모로코 북부를 가로지르는 리피아 회랑이라는 두 개의 통로가 있었다. 베틱 회랑은 약 600만 년 전 폐쇄되어 메시나절 염분 위기(MSC)를 유발했고, 리피아 회랑 또는 두 통로 모두가 그보다 훨씬 이전인토르토니안절 시대(1160만~720만 년 전)에 폐쇄되어 MSC보다 훨씬 오래 지속된 "토르토니안 염분 위기"를 유발했다. 이 두 "위기"는 아프리카와 유럽 대륙 사이에 광범위한 연결을 형성하여 두 대륙 간에 동식물(특히 영장류를 포함한 대형 포유류)의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발레시아 위기는 기후 격변과 신종의 육상 이동에 이어 토르토니안 시대 유럽에서 포유류 종의 전형적인 멸종과 교체를 나타낸다.[149]

오늘날 해수면 증발(유출)은 강수량과 해안 유수 체계를 통한 담수 공급(유입)보다 많아 지중해의 염분 농도가 대서양보다 훨씬 높다. 너무 높아서 염분 농도가 높은 지중해 해수는 대서양에서 들어오는 물 아래로 가라앉아 지브롤터 해협을 가로지르는 두 층의 흐름을 유발한다. 즉, 따뜻한 염분 지중해 해수의해저 유출류와, 대서양에서 유입되는 염분 농도가 낮은 차가운 해수면 유입류가 균형을 이룬다. 1920년대에헤르만 죄르겔은 해협을 가로지르는 수력 발전 댐(아틀란트로파 프로젝트)을 건설하여 유입류를 이용해 막대한 수력 에너지를 생산할 것을 제안했다. 기반 에너지망은 또한 유럽과 적어도 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지역 간의 정치적 연합을 지원할 의도였다(나중에 영향력을 미친유라프리카와 계획된 전력망에서 유사점을 가진 후기 프로젝트인데저텍과 비교).[150]

고기후

[편집]

위도와 육지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 때문에 지중해는 천문학적으로 유도된 기후 변동에 특히 민감하며, 이는 퇴적 기록에 잘 나타나 있다. 지중해는 건조 기간 동안사하라 사막에서 유입되는풍성 먼지가 퇴적되고, 습윤 기간 동안에는 하천에서 유입되는쇄설성 물질이 우세하므로, 지중해의부니를 포함하는 퇴적층은 고해상도 기후 정보를 제공한다. 이 데이터는 지구 역사의 지난 900만 년 동안 천문학적으로 보정된 시간 척도를 재구성하는 데 사용되어 과거지구자기역전의 시기를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51]

생물 다양성

[편집]
부드러운 산호에우니셀라 카볼리니

대양의 해당해양 지대 내에서 광대한 다방향성해류와 달리, 지중해의생물 다양성은 미묘하지만 강력하게 고정된해류의 특성 때문에 안정적이며, 이는 심지어 가장 작은 거시적 유형의화산 생명체에게도 유리하다. 지중해의 안정적인해양 생태계해수의 온도심해 생물이 번성하는 데 영양을 공급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외부심해대양 요인으로부터 격리된 균형 잡힌수생생태계를 보장한다. 지중해에는 17,000종 이상의해양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으로연안 지역,대륙붕에서 더 높은 해양생물 다양성을 보이고 깊이에 따라 감소한다.[152]

메시나절 염분 위기 동안 바다가 말라붙으면서,[153][154][155] 지중해의 해양 생물은 주로 대서양에서 유래했다. 북대서양은 지중해보다 훨씬 더 차갑고 영양분이 풍부하며,[155][154] 지중해의 해양 생물은 분지가 재범람한 지 5백만 년이 지난 지금도 그 다른 조건에 적응해야 했다.[154]

알보란해는 지중해와 대서양 종이 섞여 있는 두 바다 사이의 전이 지대이다.[156]지중해몽크물범은 그리스의 에게해에 서식한다.[157]

1980년대까지 지중해에는범고래의 서식 개체군이 있었으나, PCB 장기 노출로 인해 멸종되었다. 여전히 매년 범고래 방랑 개체가 목격된다.[158]

환경 문제

[편집]

4,000년 동안 인간 활동은 지중해 유럽의 대부분을 변화시켰으며, "경관의 인간화"는 현재의 지중해성 기후의 출현과 겹쳤다. 고대 지중해의 지구상 낙원이라는 단순하고 환경 결정론적인 개념이 후대 문명의 영향으로 파괴되었다는 이미지는 적어도 18세기부터 시작되어 수세기 동안 고고학 및 역사 학계에서 유행했다. 역사 문서, 무역 관계 분석,범람원 퇴적물,꽃가루, 나이테 및 추가 고고학적 분석, 인구 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바탕으로 한앨프레드 토머스 그로브올리버 랙햄의 "지중해 유럽의 자연"에 대한 연구는 지중해 유럽이 "잃어버린 에덴", 즉 과거에 비옥하고 숲이 우거진 지역이었으나 인간의 잘못된 관리로 점차 황폐화되고 사막화되었다는 통념에 도전한다. 이러한 믿음은 초기 근대계몽시대의 예술가, 시인, 과학자기 이상화한고전학의 상상 속 과거에 현재의 경관이 미치지 못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159]

1966년팔로마레스 해상에서 회수된열핵폭탄

남유럽의 기후, 식생 및 경관의 역사적 진화는 선사 시대부터 현재까지 훨씬 더 복잡하며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예를 들어, 일부 삼림 벌채는 로마 시대 이전에 이미 일어났다. 로마 시대에는라티푼디움과 같은 대규모 기업이 숲과 농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했지만, 가장 큰 인구 감소 효과는 제국의 종말과 함께 찾아왔다. 주요 삼림 벌채는 현대에 일어났을 수 있다. 후기 이용 패턴도 남부와 북부 이탈리아에서 상당히 달랐다. 또한 기후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했으며, 다양한 고대 및 현대의 "소빙기"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160] 식물 군락은 다양한 극단에 적응하고 다양한 인간 활동 패턴에 탄력성을 가지게 되었다.[159]

그로브조차도 인간 활동이 기후 변화의 원인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현대 과학은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지중해 유럽의 넓은 생태 다양성은 주로 인간 행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사용 패턴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다.[159] 다양성의 범위는 오랜 역사와 고도로 다양한 지역 농업, 활발한 운송 및 무역 관계, 정착지, 목초지 및 기타 토지 이용과의 상호 작용의 광범위한 교환 및 상호 작용으로 향상되었다. 그러나 가장 큰 인위적인 변화는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 증후군"[161]과 함께 찾아왔는데, 이 지역 전역의 농촌 인구가 전통적인 자급자족 경제를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로브와 랙햄은 현지 주민이 전통적인 농업 패턴을 버리고 대신 관광을 위한 경관 설정 주체가 되었다고 제안한다. 그 결과 더욱 균일하고 대규모적인 형성[{{{설명}}}]이 나타났다. 지중해 경관에 대한 현재의 주요 위협 중에는 해안 지역의 과도한 개발, 산간 지역의 방치, 그리고 언급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농업 직업의 감소를 통한 다양성 상실이 있다.[159]

자연 재해

[편집]
이탈리아의스트롬볼리섬 화산

지중해 지역은 유럽판과 아프리카판 사이의 복잡한판 구조론 경계 지대에 위치하여 지구상에서 지질학적으로 가장 활발한 해양 지역 중 하나이다. 판 경계와 활성 단층의 존재로 인해 이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은 비교적 빈번한 지진,지진해일, 해저 산사태에 취약하며, 이는 인구 밀집 해안 지역에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기후 변화는 이제 폭풍 해일과 해안 홍수의 빈도와 영향을 심화시켜 인명과 재산을 추가로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162]

