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중앙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중앙선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앙선
중앙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청량리역
(서울특별시동대문구)
종점모량역
(경상북도경주시)
역 수47
노선 번호203
개통일1939년4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331.3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4(상봉 -망우)
2(청량리 -상봉,망우 -모량)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Hz
신호 방식ATS(청량리~용문)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청량리~용문) 구간 110 km/h
노선도

청량리차량사무소
0.0
청량리한국고속철도수인분당경춘선
1.4
회기경춘선
3.2
중랑
4.0
상봉한국고속철도경춘선
4.6
망우
6.3
양원
동교신호장
구리고가교: 902m
9.5
구리
왕숙천, ↑구리시/남양주시
11.2
도농
14.9
양정
17.2
덕소한국고속철도
덕소천교
월문터널: 405m
18.7
도심
도곡터널: 145m
동막터널: 210m
22.9
팔당
능내(2008년 폐쇄) (팔당터널: 4470m)
29.3
운길산
31.2
양수
용담터널: 1635m
부용터널: 1110m
신원터널: 300m
35.9
신원
묘곡터널: 360m
도곡터널: 640m
38.8
국수
복포터널: 1860m
42.9
아신
옥천교: 402.5m
옥천터널: 990m
오빈터널: 350m
45.7
오빈
오빈교: 837.6m
양평터널: 420m
47.9
양평한국고속철도
창대교: 772m
능산터널: 220m
탑곡천교: 248m
53.7
원덕
삼성1교: 772.68m
삼성터널(590m)
용문터널(770m)
58.5
용문
흑천교: 327m
송현터널
62.1
지평
지평터널/송현터널(1040m)
65.0
석불
망미터널
구둔터널
68.5
구둔/일신
지산터널
미봉터널
매월터널
72.3
매곡
석곡천
75.3
양동
삼산터널
79.2
삼산
86.4
서원주한국고속철도
88.3
동화
93.0
만종
94.7
97.9
원주한국고속철도
103.8
유교신호장
107.2
반곡
세교,금대터널
111.2
금교신호장
똬리굴(금대2터널)
117.0
치악
치악터널(가리파굴, 둔창굴)
122.3
창교신호장
125.4
신림
110.4
운학신호장
129.0
연교신호장
학전굴
133.5
구학
충북선(충주역 방면)
125.2
봉양
129.7
제천조차장
132.1
144.6
제천한국고속철도
태백선(영월역 방면)→
136.0
고명
141.2
삼곡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148.5
160.5
도담
하괴터널
154.5
단양한국고속철도
심곡,현천터널
171.4
단성
단성역피난선
대강터널
또아리굴(대강터널)
179.6
죽령신호장
187.4
희방사
175.9
풍기한국고속철도
199.7
안정신호장
186.9
북영주신호소
북영주삼각선
188.3
207.0
영주한국고속철도
212.0
문수
승문(2013년 폐쇄)
금광굴
평은(2013년 폐쇄)
북후터널/송원리굴↑영주시/안동시
옹천(2013년 폐쇄)
206.1
옹천신호장
장기,건지굴
229.1
마사
주하굴
233.5
이하
236.1
서지신호장
219.4
242.3
안동한국고속철도
경북선(예천역 방면)
249.7
무릉(폐역)
256.5
운산
232.2
262.0
단촌
하화터널업동터널
241.1
업동신호장
245.4
의성
251.7
비봉신호장
257.1
탑리
청로굴
265.7
우보
위천
273.7
화본
군위
279.1
봉림신호장
오림터널
283.9
갑현신호장
288.9
신녕
295.3
화산
303.4
북영천
305.9
영천
완산터널
311.1
송포신호장
315.2
임포
고지굴
321.1
아화
국도 제20호선(건포산업로)
327.0
건천
330.9
모량
335.5
율동신호장
대천
(경주)
343.1
서경주
동해선(포항역 방면)
형산강
348.2
경주 (~2021)
동해선(태화강역,부전역 방면)
경부고속선(울산역,부산역 방면)
한국고속철도KTX-이음

중앙선(中央線)은서울특별시동대문구청량리역경상북도경주시모량역을 잇는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경부선에 이은대한민국 제2종관선으로,일제강점기한반도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과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역사

