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507호선 은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산수삼거리와청원구 오창읍 창리 오창사거리를 잇는충청북도 의지방도 이다.
2010년 9월 3일지방도 제508호선 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가 2013년 7월 다시 본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2012년 7월 1일에세종특별자치시 가 출범하면서 기존 충청남도 연기군 구간은 해제되었다. 해제된 구간은 세종특별자치시도 제13호선이 되었다. 2017년 7월 7일 종점이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에서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창리로 변경되었다.
2003년 2월 14일 : 충청북도 구간 노선 폐지 및 재지정[ 1] 2003년 2월 20일 : 충청남도 구간 노선 폐지 및 재지정[ 2] 2006년 12월 29일 : 청원군 강내면 월곡리 ~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 3.63km 구간 개통[ 3] 2007년 1월 5일 : 노선 인정 2008년 12월 26일 : 지방도 도로구역 지정[ 4] 2010년 7월 9일 : 교원대 ~ 태성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청원군 강내면 탑연리 ~ 태성리 4.06km 구간이 3.83km로 도로구역 변경[ 5] 2010년 9월 3일 :지방도 제508호선 과 통합[ 6] 2012년 7월 1일 : 충청남도 구간(연기군 동면 응암리) 0.8km 폐지[ 7] 2012년 9월 14일 : 세종특별자치시 편입 구간(구 청원군 부용면 갈산리 ~ 강내면 저산리) 3.7km 구간 폐지[ 8] 2013년 7월 26일 :지방도 제508호선 에서 분리[ 9] 2017년 7월 7일 : 종점을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에서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창리로 변경해 19.47km 구간 연장. 이에 따라 '내판 ~ 정봉선'에서 '강내 ~ 오창선'이 됨.[ 10] 2023년 1월 6일 : 청주시 흥덕구 신촌동 ~ 옥산면 오산리 490m 구간 확장 개통[ 11] 2024년 6월 21일 : 태성교차로 연결도로(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다락리 ~ 태성리) 1.9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 12]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산수삼거리 - 저산리 - 저산사거리 - 산단리 - 태성사거리 - 태성리 - 강내초등학교 - 다락리 -한국교원대학교 - 월탄리 - 탑연리 -강내면 행정복지센터 - 탑연삼거리 - 한국교원대부설미호중학교 - 월곡사거리 - 월곡교 - 월곡리 - 학천사거리강서동 정봉동 -청주역 사거리 - 과선교 남단 - 청주역과선교 - 청주역 분기점 - 옥산교 - 옥산교 북단옥산면 오산리 - 옥산농협 - 옥산파출소 - (가락육교 하부 서단) - 옥산중학교 - 옥산중학교 교차로 - 몽단이고개 - 몽단이고개 교차로 - 청주옥산일반산업단지 - 호죽리 - 호죽삼거리 - 호죽교청원구 오창읍 백현리 - 백현2교 - 가좌삼거리 - 용두2차 교차로 - 용두교 - 용두천교 - 화산육교 - 용두1차 교차로 - 성산삼거리 - 일산방직 - 성산리 - 양지리 - 장대리 - 오창사거리 - 창리사거리이 구간은 2012년 7월 1일에 해제되었으며, 해제된 구간은 세종특별자치시도 제13호선이 되었다.
청원군 부용면 부용 교차로 - 갈산 교차로 - 백천2교 - 응암리 - 산수리 - 산수삼거리↑ 충청북도공고 제2003-52호 , 2003년 2월 14일.↑ 충청남도공고 제2003-55호 , 2003년 2월 20일.↑ 충청북도공고 제2006-768호 보관됨 2018-10-05 -웨이백 머신 , 2006년 12월 29일.↑ 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08년 12월 26일.↑ 충청북도고시 제2010-170호 보관됨 2015-07-14 -웨이백 머신 , 2010년 7월 9일.↑ 충청북도공고 제2010-672호 보관됨 2017-07-31 -웨이백 머신 , 2010년 9월 3일.↑ 충청남도공고 제2012-873호 , 2012년 7월 1일.↑ 충청북도공고 제2012-830호 보관됨 2016-03-04 -웨이백 머신 , 2012년 9월 14일.↑ 충청북도공고 제2013-698호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13년 7월 26일.↑ 충청북도고시 제2017-188호 , 2017년 7월 7일.↑ 충청북도공고 제2023-10호 , 2023년 1월 6일.↑ 충청북도공고 제2024-1253호 , 2024년 6월 21일.
국가지원지방도 경기도(3XX) 강원특별자치도(4XX) 충청북도(5XX) 충청남도(6XX) 전북특별자치도(7XX) 전라남도(8XX) 경상북도(9XX) 경상남도(10XX) 제주특별자치도(11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