지중해 분지에서는 약 7천만 년 전부터 지진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판 구조론적 경계에 따라 지중해 지역은 두 개의 뚜렷한 부분으로 나뉜다: 동지중해(이탈리아에서 튀르키예까지)는 리히터 규모 7.5에 달하는 강한 지진이 특징이며 350회 이상의지진해일이 기록되었고, 서지중해이다. 20세기 동안 198,548명의 지진 희생자가 기록되었다.[163]

화산 폭발도 드물지 않으며 역사 및 고고학 기록에 그 흔적을 남겼다. 가장 큰 폭발로는 기원전 1600년경의테라 분화와 기원전 217년 및 서기 79년의베수비오산 분출이 있는데, 후자는 고대 도시인폼페이헤르쿨라네움을 파괴하고 매몰시킨 것으로 유명하다.[164] 같은 지역에서 나폴리 서쪽에 위치한캄피 플레그레이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화산계 중 하나로, 여전히 매우 활발하다. 같은 일반 지역에서 에트나산과 스트롬볼리와 같은 화산은 지난 1500년 동안 빈번한 분출과 용암 방출로 영구적인 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지진, 화산 분출, 해저 산사태로 인해 발생하는지진해일은 지난 2500년 동안 지중해 분지에서 수많은 재앙을 기록했다. 역사적 사례로는 365년과 1303년의 헬레닉 아크 지진해일, 최근에는 메시나와 레조 칼라브리아를 파괴한 1908년의 재앙적인 사건, 그리고 2003년 알제리 해안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해일이 있다.

외교 전선에서는 해안 국가 및 지역 당국이 NGO, 국가, 지역 및 지방 당국의 협력으로 국제 수준에서 교류를[{{{설명}}}] 주도하고 있다.[165]그리스-튀르키예 지진 외교는 1999년 이즈미트와 아테네에서 발생한 지진 이후 이 지역의 전통적인 경쟁자 간의 관계 개선으로 이어진 매우 긍정적인 자연 재해 사례이다. 유럽 연합 연대 기금(EUSF)은 유럽 전역의 재난 지역에 대한 유럽 연대를 표명하고 주요 자연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66] EU에서 가장 많은 자금 요청은산불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 다음이 홍수와 지진이다. 산불은 인위적이든 자연적이든 지중해 지역에서 빈번하고 위험한 재해이다.[165]지진해일 또한 이 지역에서 종종 과소평가되는 위험이다. 예를 들어,1908년 메시나 지진과 지진해일은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에서 123,0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으며, 현대 유럽에서 가장 치명적인 자연 재해 중 하나였다.

외래종

[편집]
범무늬소녀가오리는 진행 중인레셉스의 이주의 일환으로수에즈 운하를 통해 동부 지중해를 식민지화한 종 중 하나이다.

외래종은 지중해 생태계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었고 지중해 생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수많은 지역 및고유한 지중해 종을 위협하고 있다. 해양 생물 그룹을 처음 살펴보면, 지중해에서 발견되는 외래십각류[167]의 70% 이상과 외래 어류의 약 2/3[168]인도-태평양 기원으로,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에서유입되었다. 이는 운하가 외래종이 지중해로 유입되는 첫 번째 경로임을 의미한다. 일부 레셉스의 이주 종의 영향은 주로 지중해의 레반트 분지에서 상당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곳에서 토착종을 대체하고 흔한 광경이 되고 있다.

지중해 과학 위원회국제자연보전연맹의 정의에 따라, 그리고생물 다양성 협약 (CBD) 및람사르 협약 용어에 따르면, 이들은 지중해에 토착종(비고유종)이 아니며, 정상적인 비인접 분포 지역 외에서 발견되므로 외래종이다. 이 종이 지중해에 개체군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토착종과 경쟁하며 대체하기 시작하면 "외래 침입종"이 되며, 이는 변화의 매개체이자 토착 생물 다양성에 대한 위협이 된다. CBD의 맥락에서 "도입"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외래종이 자연 서식 범위(과거 또는 현재)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의미한다. 인공(인간이 만든) 운하인 수에즈 운하는 인간의 개입이다. 따라서 레셉스의 이주자는 "도입된" 종(간접적이고 의도치 않은)이다. 어떤 용어를 선택하든, 그들은 지중해에 토착종이 아니므로 지중해 토착 생물 다양성에 대한 위협을 나타낸다. 최근 몇 년간 이집트 정부가 운하를 깊고 넓게 확장하려는 의사를 발표하면서[169]해양생물학자 사이에서는 이러한 행위가 홍해 종의 지중해 침입을 더욱 악화시키고 더 많은 종이 운하를 통과하게 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170]

새로운 열대 대서양 종의 도래

[편집]

최근 수십 년 동안, 열대 대서양에서 유입된 외래종의 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많은 경우 이는 아열대 대서양 수역의 온난화 경향과 급증하는 해상 교통량에 힘입어 종의 자연 서식 범위가 확장되어, 이제지브롤터 해협을 통해 지중해로 유입되는 것을 반영한다.레셉스의 이주만큼 강렬하지는 않지만, 이 과정은 중요하며 따라서 과학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71]

해수면 상승

[편집]

2100년까지 지중해의 전체 수위는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3 and 61 cm (1.2 and 24.0 in) 상승할 수 있다.[172] 이는 지중해 연안 지역의 인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해수면 상승은몰타의 일부를 수몰시킬 것이다. 해수면 상승은 몰타 지하수 공급의 염분 농도 상승을 의미하며, 식수 가용성을 감소시킬 것이다.[173]
  • 해수면이 30 cm (12 in) 상승하면나일강 삼각주의 200 제곱킬로미터 (77 mi2)가 침수되어 50만 명 이상의이집트인이 이주해야 할 것이다.[174]
  • 키프로스 습지 또한 기온 및 해수면 상승으로 파괴될 위험에 처해 있다.[175]

해안 생태계 또한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발트해와 같은 폐쇄된 바다, 지중해, 그리고 흑해가 그렇다. 이 바다는 작고 주로 동서 방향의서식지 회랑만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에서 생물의 북쪽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176] 다음 세기(2100년)의 해수면 상승은 30 and 100 cm (12 and 39 in) 사이가 될 수 있으며, 심해에서 겨우 0.05–0.1 °C (0.09–0.18 °F)의 온도 변화만으로도 종 풍부도와 기능적 다양성에 상당한 변화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177]

오염

[편집]

이 지역의해양 오염은 최근 몇 년간 매우 심각했다.유엔 환경 계획은 매년 650,000,000 t (720,000,000 쇼트톤)의폐수, 129,000 t (142,000 쇼트톤)의광물유, 60,000 t (66,000 쇼트톤)의 수은, 3,800 t (4,200 쇼트톤)의 납, 그리고 36,000 t (40,000 쇼트톤)의인산염이 지중해에 버려진다고 추정했다.[178]바르셀로나 협약은 '지중해의 오염을 줄이고 해양 환경을 보호 및 개선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9]

많은 해양 종이 바다 오염 때문에 거의 멸종 위기에 처했다. 그 중 하나는 세계에서 가장멸종 위기에 처한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간주되는지중해몽크물범이다.[180]

지중해는 또한바다 쓰레기로 고통받고 있다. 1994년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해안을 따라저인망을 이용한해저 연구에 따르면, 특히 높은 평균 잔해물 농도가 보고되었다. 평균적으로 km2당 1,935개(5,010/sq mi)였다.[181]

해운

[편집]
메시나 해협을 향해 항해하는 화물선
트리에스테 항구

매년 약 370,000,000 t (360,000,000 롱톤)의 석유가 지중해에서 운송되며(전 세계 총량의 20% 이상), 매일 약 250~300척의유조선이 바다를 건넌다. 중요한 목적지 중 하나는 독일 석유 수요의 40%(바이에른 및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100%), 오스트리아의 90%, 체코의 50%를 충당하는트란스알프스 파이프라인의 시작점인트리에스테 항구이다.[182] 우발적인기름 유출은 연평균 10건으로 자주 발생한다. 대규모 기름 유출은 지중해 어느 곳에서든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177]