[편집]

일제강점기 시절

[편집]

해방이후 단선철도 시절

[편집]

전철화 시대

[편집]

광역전철 시대

[편집]

고속철도 시대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K접속 노선역간
거리(km)
영업
거리(km)
소재지
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일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일부)
0.00.0서울특별시동대문구
회기Hoegi回基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일부)
1.41.4
중랑Jungnang中浪수도권 전철 경춘선 (일부)1.83.2중랑구
상봉Sangbong上鳳서울 지하철 7호선
망우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0.84.0
망우Mangu忘憂망우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0.64.6
양원Yangwon養源1.76.3
구리Guri九里별내선(수도권 전철 8호선)3.29.5경기도구리시
도농Donong陶農1.711.2남양주시
양정Yangjeong養正3.714.9
덕소Deokso德沼2.317.2
도심Dosim陶深1.518.7
팔당Paldang八堂4.222.9
운길산Ungilsan雲吉山6.429.3
양수Yangsu兩水1.931.2양평군
신원Sinwon新院4.735.9
국수Guksu菊秀2.938.8
아신Asin我新4.142.9
오빈Obin梧濱2.845.7
양평Yangpyeong楊平2.247.9
원덕Wondeok元德5.853.7
용문Yongmun龍門4.858.5
지평Jipyeong砥平3.662.1
석불Seokbul石佛2.965.0
일신Ilsin日新3.568.5
매곡Maegok梅谷3.872.3
양동Yangdong楊東3.075.3
삼산Samsan三山3.979.2
서원주Seowonju西原州경강선
7.286.4강원특별자치도원주시
원주Wonju原州8.394.7
운학Unhak雲鶴|15.7110.4충청북도제천시
봉양Bongyang鳳陽|충북선14.8125.2
제천조차장Jecheonjochajang堤川操車場|4.5129.7
제천Jecheon堤川태백선2.4132.1
고명Gomyeong高明|3.9136.0
삼곡Samgok三谷|5.2141.2단양군
도담Dodam嶋潭|7.3148.5
단양Danyang丹陽6.0154.5
풍기Punggi豊基21.4175.9경상북도영주시
(분기점)--|북영주삼각선-(186.9)
영주Yeongju榮州경북선
영동선
12.4188.3
옹천Ongcheon甕泉|17.8206.1안동시
안동Andong安東13.3219.4
의성Uiseong義城미운행25.2244.6의성군
군위Gunwi軍威22.9267.5대구광역시군위군
북영천신호장Bugyeongcheon北永川|북영천삼각선26.7294.2경상북도영천시
영천Yeongcheon永川대구선2.5296.7
아화Ahwa阿火|15.1311.8경주시
모량Moryang牟梁|동해선,건천연결선11.2323.0

운행 차량

[편집]

기관차

[편집]

전기 기관차

[편집]

과거 운행 차량

[편집]

수도권 전철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수도권 전철 중앙선입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팔당역에 진입중인 경의중앙선 통근전철. 현재 321x08편성으로 운행중이다.

경부선경인선,경원선1974년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되었다. 이후에는안산선,분당선,일산선,과천선 등으로 광역 전철의 운행이 확대되었지만, 중앙선만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수도권의 인구 팽창으로 인하여 중앙선이 지나는구리시,남양주시,양평군에서는 극심한 교통난을 겪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복선 전철화 및 통근형 전동차 운행 계획이 등장했다.2005년12월 16일,청량리역에서 덕소역에 이르는 구간에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용산-성북선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덕소역에서 팔당역에 이르는복선 전철화 사업은2007년12월 27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인2008년12월 29일에는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역인능내역을 폐역하고운길산역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2009년12월 23일에는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신원역이 개통되었다. 이듬해인2010년12월 21일에는상봉역오빈역이 개통되었다.2014년부터는경의선과 직결운행하여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며,2017년1월 21일에는용문역에서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개통 일자개통 구간신설된 역
2005년 12월 16일청량리역 ~덕소역중랑역.양원역,구리역,양정역
2007년 12월 27일덕소역 ~팔당역도심역
2008년 12월 29일팔당역 ~국수역운길산역
2009년 12월 23일국수역 ~용문역신원역
2010년 12월 21일없음상봉역,오빈역
2017년 1월 21일용문역 ~지평역없음

