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지구의 구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구핵에서 넘어옴)
지구의 구조.

지구의 내부 구조,고체 지구 구조 또는 간단히지구 구조는 지구 대기와 수권을 제외한 고체 지구를 세분화하는 동심원 구형 층을 의미한다. 마치양파와 같은 구면 껍질들로 계층화되어 있다. 이러한 계층들은화학적,유동학적 성질로 정의되며 외부 규산염 고체 지각, 고점도 무력권 및 고체 맨틀, 액체 형태로 움직이면서 지구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외핵 및 단단한 내핵으로 구성된다.

지구의 내부 구조는 지형 및 수심 측정, 노두의 암석 관찰, 화산 또는 화산 활동에 의해 더 깊은 곳에서 표면으로 이동된 샘플, 지구를 통과하는 지진파 분석, 지구의 중력과 자기장, 그리고 지구의 깊은 내부의 특징적인 압력과 온도에서의 결정질 고체 실험에 의해 과학적으로 설명된다.

정의

[편집]
예비 기준 지구 모델(PREM)에 따른 지구 반경 밀도 분포.[1]
예비 기준 지구 모델(PREM)에 따른 지구의 중력.[1] 지구 내부에 대한 상수 및 선형 밀도를 사용한 근사치와의 비교.
지진파지진의 내부 연관도.
지구 내부 개략도 1. 대륙 지각 – 2. 해양 지각 – 3. 상부 맨틀 – 4. 하부 맨특 – 5. 외핵 – 6. 내핵 – A: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 B:구텐베르크 불연속면 – C:레만 불연속면.

지구의 구조는 유변학과 같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특성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 될 수 있다. 기계적으로 암석권, 암류권, 중간권 맨틀, 외핵 및 내핵으로 나눌 수 있다. 화학적으로 지구는 지각, 상부 맨틀, 하부 맨틀, 외핵 및 내핵로 나눌 수 있다. 지구의 지질 구성 층은 표면 아래 다음과 같은 깊이를 가진다.

깊이 (km)화학적 계층깊이 (km)기계적 계층깊이 (km)PREM[2]
0–80*암석권0–80*암석권
0–35지각
0–10… 상부 지각
10–20… 하부 지각
20–80… LID
35–670상부 맨틀
80–220암류권암류권
220–2,890중간권 맨틀
220–410
400–600... 변환 지역
600–670... 변환 지역
670–2,890하부 맨틀하부 맨틀
670–770… 최상위
770–2,740… 중저
2,740–2,890... D″계층
2,890–5,150외핵2,890–5,150외핵2,890–5,150외핵
5,150–6,370내핵5,150–6,370내핵5,150–6,370내핵
* 깊이는 지역적으로 5에서 200 km까지 변한다.

 깊이는 지역적으로 5에서 70 km까지 변한다.

지진에 의해 생성되어 굴절 및 반사된 지진파의 이동 시간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지구의 계층화를 추론했다. 핵은 전단파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지만 이동 속도(지진 속도)는 다른 계층에서 차이가 난다. 서로 다른 층 사이의 지진 속도의 변화는 프리즘을 통과할 때 빛이 휘는 것과 같이스넬의 법칙으로 인해 굴절을 일으킨다. 마찬가지로 반사는 지진 속도의 큰 증가로 인해 발생하며 거울에서 반사되는 빛과 유사하다.

질량

[편집]

지구의 질량은 5.9736×1024 kg이다.[3]

구조

[편집]
깊이
킬로미터마일
0–600–37암석권 (지역적으로는 5 ~ 200 km로 다양하다)
0–350–22… 지각 (지역적으로는 5 ~ 70 km로 다양하다)
35–6022–37… 맨틀의 최상부
35–2,89022–1,790맨틀
210-270130-168… 상부 중간권 (상부 맨틀)
660–2,890410–1,790… 하부 중간권 (하부 맨틀)
2,890–5,1501,790–3,160외핵
5,150–6,3603,160–3,954내핵

지각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지각 (지질학)입니다.

맨틀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맨틀입니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내핵외핵입니다.

지구핵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2900km부터 약 5100km의외핵과 약5100km부터 약 6400km의내핵으로 나뉜다. 그 두 핵을 나누는 면은레만면이라 부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M. Dziewonski, D.L. Anderson (1981).“Preliminary reference Earth model”(PDF).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25 (4): 297–356.Bibcode:1981PEPI...25..297D.doi:10.1016/0031-9201(81)90046-7.ISSN 0031-9201. 
  2. Adam M. Dziewonski & Don L. Anderson, “Preliminary Reference Earth Model,” Research article,Physics of the Earth & Planetary Interiors, 25, 4 (1981‑06): 297–356.
  3. "2016 Selected Astronomical Constants보관됨 2016-02-15 -웨이백 머신" in《The Astronomical Almanac Online》(PDF),USNOUKHO, 2016년 12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지구의 구조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지구 관련 주제
역사
  • 지리학
  • 지질학
생태학
이미징
  • 예술
  • 문화
  • 사회
기타 주제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구의_구조&oldid=39957281#핵"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