관광

[편집]
터키 리비에라(터키석 해안)에 위치한안탈리아케메르 해변. 2019년 튀르키예는국제 관광객 방문 수 기준으로 세계 6위를 차지했으며, 5,12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이 나라를 방문했다.[184]

지중해 연안은 고대부터 관광지로 사용되었으며,아말피 해안이나바르콜라의 로마 빌라 건물이 이를 보여준다. 특히 19세기 말부터 해변은 많은 유럽인과 여행자에게 동경의 장소가 되었다. 그 이후,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든 장단점을 지닌 지중해로의대중 관광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기차로, 나중에는 버스나 자동차로 여행했지만, 오늘날에는 비행기가 점점 더 많이 이용된다.[185]

관광은 오늘날 많은 지중해 국가에게 가장 중요한 수입원 중 하나이며, 이 지역의 인위적인 지정학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이들 국가는 이웃 해안 국가의 경제와 사회, 그리고해상 교통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위적인 혼란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지중해의 해군 및 구조 구성 요소는 다양한해군 함대 간의 신속한 협력 덕분에 최고 수준으로 간주된다. 광대한 대양과 달리, 이 바다의 폐쇄된 위치는 효과적인 해군 및 구조 임무를 용이하게 하며, 이는 어떤 인위적이거나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가장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186]

관광은 섬을 포함한 작은 해안 공동체에게 도시 중심부와 독립적으로 소득원이 된다. 그러나 관광은 해안 및해양 환경황폐화에도 큰 역할을 해왔다. 지중해 정부는 이 지역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을 지원하기 위해 급속한 개발을 장려했지만, 이는 많은 지중해 해안 지역에서 침식과오염으로 인해해양 서식지에 심각한 교란을 야기했다.

관광은 종종 자연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집중되어바다거북상과몽크물범과 같은 멸종 위기종의 서식지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자연 자원의 감소는 관광객이 방문할 유인을 줄일 수 있다.[177]

남획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남획입니다.

지중해의어류 자원 수준은 경고할 정도로 낮다.[187] 유럽 환경청에 따르면 이 지역의 모든 어류 자원 중 65% 이상이 안전한 생물학적 한계를 벗어났다. 가장 중요한 어업 중 일부가 위협받고 있다. 어획량과 품질이 현저히 감소했고, 많은 지역에서 더 크고 오래 사는 종들이 상업적 어획에서 완전히 사라졌다는 명확한 징후가 있다.[188]

해양 폭염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해양 폭염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15-2019년 지중해에서 발생한기후 변화 관련 이례적인해양 폭염으로 인해 5년 연속 광범위한 해양 생물 대량 폐사가 발생했다.[189][190]

갤러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해

[편집]
  1. 지중해 면적 제외
  2. 에브로강을 통해
  3. 스트루마강,마리차강,네스토스강을 통해,불가리아의 지리#수문학 참조
  4. 드린강을 통해
  5. 드린강바르다르강을 통해
  6. 마레치아강을 통해[70]
  7. 스트루마강을 통해
  8. 론강,포강,아디제강을 통해,스위스의 수문학 참조