안내명

[편집]

회기 -덕소 구간 연장 이후 초기에는용산 - 덕소선이라 불렸는데, 이는 영업 거리표상의 선구(線區)가 각각용산 -청량리 간이경원선,청량리 -덕소 간이 중앙선[내용주 5] 이기 때문에 명칭을 확정짓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2007년 12월 27일 노선이팔당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이운행 계통을 대표하는 안내노선명을중앙선으로 확정하였다. 영업 거리표상으로는 여전히경원선과 중앙선이직결 운행하는 형태이지만, 일반 전철 승객들에게 안내되는 명칭으로는 '중앙선'만을 쓰기로 결정한 것이다.경의선과 직결운행 이후에는경의·중앙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연혁

[편집]

승차량 변동

[편집]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승차 인원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범주구별구간총량역당평균구간총량역당평균구간총량역당평균구간총량역당평균
경원선 구간43,5246,21845,2686,46746,2216,60350,8507,264
구간승차 인원
2004년2005년2006년
범주구별구간총량역당평균구간총량역당평균구간총량역당평균
전 구간27,8843,98327,9271,99553,2053,800
경원선 구간27,8843,98327,1303,87627,4543,922
중앙본선 구간미개통미개통18,185[내용주 7]2,59825,7513,679

노선 정보

[편집]
  • 노선 거리 : 323.0 km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 역 수 : 56
  • 보안 장치 : ATS

노선 구성

[편집]

아래는 2024년말 기준 중앙선의 노선 구성이다.

터널 목록

[편집]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년도
망우터널1,610m2004년
월문터널405m2007년
도곡터널145m2007년
동막터널210m2007년
팔당터널4,470m2008년
용담터널1,635m2008년
부용터널1,110m2008년
신원터널300m2008년
묘곡터널360m2008년
도곡터널640m2008년
복포터널1,860m2009년
옥천터널990m2009년
오빈터널350m2009년
양평터널420m2009년
능산터널220m2009년
삼성터널590m2009년
용문터널770m2009년
송현터널1,040m2009년
지평터널1,170m2012년
망미터널2,610m2012년
지제터널2,670m2012년
삼산터널1,029m2011년
판대1터널960m2011년
판대2터널380m2011년
삼태곡터널45m2011년
장지터널620m2011년
원대터널1,370m2011년
동화터널520m2021년
사제1터널1,845m2021년
사제2터널230m2021년
서곡터널190m2021년
백운터널14,239m2021년
박달터널11,230m2021년
주포1터널274m2021년
주포2터널525m2021년
고모터널1,549m2017년
대량1터널1,423m2009년
대량2터널1,139m2009년
가평터널210m2009년
예덕터널919m2009년
상시1터널70m2009년
상시2터널400m2009년
상시3터널263m2009년
하시터널108m2009년
안동터널420m2009년
하괴터널2,080m2018년
심곡터널4,989m2020년
죽령터널11,165m2020년
신법터널142m2020년
옹암터널711m2020년
오계1터널175m2020년
오계2터널405m2020년
영주터널113m2020년
적동1터널1,530m2020년
적동2터널2,542m2020년
문수터널1,254m2013년
학가산터널5,999m2013년
건지터널2,150m2020년
양지터널2,160m2020년
강남터널241m2020년
수하터널1,223m2020년
경암터널380m2020년
무릉터널1,307m2020년
광음터널689m2020년
원호터널738m2020년
구천터널107m2020년
망호터널400m2020년
광연터널1,045m2020년
세촌터널665m2020년
하화터널3,565m2023년
팔성1터널400m2024년
팔성2터널2,560m2024년
비봉터널1,690m2024년
하리터널54m2024년
청로터널3,053m2024년
순호터널1,151m2024년
수북터널2,103m2024년
매성터널2,890m2024년
화북터널9,137m2024년
효정터널1,571m2024년
금노터널2,530m2021년
양달터널1,595m2021년
못각터널1,693m2021년
원안터널325m2021년
자포터널325m2021년
현저터널3,540m2021년
대곡용명터널2,550m2021년

지선 노선

[편집]

