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거법 |
|---|
| 영미법 시리즈 |
| 증거의 종류 |
| 증언 ·물증 |
| 전자증거 ·무죄입증 증거 |
| 과학적 증거 ·물적 증거 |
| 목격자지목 ·DNA증거 |
| 거짓말 |
| 관련성 |
| 입증책임 ·증거기초 |
| 공공복리예외 ·오염 ·성격증거 |
| 습관증거 ·유사사실 |
| 진위확인 |
| 관리 연속성 ·주지의 사실 |
| 최량증거원칙 ·자기확증문서 ·오래된 문서 |
| 증인 |
| 증인적격 ·증언거부특권 |
| 직접신문 ·교호신문 ·재직접신문 |
| 탄핵증거 |
| 기록된 기억 ·전문가증언 |
| 사망자 규정 |
| 전문증거와 예외 |
| 영국법 ·미국법 |
| 자백 ·업무상 기록 |
| 흥분 상태의 언급 ·임종시의 진술 |
| 일방 당사자의 자인 ·오래된 문서 |
| 이익에 반하는 진술 ·현장성 감각 인상 ·부대상황 사실 |
| 권위학술서 ·비언어적 행동 |
| 미국법의 다른 영역 |
| 계약법 ·불법행위법 |
| 재산법 과미국의 유언신탁법 |
| 형법 ·증거법 |
증언(證言)은 소송법 상증인이법원의 심문에 대하여 자기가 경험한 바를 그대로 전술하는 일 또는 그 내용을 말한다. 증인은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증언의 의무가 있다. 선서한 증인이 허위의 진술을 하면위증죄의 문책을 받는다.
증언거부권(證言拒否權)은 증언할 의무를 이행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는 권리이다.
증인이 정당한 이유 없이 증언을 거부한 때에는 선서거부의 경우와 같은 과태료 등의 제재가 있으나(161조) 증언의무에 대하여는 예외적으로 증언거부권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즉 자기 또는 일정한 관계 있는 자 즉 호주·친족·세대주, 또는 이런 관계가 있던 자, 법정대리인·후견감독인이 형사소추(刑事訴追) 또는 공소제기를 당하거나 유죄판결을 받은 사실이 드러날 염려가 있는 경우(148조), 또는 변호사·의사 등 일정한 자가 업무상 위탁을 받는 관계로 알게 된 사실로서 타인의 비밀에 관한 것인 경우(149조)에는 그 이유를 알리고 증언을 거부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본인(비밀의 이익주의)의 승낙이 있거나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는 때에는 증언거부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149조 단서). 149조에 규정되지 않은 신문기자가 뉴스의 근원에 관하여 증언을 거부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있으나 외국(日本)의 판례는 증언거부권을 부정하였다. 증언을 거부하는 자는 그 거부 사유를 소명(疏明)하여야 한다. 그리고 증언거부권을 실효성 있게 하기 위하여 재판장은 신문을 하기 전에 증언에 대하여 증언을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해 주어야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160조).
| 이 글은 법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