각주

[편집]
  1. Pinet, Paul R. (2008).“Invitation to Oceanography”. 《Paleoceanography》. 30권 5호 (Jones & Barlett Learning). 220쪽.ISBN 978-0-7637-5993-3. 
  2. 틀:Britannica URL
  3. “Nile River”. 《Education | National Geographic Society》 (영어). 2023년 3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2일에 확인함. 
  4. Vaso Seirinidou,"The Mediterranean" in Diana Mishkova, Balázs Trencsényi, European Regions and Boundaries: A Conceptual History, series European Conceptual History3,ISBN 1-78533-585-5, 2017, p. 80
  5. Rickman, Geoffrey (2011). 〈The creation of Mare Nostrum: 300 BC – 500 AD〉. David Abulafia. 《The Mediterranean in History》. Getty Publications. 133쪽.ISBN 978-1-60606-057-5. 
  6. David Abulafia (2011). 《The Great Sea: A Human History of the Mediterranean》.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7. White, Mel.“Did ancient Egypt trade with Minoan civilization? If so, did ancient Egyptians understood Linear A script?”. 《Quora》. 2025년 6월 17일에 확인함. 
  8. “Late Bronze Age collapse | EBSCO Research Starters”. 《www.ebsco.com》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9. “THE MEDITERRANEAN SEA”. 《Issuu》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0. Rappoport, S. (Doctor of Philosophy, Basel). History of Egypt (undated, early 20th century), Volume 12, Part B, Chapter V: "The Waterways of Egypt", pp. 248–257 (online). London: The Grolier Society.
  11. Qutub, Hamzah (2024년 2월 8일).“How the Punic Wars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www.culturefrontier.com》 (미국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2. “Romans called the Mediterranean "Mare Nostrum" - meaning what?”. 《Brainly》. 2025년 6월 17일에 확인함. 
  13. “[FREE] What did Rome turn into a "Roman lake"? - brainly.com”. 《brainly.com》 (미국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4. MD, Gerti Tashko (2025년 5월 19일).“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476 CE)”. 《GT health》 (미국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5. Gaudio, Andrew.“Research Guides: Byzantine Empire: A Resource Guide: Introduction”. 《guides.loc.gov》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6. Smith, Cynthia; Parkinson, Brian (2023년 8월 16일).《Islam – Rise of the Religion and Empires》. 《Pressbooks》 (영어). 
  17. “The Spanish Umayyads (711–1031)”|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18. “Arab Influence | Spanish-food.org”. 《www.spanish-food.org》.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19. Crist, Raymond E. (1957). 《Rice Culture in Spain》. 《The Scientific Monthly》84. 66–74쪽.Bibcode:1957SciMo..84...66C.ISSN 0096-3771.JSTOR 21775. 
  20. “The story of Andalusian Oranges in Spain”. 《www.ft.lk》 (영어).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1. “The Nibble: Lemon History”. 《www.thenibble.com》.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2. Denker, Joel (2016년 6월 14일).'Moon Of The Faith:' A History Of The Apricot And Its Many Pleasures”. 《NPR.org》 (영어).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3. Scott, Stephen (2014년 2월 28일).“History of Spinach | Terroir Seeds”. 《Terroir Seeds | Underwood Gardens》 (영어).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4. Marie-Christine Daunay and Jules Janick (2007).《History and Iconography of Eggplant》(PDF). 《Chronica Horticulturae》47. 16–22쪽. 
  25. “History of Carrots – A brief summary and timeline”. 《www.carrotmuseum.co.uk》. 2022년 7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6. “The history of saffron”. 《Saffron》 (미국 영어). 2018년 10월 4일. 2019년 7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7. “Bananas: an American History”. 《www.worldcat.org》. 2020년 4월 6일에 확인함. 
  28. “Learn All About Spanish Olive Oil”. 《The Spruce Eats》 (영어).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29. Couper, Alastair (2015).《The Geography of Sea Transport》. Routledge. 33–37쪽.ISBN 978-1-317-35150-4. 
  30. Balard, Michel (2003). Bull, Marcus Graham; Edbury, Peter; Phillips, Jonathan, 편집.《The Experience of Crusading, Volume 2 – Defining the Crusader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35쪽.ISBN 978-0-521-78151-0.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1. Housley, Norman (2006). 《Contesting the Crusades》. Blackwell Publishing. 152–54쪽.ISBN 978-1-4051-1189-8. 
  32. Brundage, James (2004).《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273쪽.ISBN 978-1-135-94880-1.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33. University, Utah Valley.《The Twelfth Century》. 《World History: Cultures, States, and Societies to 1500》 (영어). 
  34. “Ottoman Empire - WWI, Decline & Definition”. 《HISTORY》 (영어). 2017년 11월 3일.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35. “From Pirate to Admiral: The Tale of Barbarossa | Britannica”. 《www.britannica.com》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36. “Battle of Lepanto | EBSCO Research Starters”. 《www.ebsco.com》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37. Robert Davis (2003년 12월 5일).《Christian Slaves, Muslim Masters: White Slavery in the Mediterranean, the Barbary Coast and Italy, 1500–1800》. Palgrave Macmillan.ISBN 978-0-333-71966-4.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38. “British Slaves on the Barbary Coast”. BBC. 2009년 2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39. C.I. Gable –Constantinople Falls to the Ottoman Turks보관됨 29 10월 2014 -웨이백 머신 – Boglewood Timeline – 1998 – Retrieved 3 September 2011.
  40.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 Islamic Nation where Jews Lived"보관됨 18 10월 2014 -웨이백 머신 – Sephardic Studies and Culture – Retrieved 3 September 2011.
  41. Robert Guisepi –The Ottomans: From Frontier Warriors To Empire Builders – 1992 – History World International – Retrieved 3 September 2011.
  42. See: Brian Lavery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zation, 1793–1815" (2013).
  43. “Mediterranean Theater, Naval Operations / 1.0 / encyclopedic”. 《1914-1918-Online (WW1) Encyclopedia》 (영어).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44. “The 1941 Battle of Cape Matapan Between Britain and Italy”. 《History is Now Magazine, Podcasts, Blog and Books | Modern International and American history》 (미국 영어). 2024년 9월 18일. 2025년 6월 18일에 확인함. 
  45. Mary Pelletier "A brief history of the Suez Canal" In: Apollo 3 July 2018; Harry de Wilt: Is One Belt, One Road a China crisis for North Sea main ports? in World Cargo News, 17. December 2019; Marcus Hernig: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018), pp 112; Hans Reis "Der Suezkanal – die wichtigste von Menschen geschaffene Wasserstrasse wurde vor 150 Jahren gebaut und war oft umkämpft" In: Neue Zürcher Zeitung 17 November 2019; Bernhard Simon: Can The New Silk Road Compete With The Maritime Silk Road? in The Maritime Executive, 1 January 2020.
  46. “Migrant deaths prompt calls for EU action”. 《Al Jazeera – English》. 2013년 10월 13일. 2022년 3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4일에 확인함. 
  47. “Schulz: EU migrant policy 'turned Mediterranean into graveyard'. 《EUobserver》. 2013년 10월 24일. 2014년 10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8. “Novruz Mammadov: The Mediterranean become a burial ground”. 2015년 9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49. “Over one million sea arrivals reach Europe in 2015”. 《UNHCR – The UN Refugee Agency》. 2015년 12월 30일. 2016년 12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50. “What will Italy's new government mean for migrants?”. 《The Local Italy》. 2018년 5월 21일. 2019년 4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51. “African migrants fear for future as Italy struggles with surge in arrivals”. 《Reuters》. 2017년 7월 18일. 2019년 4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52. Vallianatos, Evaggelos (2013년 10월 8일).“Is Western Civilization Becoming Criminal? The Case of the Mediterranean”. 《Truthout》 (미국 영어).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53. “Mediterranean Sea”. 《dlab.epfl.ch》.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54. “The Mediterranean – a sea surrounded by land | WWF”. 2020년 9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55. “The Mediterranean coast”. FAO. 2020년 9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56. Vella, Andrew P. (1985).《Mediterranean Malta》(PDF). 《Hyphen》4. 469–472쪽. 2017년 3월 29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57. Harald Krachler "Alois Negrelli, der Suezkanalplaner" In: Wiener Zeitung 18 January 1999.