중앙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20301망우선망우역광운대역4.9
20302용문기지선용문역용문기지1.6
20303제천조차장선제천역제천조차장역2.4
31203북영주삼각선삼각선 (중앙선)북영주역0.7중앙선 청량리기점 186.900km 신호소
2018년 철거
31204영천삼각선북영천역금호역4.1
31205금장삼각선서경주역나원역2.2중앙선(도담~영천) 및 동해선 운행선 변경에 따른 노선 기능 상실로

2021년 12월 28일 철거

31206경주삼각선분기점 (중앙선 (도담~경주))분기점 (동해선)1.3중앙선과 동해선을 연결하는 삼각선

망우선

[편집]
 망우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망우선망우역경원선광운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1이다.

용문기지선

[편집]

용문기지선용문역용문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2이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용문0.00.0중앙선경기도양평군
용문기지1.61.6

제천조차장선

[편집]

제천조차장선제천역제천조차장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열차 조성이나 입환, 화물영업등 제천조차장을 이용하려는 열차가 이용하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3이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제천0.00.0중앙선
태백선
충청북도제천시
제천조차장2.32.3중앙선

북영주삼각선

[편집]
 북영주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북영주삼각선은 북영주역과 중앙선 및 영동선을 잇는 총길이 0.7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3이다. 도담 - 영천 구간 개량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삼각선 (중앙선)0.00.0중앙선충청북도제천시
북영주0.70.7영동선
중앙선

영천삼각선

[편집]

영천삼각선북영천역대구선금호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4이다.

이 선로가 개통되기 전강릉역 방면에서동대구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영천역에서 방향을 바꾸어 운행해야만 했다. 그래서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 이 삼각선을 개설하였다.

본래봉정역과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의 삼각선이었으나 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 ~ 영천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인해 이설되면서 봉정역이 폐역되어 금호역에서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북영천0.00.0중앙선경상북도영천시
금호4.14.1대구선

금장삼각선

[편집]

금장삼각선서경주역동해선나원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5이다. 2021년 12월 28일에 도담 - 경주 구간 개량으로 철거되고 경주삼각선으로 대체되었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서경주0.00.0중앙선경상북도경주시
나원2.22.2동해선

경주삼각선

[편집]

건천읍에서 중앙선과 분기해 새 서경주역 방면동해선을 잇는 새삼각선이다.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
아화0.00.0중앙선경상북도경주시
서경주1.31.3동해선

주요 다리 및 터널

[편집]

개량 사업

[편집]

전철화 자체는 빨랐음에도 나쁜 선형과 단선으로 인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노선이었다. 핵심 노선이었음에도 경부선 연선에 비해 우선 순위가 늦어, 2010년대 들어서 본격적인 개량이 포함되었다.

중앙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4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전동차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청량리 - 망우163242910003156
망우 - 용문16324118708130
용문 -서원주171241160849
서원주 - 봉양16481100827
봉양 - 제천151822002959
제천 - 도담17187001833
도담 - 단양1718700722
단양 - 영주318700722
영주 - 안동338804727
안동 -영천1893504719
영천 - 모량169319041036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38]
통일(통근)1,406,5291,323,1601,160,5331,119,213397,555205,311195,209116,65500000000
무궁화4,765,8904,747,3413,950,7453,569,8213,963,1053,980,3662,571,7942,427,9822,619,2882,487,6302,389,6872,701,2452,952,3063,455,9073,616,1133,589,958
새마을861,701798,107639,750579,458511,514459,669271,753127,599160,927149,817164,826196,673186,696180,055190,709222,759
KTX미개통
건설43,21243,72553,62659,650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189,777128,806124,915123,329
합계7,267,1097,041,1395,929,5695,451,4714,872,1744,645,3463,038,7562,672,2362,780,2152,637,4472,554,5132,897,9183,139,0023,635,9623,806,8223,812,717

역별 이용객 순위

[편집]
  1. 청량리역 2,583,846명
  2. 제천역 1,540,844명
  3. 원주역 1,184,828명
  4. 경주역 1,018,357명
  5. 영천역 662,214명
  6. 안동역 618,469명
  7. 영주역 593,181명
  8. 양평역 537,220명

사진

[편집]
중앙선
  • 중앙선과 경춘선이 교차하는 곳
    중앙선과경춘선이 교차하는 곳
  • 양수철교
    양수철교
  • 동화역
  • 섬강을 건너는 구 중앙선 철교,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간현관광지
    섬강을 건너는 구 중앙선 철교,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간현관광지
  • 원주역 (1979년)
    원주역 (1979년)
  • 원주역
  • 원주역 급수탑(현재 등록문화재 138호로 지정)
    원주역 급수탑(현재등록문화재 138호로 지정)
  • 금대3터널 입구와 길아천철교
    금대3터널 입구와 길아천철교
  • 금교역-치악역 구간에 있는 루프선(1970~1980년대)
    금교역-치악역 구간에 있는루프선(1970~1980년대)
  • 금대2터널 입구(남측)
    금대2터널 입구(남측)
  • 금대1터널 입구(남측)
    금대1터널 입구(남측)
  • 금교역-치악역 구간에 있는 루프선
    금교역-치악역 구간에 있는루프선
  • 치악역(북쪽방향)
    치악역(북쪽방향)
  • 치악역 역사
    치악역 역사
  • 치악역(남쪽방향)
    치악역(남쪽방향)
  • 치악역을 지나는 열차
    치악역을 지나는 열차
  • 치악역 부근(북쪽방향)
    치악역 부근(북쪽방향)
  • 치악터널 입구(남쪽방향, 북측입구)
    치악터널 입구(남쪽방향, 북측입구)
  • 신림역(2008년)
    신림역(2008년)
  • 단양군 단양읍의 남한강을 건너는 신 철교(좌측, 백색)와 구 철교(우측, 녹색)
    단양군단양읍남한강을 건너는 신 철교(좌측, 백색)와 구 철교(우측, 녹색)
  • 충주댐 수몰지구 선로 이설 이전에 있던 철교(현천철교, 1985년 철거)
    충주댐 수몰지구 선로 이설 이전에 있던 철교(현천철교, 1985년 철거)
  • 상진철교(1)
    상진철교(1)
  • 상진철교(2)
    상진철교(2)
  • 충주댐 수몰지구 선로 이설 이전에 있던 단양역(1982년)
    충주댐 수몰지구 선로 이설 이전에 있던 단양역(1982년)
  • 신설 개업 당시의 단양역 전경(1985년)
    신설 개업 당시의 단양역 전경(1985년)
  • 단양역
    단양역
  • 구단양역(현 단성역)의 안전측선 주변(1985년)
    구단양역(현 단성역)의 안전측선 주변(1985년)
  • 단성역
    단성역
  • 대강터널(북쪽방향)(2015년)
    대강터널(북쪽방향)(2015년)
  • 제천역 (2020년)
    제천역 (2020년)
  • 의성역 (2024년)
    의성역 (2024년)
  •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 만천건널목
    의성군의성읍 비봉리 만천건널목
  • 철거된 구 중앙선 철로(구 망호역 방면)
    철거된 구 중앙선 철로(구망호역 방면)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개통 당시 ‘용산-덕소선’으로경부선·경원선용산역까지경원선을 사용하여 연장 운행한다.
  2. 수도권 전철은용문역까지만 운행하였다.
  3. 용문역-서원주역 복선화 구간 중 일부 구간을 미리 사용한다.
  4. 36114편성과 36115편성은수도권 전철 중앙선에서 운행되기도 했다.
  5. 현재청량리-회기역 구간은 보통 중앙선 선로를 이용하여 운행되며,경원선 선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중앙선에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기 전에는지상 청량리 -회기 사이의경원선 선로가 이용되었다.
  6. 개통 당시 명칭으로 용산-덕소 운행 계통을 사용했고 이를 줄여서 용산-덕소선이라 불렀다.
  7. 16일 평균값이다. 노선 전체에는 365일 값으로 전체 값을 나눠 반영하였다.