  58. Urdiales-Flores, Diego; Zittis, George; Hadjinicolaou, Panos; Cherchi, Annalisa; Alessandri, Andrea; Peleg, Nadav; Lelieveld, Jos (2024).《A Global Analysis of Historical and Future Changes in Mediterranean Climate-Type Reg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영어)44. 5607–5620쪽.doi:10.1002/joc.8655.ISSN 1097-0088. 
  59. Bai, Yan; He, Xianqiang; Yu, Shujie; Chen, Chen-Tung (2018년 2월 28일). 《Change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Marginal Seas along the Eurasian Continent from 2003 to 2014》. 《Sustainability》 (영어)10. 635쪽.Bibcode:2018Sust...10..635B.doi:10.3390/su10030635.ISSN 2071-1050. 
  60. “Sea of Crete | sea, Greece”. 《Britannica》. 2023년 3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28일에 확인함. 
  61.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PD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1953. 2011년 10월 8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62. Lionello, P. (2012).《The Climate of the Mediterranean Region: From the Past to the Future》.엘스비어. lxii쪽.ISBN 978-0-12-391477-4.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Geographically, the Mediterranean catchment is extremely large and heterogeneous, covering an area of approximately 5 millions km2. It extends from the equator, where the springs of the White Nile River are located, to the source of the Rhone River at approximately 48°N. In longitude, it spans about 40°, from the middle of the Iberian peninsula, at 4°W, towards southern Turkey and the Middle East coasts facing the Mediterranean Sea (35°E). 
  63. Poulos, Serafeim (2011). 〈An insight to the fluv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 watersheds〉.《Advances in the Research of Aquatic Environment》.스프링거 네이처. 191쪽.The drainage basin of the Mediterranean Sea, accounting for some 4,184 103 km2 (including the R. Nile) 
  64. Margat, Jean F. (2004).《Mediterranean Basin Water Atlas》.유네스코. 4쪽.ISBN 978-2-9517181-5-9.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A basin of varied geometry: Area of the entire Mediterranean Basin, including the whole of the Nile Basin = 4,562,480 km2; Area of the 'conventional' Mediterranean Basin (i.e. counting only part of the Nile Basin in Egypt) = 1,836,480 km2 [...] There are few rivers with an abundant flow. Only three rivers have a mean discharge of more than 1000 m3/s: the Nile (at Aswan), the Rhône and the Po. 
  65. García-García, D. (2022). 《Hydrological cycle of the Mediterranean-Black Sea system》. 《기후 역학59. 1919–1938쪽.Bibcode:2022ClDy...59.1919G.doi:10.1007/s00382-022-06188-2.hdl:10045/121760.ISSN 0930-7575.S2CID 247013753.In the continents, the drainage basins discharging into the Mediterranean and Black sea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global continental runoff pathways scheme (Oki and Sud 1998), and they cover 5.34 × 106 and 2.43 × 106 km2, respectively 
  66. Gupta, Avijit (2008).《Large Rivers: Geomorphology and Management》.존 와일리 앤 선즈. 275쪽.ISBN 978-0-470-72371-5.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The highest point in the Nile basin is Mount Stanley (5109 m) in the Ruwenzori Mountain range between Lake Edward and Lake Albert 
  67. “The Mediterranean Marine and Coastal Environment: Hydrological and climatic setting.”. Mediterranean Action Plan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MAP). 2021년 10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The Mediterranean is an area of transition between a temperate Europe with relatively abundant and consistent water resources, and the arid African and Arabian deserts that are very short of water. 
  68. 〈Drainage basin of the Mediterranean Sea〉.《Our Waters: Joining Hands Across Borders: First Assessment of Transboundary Rivers, Lakes and Groundwaters》.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 2007. 154–181쪽. 2022년 4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5일에 확인함. 
  69. Maier, Andreas (2015).《The Central European Magdalenian: Regional Diversity and Internal Variability》.스프링거 출판사. 187쪽.ISBN 978-94-017-7206-8.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5일에 확인함.The major geographic features characterizing the landscape are the Rhône-Saône valley, the Jura Mountains, the Molasse basin and the northwestern slopes of the Alps. 
  70. “San Marino”.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년 5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22일에 확인함. 
  71. “The Nile River Basin Initiative”.RTI 인터내셔널. 2018년 5월 23일. 2022년 3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4일에 확인함.The longest river in the world, the Nile spans 35 degrees of latitude, drains three million square kilometers of land (one-tenth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Africa), and runs through 11 countries whose combined population totals over 300 million people: Egypt, Ethiopia, Eritrea, Kenya, Rwanda, Burundi, Tanzania, Uganda, Sudan, South Sudan,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The Nile's primary water source, Lake Victoria, is the world's second-largest body of fresh water, and the Nile Delta in northern Egypt covers over 150 miles of the Mediterranean coastline. 
  72. “Mediterranean Sea”. 《Vajiram & Ravi》 (영어). 2023년 6월 20일.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73. “Sea Around Us | Fisheries, Ecosystems and Biodiversity”. 《seaaroundus.org》. 2016년 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74. “Sea Around Us | Fisheries, Ecosystems and Biodiversity”. 2016년 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75. Moatti, Jean-Paul; Thiébault, Stéphane (2018).《The Mediterranean region under climate change: A scientific update》.연구 개발 연구소. 363쪽.ISBN 978-2-7099-2220-3.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5일에 확인함.With about 10,000 islands and islets (approx. 250 inhabited by humans), the Mediterranean Sea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largest archipelagos in the world. 
  76. “Malaga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Costa del Sol”. 《Weather2Visit.com》. 2021년 11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4일에 확인함. 
  77. “Barcelona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Spain”. 《Weather2Travel.com》. 2011년 7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78. “Marseille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France”. 《Weather2Travel.com》. 2010년 9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79. “Naples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Neapolitan Riviera”. 《Weather2Travel.com》. 2013년 5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80. “Valletta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Malta – Malta”. 《Weather2Travel.com》. 2010년 10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81. “Venice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Venetian Riviera”. 《Weather2Travel.com》. 2012년 6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20일에 확인함. 
  82. “Athens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Greece – Greece”. 《Weather2Travel.com》. 2010년 5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83. “Iraklion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Crete – Crete”. 《Weather2Travel.com》. 2014년 10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84. “Antalya: Monthly Weather Averages – Antalya Coast – Turkey”. 《Weather2Travel.com》. 2020년 10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5일에 확인함. 
  85. “Limassol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Cyprus”. 《Weather2Travel.com》. 2013년 5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1일에 확인함. 
  86. Seatemperature.org.“Mercin (alternate names – Mersin, Mersina, Mersine): Monthly Weather Averages – Turkey”. 2020년 10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5일에 확인함. 
  87. “Tel Aviv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Israel”. 《Weather2Travel.com》. 2013년 5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88. Seatemperature.org.“Alexandria Climate: Monthly Weather Averages – Egypt”. 2021년 3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5일에 확인함. 
  89. Tugend, J.; Chamot-Rooke, N.; Arsenikos, S.; Blanpied, C.; Frizon de Lamotte, D. (2019).《Geology of the Ionian Basin and Margins: A Key to the East Mediterranean Geodynamics》. 《Tectonics》38. 2668–2702쪽.Bibcode:2019Tecto..38.2668T.doi:10.1029/2018TC005472.ISSN 1944-9194. 
  90. Gallais, Flora; Gutscher, Marc-Andre; Klaeschen, Dirk; Graindorge, David (2012).《Two-stage growth of the Calabrian accretionary wedge in the Ionian Sea (Central Mediterranean): Constraints from depth-migrated multichannel seismic data》. 《Marine Geology》. 326-328. 29, Figure 1쪽.Bibcode:2012MGeol.326...28G.doi:10.1016/j.margeo.2012.08.006. 
  91. 〈Mediterranean Sea - Geology, Climate, Biodiversity | Britannica〉.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판. 2025년 1월 3일. 2025년 1월 5일에 확인함. 
  92. Vanney, JR.; Gennesseaux, M. (1985). 〈Mediterranean Seafloor Features: Overview and Assessment〉. Stanley, D. J.; Wezel, FC.《Geological Evolution of the Mediterranean Basin》(PDF). New York, NY: Springer. 3–32쪽. 
  93. Mascle, Jean; Chaumillon, Eric (1998).《An overview of Mediterranean Ridge collisional accretionary complex as deduced from multichannel seismic data》. 《Geo-Marine Letters》18. 81–89쪽.Bibcode:1998GML....18...81M.doi:10.1007/s003670050056. 
  94. Gallais, Flora; Gutscher, Marc-Andre; Klaeschen, Dirk; Graindorge, David (2012).《Two-stage growth of the Calabrian accretionary wedge in the Ionian Sea (Central Mediterranean): Constraints from depth-migrated multichannel seismic data》. 《Marine Geology》. 326-328. 31, Figure 3쪽.Bibcode:2012MGeol.326...28G.doi:10.1016/j.margeo.2012.08.006. 
  95. Cavazza, William; Longhitano, Sergio (2022).《Palaeostrait tectono-sedimentary facies during late Cenozoic microplate rifting and dispersal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Ge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s》523. 2, Figure 1쪽.doi:10.1144/SP523-2021-95.hdl:11563/196876. 
  96. “Marine Protected Areas and key biodiversity areas of the Alboran Sea and adjacent areas”. 《Oceana Europe》 (미국 영어). 2025년 1월 7일에 확인함. 
  97. Bouyahiaoui, B.; Sage, F.; Abtout, A.; Klingelhoefer, F.; Yelles-Chaouche, K.; Schnürle, P.; Marok, A.; Déverchère, J.; Arab, M.; Galve, A.; Collot, J.Y. (2015년 6월 1일).《Crustal structure of the eastern Algerian continental margin and adjacent deep basin: implications for late Cenozoic geodynamic evolution of the western Mediterranean》.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201. 1912–1938쪽.doi:10.1093/gji/ggv102.ISSN 0956-540X. 
  98. Smith, CJ, Dailianis, T, Papadopoulou, K-N, Gerovasileiou, V, Sevastou, K, Grehan, A, Billett, B, McOwen, C, Amaro, T, Bakran-Petricioli, T, Bekkby, T, Bilan, M, Boström, C, Carriero-Silva, M, Carugati, L, Cebrian, E, Cerrano, C, Christie, H, Danovaro, R, Eronat, EGT, Fiorentino, D, Fraschetti, S, Gagnon, K, Gambi, C, Hereu, B, Kipson, S, Kotta, J, Linares, C, Morato, T, Ojaveer, H, Orav-Kotta, H, Pham, CK, Rinde, E, Sarà, A, Scrimgeour, R (2017).Current marine pressures and mechanisms driving changes in marine habitats (보고서). 64쪽. 
  99. “Global Volcanism Program | Campi Flegrei del Mar di Sicilia”. Smithsonian Institution | Global Volcanism Program. 2025년 1월 9일에 확인함. 
  100. “Global Volcanism Program | Marsili”. Smithsonian Institution | Global Volcanism Program. 2025년 1월 9일에 확인함. 
  101. Sakellariou, Dimitris; Drakopoulou, Paraskevi; Rousakis, Grigoris; Livanos, Isidoros; Loukaidi, Vassiliki; Kyriakidou, Chara; Morfis, Ioannis; Panagiotopoulos, Ioannis; Tsampouraki-Kraounaki, Konstantina; Manta, Kyriaki; Leontopoulou, Georgia (2022). 〈Geomorphological Features〉.《Deep-sea Atla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 Current Knowledge》. Gland, Switzerland: IUCN. 51, Figure 2.21쪽. 
  102. Micallef, Aaron; Camerlenghi, Angelo; Georgiopoulou, Aggeliki; Garcia-Castellanos, Daniel; Gutscher, Marc-André; Lo Iacono, Claudio; AI Huvenne, Veerle; Mountjoy, Joshu J.; Paull, Charles K.; Le Bas, Timothy; Daniele; Facchin, Lorenzo; Accettella, Daniela (2019).《Geomorphic evolution of the Malta Escarpment and implications for the Messinian evaporative drawdown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PDF). 《Geomorphology》 (영어)327. 264–283쪽.doi:10.1016/j.geomorph.2018.11.012.hdl:10261/172776. 
  103. Malta, Times of (2014년 9월 14일).“Massive canyon found in Mediterranean sea cliff”. 《Times of Malta》 (영국 영어). 2025년 1월 7일에 확인함. 
  104. Pinet, Paul R. (1996). 《Invitation to Oceanography》 3판. St Paul, Minnesota: West Publishing Co. 202쪽.ISBN 978-0-314-06339-7. 
  105. Pinet 1996, 206쪽.
  106. Emeis, Kay-Christian; Struck, Ulrich; Schulz, Hans-Martin; Rosenberg, Reinhild; 외. (2000).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s of Mediterranean Sea surface waters over the last 16,000 years from records of planktonic stable oxygen isotopes and alkenone unsaturation ratio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158. 259–280쪽.Bibcode:2000PPP...158..259E.CiteSeerX 10.1.1.378.4964.doi:10.1016/s0031-0182(00)00053-5. 
  107. Ellenberg, L. (1981년 9월 30일). 《Die Meerenge von Gibraltar : Küstenmorphologie zwischen Mittelmeer und Atlantik》. 《Geographica Helvetica》36. 109–120쪽.doi:10.5194/gh-36-109-1981.ISSN 2194-8798. 
  108. Hofrichter, R. (2020).《Das Mittelmeer: Geschichte und Zukunft eines ökologisch sensiblen Raums》 (독일어). Springer Berlin Heidelberg. 530쪽.ISBN 978-3-662-58929-8. 2024년 5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09. TAUPIER-LETAGE, Isabelle; MILLOT, Claude.Recent results and new ideas about the Eurafrican Mediterranean Sea. Outlook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Asian Mediterranean Sea(PDF) (보고서). 2011년 5월 11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3일에 확인함. 
  110. “Regional seas around Europe - version 2, Oct. 2022”. 《EEA》. October 2022.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111. Millot, Claude; Taupier-Letage, Isabelle (2005).〈Circulation in the Mediterranean Sea〉(PDF).《The Mediterranean Sea》. Handbook of Environmental Chemistry5K. 29–66쪽.doi:10.1007/b107143.ISBN 978-3-540-25018-0.S2CID 55831361. 2019년 12월 16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5일에 확인함. 
  112. Millot, C. (1989). 《La Circulation Générale En Méditerranée Occidentale : Aperçu De Nos Connaissances Et Projets D'études》 [General Circulation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Overview of Our Knowledge and Study Projects]. 《Annales de Géographie》 (프랑스어)98. 497–515쪽.doi:10.3406/geo.1989.20925.JSTOR 23452851. 
  113. Gasparini, G.P.; Ortona, A.; Budillon, G.; Astraldi, M.; Sansone, E. (June 2005). 《The effect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Transient on the hydr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trait of Sicily and in the Tyrrhenian Sea》. 《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52. 915–935쪽.Bibcode:2005DSRI...52..915G.doi:10.1016/j.dsr.2005.01.001. 
  114. Lascaratos, Alex; Roether, Wolfgang; Nittis, Kostas; Klein, Birgit (August 1999). 《Recent changes in deep water formation and spreading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a review》. 《Progress in Oceanography》44. 5–36쪽.Bibcode:1999PrOce..44....5L.doi:10.1016/S0079-6611(99)00019-1. 
  115. Theocharis, Alexander; Kostas; Harilaos; Emanuel; Efstathios (1999년 6월 1일). 《Climatic changes in the Aegean Sea influence the eastern Mediterranean thermohaline circulation (1986–1997)》. 《Geophysical Research Letters》26. 1617–1620쪽.Bibcode:1999GeoRL..26.1617T.doi:10.1029/1999GL900320. 
  116. Civitarese, G.; Gačić, M.; Lipizer, M.; Eusebi Borzelli, G. L. (2010년 12월 15일). 《On the impact of the Bimodal Oscillating System (BiOS) on the biogeochemistry and biology of the Adriatic and Ionian Seas (Eastern Mediterranean)》. 《Biogeosciences》7 (Copernicus GmbH). 3987–3997쪽.Bibcode:2010BGeo....7.3987C.doi:10.5194/bg-7-3987-2010.ISSN 1726-4189. 
  117. Giorgi, F. (2006). 《Climate change hot-spo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33.Bibcode:2006GeoRL..33.8707G.doi:10.1029/2006GL025734.ISSN 0094-8276. 
  118. Bethoux, J. P.; Gentili, B.; Raunet, J.; Tailliez, D. (1990). 《Warming trend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deep water》. 《Nature》347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660–662쪽.Bibcode:1990Natur.347..660B.doi:10.1038/347660a0.ISSN 0028-0836. 
  119. 《Climate warming and related changes in Mediterranean marine biota - an overview》. 《CIESM Monographs》35. 2008. 5–21쪽. 