참조주

[편집]
  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558호, 1938년 11월 28일자
  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646호, 1939년 3월 17일자
  3. “難工事 楊平線竣工”. 조선일보. 1939.03.18.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4.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01호, 1939년 5월 25일자
  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901호, 1940년 1월 25일자
  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916호, 1940년 2월 12일자
  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305호, 1941년 6월 2일자
  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536호, 1942년 3월 13일자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4575호, 1942년 5월 2일자
  10. 철도선과역의 일부명칭개정, 《경향신문》, 1948.01.22.
  11. 안기영 기자 (1969년 9월 12일).“산업동맥 중앙·태백·영동선”. 《중앙일보》. 
  12. “제937호-산업선(중앙선)전철 개통(1973년)”. 《대한뉴스》. 1973년 6월 23일. 
  13. 백지연 앵커 (1988년 12월 23일).“중앙선 철도 영주~단양간 전철 개통”. 《MBC뉴스데스크》. 
  14. 철도청, 2004년 철도통계연보
  15.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1997년 5월 22일.
  16.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2004년 11월 29일.
  17. 이명우 기자 (2006년 10월 31일).“[원주]원주역 새마을호 없앤다”. 《강원일보》. 
  18. 권진한 기자 (2010년 12월 14일).“중앙선 새마을호 오늘부터 재운행”. 《경북일보》. 
  19. “제천~도담 복선전철 개통”.정책브리핑. 2011년 4월 19일. 2019년 2월 7일에 확인함. 
  20. 김대중 기자 (2011년 12월 23일).“원주 간현역 71년 역사 품고 추억속으로”. 《강원일보》. 
  2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2. 김성권 기자 (2019년 10월 6일).“중앙선 영천↔경주구간 열차운행중지...태풍미탁 영향”. 《헤럴드경제》. 
  23. 관리자 (2019년 10월 14일).“태풍 피해복구 공사완료에 다른 열차(무궁화호) 운행조정 알림”. 《한국철도공사》. 2019년 10월 17일에 확인함. 
  2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86호, 2019년 10월 25일.
  25. 곽도흔 기자 (2020년 6월 22일).“중앙선 원주∼제천 복선전철 12월 개통…청량리~제천 56분 만에 간다”. 《이투데이》. 
  26.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798호, 2020년 11월 12일.
  27. 유의주 기자 (2020년 12월 14일).“중앙선 단양∼안동 운행선 변경…철도승객 버스로 연계 수송”. 《연합뉴스》. 
  28. 김원준 기자 (2021년 1월 5일).“최고시속 260㎞ 준고속열차… 청량리∼제천 68분만에 간다”. 《파이낸셜뉴스》. 
  29. 이한영 기자 (2021년 4월 27일).“동해남부선·중앙선 전차선로 전원공급 시작”. 《충청일보》. 
  30.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234호, 2021년 11월 17일.
  31. 강선일 기자 (2021년 11월 26일).“중앙선 안동~영천 구간 '단선→복선전철'로 바꿨다”. 《매일신문》. 
  32. 배소영 기자 (2022년 11월 1일).“‘청량리~안동’ITX새마을 열차 운행 재개”. 《세계일보》. 
  33. 오종명 기자 (2022년 11월 28일).“중앙선 안동~영천 복선화 공사 내달 착공”. 《경북신문》. 
  34. 남상인 선임기자 (2023년 8월 25일).“코레일, 친환경 신형열차 ‘ITX-마음’ 공개”. 《글로벌이코노》. 
  35. 임시열차 배분신청(중앙선 복합열차 운행대비 임시열차) 출처: 정보공개포털
  36.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4-509호(사업용 철도 노선 및 철도거리표 변경 및 정정 고시)”. 국토교통부. 2024년 9월 27일. 2024년 10월 12일에 확인함. 
  37. 백소용 기자 (2024년 12월 20일).“서울∼부산 전구간, 중앙선 복선화 완료”. 《세계일보》. 
  38.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중앙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고속철도노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노선
경강선(원주~강릉)
중앙선
중부내륙선
일반철도노선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경원선
충북선
경전선
장항선
전라선
경춘선
동해선
영동선
경북선
태백선
인천국제공항선
경강선
광역철도
예정
통합
폐지
미완성
시험철도
1:전용철도 노선, 2: 운영 회사 미확정, : 폐선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울 지하철
직결광역철도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서울 경전철
광역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인천 도시철도
인천광역시경전철
경기도경전철
기울인 글씨: 공사 중(미개통)
1:경강선(원주-강릉)으로 편입.
*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폐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앙선&oldid=4079692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