  120. Adloff, Fanny; Somot, Samuel; Sevault, Florence; Jordà, Gabriel; 외. (2015). 《Mediterranean Sea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an ensemble of twenty first century scenarios》. 《Climate Dynamics》45. 2775–2802쪽.Bibcode:2015ClDy...45.2775A.doi:10.1007/s00382-015-2507-3.hdl:10261/132771.ISSN 0930-7575. 
  121. Sisma-Ventura, Guy; Bialik, Or M.; Yam, Ruth; Herut, Barak; Silverman, Jacob (November 2017). 《p CO 2 variability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ultra-oligotrophic Levantine Sea: Exploring the air–sea CO 2 fluxes in a fast warming region》. 《Marine Chemistry》196. 13–23쪽.Bibcode:2017MarCh.196...13S.doi:10.1016/j.marchem.2017.06.006. 
  122. Wimart-Rousseau, Cathy; Thibaut; Álvarez, Marta; Moutin, Thierry; 외. (2021).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CO2 System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A Case Study in the North Western Levantine Basin》. 《Frontiers in Marine Science》8.Bibcode:2021FrMaS...849246W.doi:10.3389/fmars.2021.649246.ISSN 2296-7745. 
  123. Marine heatwaves in the Mediterranean Sea and beyond - an overview. 2024. pp. 5–24 in CIESM Monograph 51 (F. Briand, Ed.) ISSN 1726-5886[1]
  124. Verdura, Jana; Linares, Cristina; Ballesteros, Enric; Coma, Rafel; 외. (December 2019). 《Biodiversity loss in a Mediterranean ecosystem due to an extreme warming event unveils the role of an engineering gorgonian species》. 《Scientific Reports》9. 5911쪽.Bibcode:2019NatSR...9.5911V.doi:10.1038/s41598-019-41929-0.PMC 6459914.PMID 30976028.S2CID 108292968. 
  125. Jordà, Gabriel; Marbà, Núria; Duarte, Carlos M. (November 2012). 《Mediterranean seagrass vulnerable to regional climate warming》. 《Nature Climate Change》2. 821–824쪽.Bibcode:2012NatCC...2..821J.doi:10.1038/nclimate1533. 
  126. Grossowicz, Michal; Bialik, Or M.; Shemesh, Eli; Tchernov, Dan; 외. (2020년 6월 24일). 《Ocean warming is the key filter for successful colonization of the migrant octocoral Melithaea erythraea (Ehrenberg, 1834)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PeerJ》8. e9355쪽.doi:10.7717/peerj.9355.PMC 7320722.PMID 32612887. 
  127. Uitz, Julia; Stramski, Dariusz; Gentili, Bernard; D'Ortenzio, Fabrizio; Claustre, Hervé (2012). 《Estimates of phytoplankton class-specific and total primary production in the Mediterranean Sea from satellite ocean color observations》. 《Global Biogeochemical Cycles》26.Bibcode:2012GBioC..26.2024U.doi:10.1029/2011GB004055.ISSN 0886-6236. 
  128. Bosc, E.; Bricaud, A.; Antoine, D. (2004).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algal biomass and primary production in the Mediterranean Sea, as derived from 4 years of SeaWiFS observations》. 《Global Biogeochemical Cycles》18.Bibcode:2004GBioC..18.1005B.doi:10.1029/2003GB002034.ISSN 0886-6236. 
  129. Lebeaupin Brossier, Cindy; Béranger, Karine; Deltel, Charles; Drobinski, Philippe (2011). 《The Mediterranean response to different space–time resolution atmospheric forcings using perpetual mode sensitivity simulations》. 《Ocean Modelling》36 (Elsevier BV). 1–25쪽.Bibcode:2011OcMod..36....1L.doi:10.1016/j.ocemod.2010.10.008.ISSN 1463-5003. 
  130. D'Ortenzio, F.; Ribera d'Alcalà, M. (2009년 2월 5일). 《On the trophic regimes of the Mediterranean Sea: a satellite analysis》. 《Biogeosciences》6 (Copernicus GmbH). 139–148쪽.Bibcode:2009BGeo....6..139D.doi:10.5194/bg-6-139-2009.ISSN 1726-4189. 
  131. Moutin, T.; Van Wambeke, F.; Prieur, L. (2012년 10월 8일). 《Introduction to the Biogeochemistry from the Oligotrophic to the Ultraoligotrophic Mediterranean (BOUM) experiment》. 《Biogeosciences》9 (Copernicus GmbH). 3817–3825쪽.Bibcode:2012BGeo....9.3817M.doi:10.5194/bg-9-3817-2012.ISSN 1726-4189. 
  132. Berland, Br; Bonin, Dj; Maestrini, Sy (1980년 1월 1일).《Azote ou phosphore ? Considérations sur le paradoxe nutritionnel de la mer méditerranée》. 《Oceanologica Acta》 (프랑스어)3 (Gauthier-Villars). 135–141쪽.ISSN 0399-1784. 2024년 5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일에 확인함. 
  133. Bethoux, J.P.; Morin, P.; Madec, C.; Gentili, B. (1992). 《Phosphorus and nitrogen behaviour in the Mediterranean Sea》. 《Deep Sea Research Part A.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39 (Elsevier BV). 1641–1654쪽.Bibcode:1992DSRA...39.1641B.doi:10.1016/0198-0149(92)90053-v.ISSN 0198-0149. 
  134. Kress, Nurit; Herut, Barak (2001). 《Spatial and seasonal evolution of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in the Southern Levantine Basin (Eastern Mediterranean Sea):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water masses and inferences on the N:P ratios》. 《Deep 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48 (Elsevier BV). 2347–2372쪽.Bibcode:2001DSRI...48.2347K.doi:10.1016/s0967-0637(01)00022-x.ISSN 0967-0637. 
  135. Krom, M.D.; Thingstad, T.F.; Brenner, S.; Carbo, P.; 외. (2005). 《Summary and overview of the CYCLOPS P addition Lagrangian experiment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Deep Sea Research Part II: Topical Studies in Oceanography》52 (Elsevier BV). 3090–3108쪽.Bibcode:2005DSRII..52.3090K.doi:10.1016/j.dsr2.2005.08.018.ISSN 0967-0645. .
  136. Sammartino, M.; Di Cicco, A.; Marullo, S.; Santoleri, R. (2015년 9월 25일).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icro-, nano- and pico-phytoplankton in the Mediterranean Sea from satellite ocean colour data of SeaWiFS》. 《Ocean Science》11 (Copernicus GmbH). 759–778쪽.Bibcode:2015OcSci..11..759S.doi:10.5194/os-11-759-2015.ISSN 1812-0792. 
  137. Ryan, William B. F. (2009). 《Decoding the Mediterranean salinity crisis》. 《Sedimentology》56. 95–136쪽.Bibcode:2009Sedim..56...95R.doi:10.1111/j.1365-3091.2008.01031.x.S2CID 52266741. 
  138. William Ryan (2008).《Modeling the magnitude and timing of evaporative drawdown during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PDF). 《Stratigraphy》5. 229쪽.Bibcode:2008Strat...5..227R.doi:10.29041/strat.05.3.02. 2016년 3월 4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5일에 확인함. 
  139. Garcia-Castellanos, D.; Estrada, F.; Jiménez-Munt, I.; Gorini, C.; 외. (2009). 《Catastrophic flood of the Mediterranean after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Nature》462. 778–781쪽.Bibcode:2009Natur.462..778G.doi:10.1038/nature08555.PMID 20010684.S2CID 205218854. 
  140. Elmer LaMoreaux, Philip (2001).〈Geologic/Hydrogeologic Setting and Classification of Springs〉. 《Springs and Bottled Waters of the World: Ancient History, Source, Occurrence, Quality and Use》. Springer. 57쪽.ISBN 978-3-540-61841-6. 2024년 1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8일에 확인함. 
  141. Žumer, Jože (2004).《Odkritje podmorskih termalnih izvirov》 [Discovery of submarine thermal springs](PDF). 《Geografski Obzornik》 (슬로베니아어)51. 11–17쪽.ISSN 0016-7274. 2016년 3월 4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4일에 확인함. (슬로베니아어)
  142. de la Vara, Alba; Robin P.M.; Meijer, Paul Th.; Kouwenhoven, Tanja J. (2015). 《Water exchange through the Betic and Rifian corridors prior to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A model study》. 《Paleoceanography》30. 548–557쪽.Bibcode:2015PalOc..30..548D.doi:10.1002/2014PA002719.hdl:1874/326590.S2CID 134905445. 
  143. Briand, F. (ed.) (2008).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Mega-Deposits to Microbiology – A consensus report. CIESM Publishers, Paris, Monaco. 168 p.[2]
  144. Krijgsman, W.; Fortuin, A.R.; Hilgen, F.J.; Sierro, F.J. (2001).《Astrochronology for the Messinian Sorbas basin (SE Spain) and orbital (precessional) forcing for evaporite cyclicity》(PDF). 《퇴적학 (저널)140. 43–60쪽.Bibcode:2001SedG..140...43K.doi:10.1016/S0037-0738(00)00171-8.hdl:1874/1632. 
  145. Gargani J., Rigollet C. (2007). 《Mediterranean Sea level variations during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34. L10405쪽.Bibcode:2007GeoRL..3410405G.doi:10.1029/2007GL029885.S2CID 128771539. 
  146. Gargani J.; Moretti I.; Letouzey J. (2008).《Evaporite accumulation during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The Suez Rift Case.》(PDF). 《Geophysical Research Letters》35. L02401쪽.Bibcode:2008GeoRL..35.2401G.doi:10.1029/2007gl032494.S2CID 129573384. 2021년 5월 7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9일에 확인함. 
  147. Govers, Rob (February 2009). 《Choking the Mediterranean to dehydration: The Messinian salinity crisis》. 《Geology》37. 167–170쪽.Bibcode:2009Geo....37..167G.doi:10.1130/G25141A.1.S2CID 34247931. 
  148. Garcia-Castellanos, D.; Villaseñor, A. (2011년 12월 15일). 《Messinian salinity crisis regulated by competing tectonics and erosion at the Gibraltar arc》. 《Nature》480. 359–363쪽.Bibcode:2011Natur.480..359G.doi:10.1038/nature10651.PMID 22170684.S2CID 205227033. 
  149. Agusti, J; Moya-Sola, S (1990). 《Mammal extinctions in the Vallesian (Upper Miocene)》.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s30. 425–432쪽.doi:10.1007/BFb0011163.ISBN 978-3-540-52605-6.ISSN 1613-2580.  (Abstract)
  150. Politische Geographien Europas: Annäherungen an ein umstrittenes Konstrukt, Anke Strüver, LIT Verlag Münster, 2005, p. 43
  151. F.J. Hilgen (1991).《Astronomical calibration of Gauss to Matuyama sapropels in the Mediterranean and implication for the Geomagnetic Polarity Time Scale》(PDF).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104. 226–244쪽.Bibcode:1991E&PSL.104..226H.doi:10.1016/0012-821X(91)90206-W.hdl:1874/19041. 2011년 7월 24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4일에 확인함. 
  152. Coll, Marta, et al., "The biodiversity of the Mediterranean Sea: estimates, patterns, and threats". PLOS ONE 5.8, 2010.
  153. Hsu K.J., "When the Mediterranean Dried Up" Scientific American, Vol.227, December 1972, p. 32
  154. “7 Facts You Didn't Know About Mediterranean”. 《Maritime Business World》 (튀르키예어). 2020년 7월 3일.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155. “Mediterranean Sea Ecosystem | EBSCO Research Starters”. 《www.ebsco.com》 (영어).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156. 《Frontiers |》. 《Frontiers》.doi:10.3389/conf.fmars.2016.05.00107. 2025년 6월 19일에 확인함. 
  157. Dendrinos, Panagiotis; Adamantopoulou, Styliani; Tounta, Eleni; Koemtzopoulos, Kimon; Karamanlidis, Alexandros A. (2024), Anagnostou, Christos L.; Kostianoy, Andrey G.; Mariolakos, Ilias D.; Panayotidis, Panayotis, 편집.,“The Mediterranean Monk Seal (Monachus monachus) in the Aegean Sea. "The Living Myth of the Sirens", 《The Aegean Sea Environment: The Biodiversity of the Natural System》 (영어) (Cham: Springer Nature Switzerland), 211–233쪽,doi:10.1007/698_2022_897,ISBN 978-3-031-59415-1,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158. Carrington, Damian."UK's last resident killer whales 'doomed to extinction'"보관됨 20 2월 2019 -웨이백 머신,가디언, London, 14 January 2016. Retrieved 17 February 2019.
  159. The Nature of Mediterranean Europe: An Ecological History, by Alfred Thomas Grove, Oliver Rackham, Yale University Press, 2003,review at Yale university press보관됨 6 10월 2014 -웨이백 머신Nature of Mediterranean Europe: An Ecological History (review)보관됨 6 10월 2014 -웨이백 머신,브라이언 M. 파간,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 Volume 32, Number 3, Winter 2002, pp. 454–455
  160. Jean M. Grove (2004). Little Ice Ages: Ancient and Modern. Taylor & Francis.
  161. Christian Pfister (editor), Das 1950er Syndrom: Der Weg in die Konsumgesellschaft, Berne 1995
  162. Marine hazards and coastal vulnerabilities in the Mediterranean - realities and perceptions. 2024. pp. 5–25 in ’’ CIESM Monograph 52’’ (F. Briand, Ed.) ISSN 1726-5886[3]
  163. “Natural hazards in the Mediterranean Basin”. 《www.mededuc.eu》. 2025년 6월 20일에 확인함. 
  164. McGuire, Bill (2003년 10월 16일).“In the shadow of the volcano”. 《The Guardian》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20년 11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8일에 확인함. 
  165. “Alle kennisdossiers van het Instituut Fysieke Veiligheid”(PDF). 2015년 2월 5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0일에 확인함. 
  166. “Press corner”. 《European Commission》. 2020년 8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167. Galil, Bella; Froglia, Carlo; Noël, Pierre (2002). Briand, Frederic, 편집.《CIESM Atlas of Exotic Species in the Mediterranean: Vol 2 Crustaceans》. Paris, Monaco: CIESM Publishers. 192쪽.ISBN 978-92-990003-2-8. 2022년 1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일에 확인함. 
  168. “IUCN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Biodiversity Loss Caused by Alien Invasive Species”(PDF).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0. 2009년 1월 15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11일에 확인함. 
  169. “Egypt to deepen, widen Suez Canal after blockage”. 《Al-Monitor》 (영어). 2021년 5월 21일. 2022년 7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12일에 확인함. 
  170. Galil, Bella S.; Zenetos, Argyro (2002). 〈A Sea Change — Exotic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Invasive Aquatic Species of Europe. Distribution, Impacts and Management》.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325–336쪽.doi:10.1007/978-94-015-9956-6_33.ISBN 978-90-481-6111-9. 
  171. Golani, Daniel; Azzurro, Ernesto; Dulčić, Jakov; Massutí, Enric; Briand, Frederic (2021). 《Atlas of Exotic Fishes in the Mediterranean Sea》. CIESM Atlases 2판. CIESM publishers.ISBN 978-92-990003-5-9. 
  172. “Mediterranean Sea Level Could Rise By Over Two Feet, Global Models Predict”. 《사이언스 데일리》. 2009년 3월 3일. 2018년 6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9일에 확인함. 
  173. “Briny future for vulnerable Malta”. 《BBC 뉴스》. 2007년 4월 4일. 2021년 5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3일에 확인함. 
  174. “Egypt fertile Nile Delta falls prey to climate change”. 2010년 1월 28일. 2011년 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5. “Cyprus wetlands in danger of being destroyed by climate change”. 《cyprus-mail.com》. 2019년 11월 8일. 2021년 2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8일에 확인함. 
  176. Nicholls, R.J.; Klein, R.J.T. (2005). Climate change and coastal management on Europe's coast, in: Vermaat, J.E. et al. (Ed.) (2005). Managing European coasts: past, present and future. pp. 199–226.
  177. “Other threats in the Mediterranean | Greenpeace International”. Greenpeace. 2010년 4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3일에 확인함. 
  178. “Pollution in the Mediterranean Sea. Environmental issues”. Explore Crete. 2010년 1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3일에 확인함. 
  179. “EUROPA”. Europa. 2009년 4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3일에 확인함. 
  180. “Mediterranean Monk Seal Fact Files: Overview”. Monachus-guardian.org. 1978년 5월 5일. 2019년 9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3일에 확인함. 
  181. “Marine Litter: An Analytical Overview”(PD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2007년 7월 17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1일에 확인함. 
  182. Thomas Fromm "Pipeline durch die Alpen: Alles im Fluss" In: Süddeutsche Zeitung, 26 December 2019.
  183. Arvis, Jean-François; Vesin, Vincent; Carruthers, Robin; Ducruet, César; de Langen, Peter (2019).《Maritime Networks, Port Efficiency, and Hinterland Connectivity in the Mediterran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Focus》(PDF). Washington, DC:세계은행. 41쪽.doi:10.1596/978-1-4648-1274-3.hdl:10398/08c83467-00f6-4f56-9833-1beda9f7734f.ISBN 978-1-4648-1274-3.S2CID 134161640. 2021년 6월 13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184. 《UNWTO Tourism Highlights: 2019 Edition | World Tourism Organization》. 2019.doi:10.18111/9789284421152.ISBN 978-92-844-2115-2.S2CID 240665765. 
  185. Rüdiger Hachtmann "Tourismus-Geschichte". (2007); Attilio Brilli "Quando viaggiare era un'arte. Il romanzo del grand tour." (1995).
  186. “Sustainable tourism in the Mediterranean”(PDF). 2023년 3월 1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일에 확인함. 
  187. CORDIS.“The worrying state of Mediterranean fish stocks”. 《phys.org》 (영어).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188. “Factors affecting the fishing impact on cartilaginous fishes in southeastern Spain (western Mediterranean Sea)”(PDF). 《Pdfs semanticscholar.org》. April 2014.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189. “Marine heatwave: Record sea temperatures seen in the Mediterranean could devastate marine life”. 《interestingengineering.com》. 2022년 8월 20일. 2022년 8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1일에 확인함. 
  190. Garrabou, Joaquim; Gómez-Gras, Daniel; Medrano, Alba; Cerrano, Carlo; 외. (2022년 7월 18일). 《Marine heatwaves drive recurrent mass mortalities in the Mediterranean Sea》. 《Global Change Biology》 (영어)28. 5708–5725쪽.Bibcode:2022GCBio..28.5708G.doi:10.1111/gcb.16301.hdl:10754/679702.ISSN 1354-1013.PMC 9543131.PMID 35848527.S2CID 250622761. 

외부 링크

[편집]
지중해 연합
참관국:리비아의 기리비아
대서양의 주변해
해분
해협
남극해
북극해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내륙유역
기타
세계의 대륙과지역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중해&oldid=4022547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