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구 | |||
|---|---|---|---|
| |||
중구의 위치 | |||
| 행정 | |||
| 국가 | 대한민국 | ||
| 법정동 | 18동 | ||
| 청사 소재지 | 울산광역시 중구 단장골길 1 | ||
| 단체장 | 김영길(국민의힘) | ||
| 국회의원 | 박성민(국민의힘,중구) | ||
| 지리 | |||
| 면적 | 37.0km2 | ||
| 인문 | |||
| 인구 | 207,790명 (2023년 1월 31일년) | ||
| 세대 | 92,948세대 (2023년 1월 31일년) | ||
| 상징 | |||
| 나무 | 대나무 | ||
| 꽃 | 진달래 | ||
| 새 | 학 | ||
| 지역 부호 | |||
| 웹사이트 | 울산광역시 중구 | ||
중구(中區)는울산광역시의 구이다.
신라시대에는 굴아화현(屈阿火縣)의 일부였다. 굴아화현은 757년에 하곡현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우풍현, 동진현과 통폐합하여 흥례부가 되었다. 흥례부는 995년에 공화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018년에 다시 울주로 승격하고, 1413년에 울산군이 되었다. 울산에 면이 설치되면서 중구 지역(1997년에 북구에 편입된 진장·효문·양정동 지역 포함)은부내면(府內面)이 되었다. 숙종 34년(1708년)에 부내면을상부내면(上府內面)과하부내면(下府內面)으로 분리하고, 정조 5년(1781년)에 상부내면을부내면(府內面)으로, 하부내면을내상면(內廂面)으로 개칭하였다. 고종 1년(1864년)에 내상면 일부를부남면(府南面)으로 분리하고, 고종 31년(1894년)에 부내면을상부면(上府面)으로, 부남면을하부면(下府面)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개편 전 | 개편 후 |
|---|---|
| 상부면 학남동(鶴南洞), 학서동(鶴西洞), 노하동 일부, 하부면 서부동 일부 | 부내면 학성동(鶴城洞) |
| 상부면 노상동(路上洞), 노하동 일부 | 부내면 복산동(福山洞) |
| 상부면 노하동(路下洞) | 부내면 학산동(鶴山洞)) |
| 상부면 북정동(北亭洞), 노동동 일부, 노상동 일부, 상서동 일부 | 부내면 북정동(北亭洞) |
| 상부면 노서동(路西洞), 노북동(路北洞), 노동동(路東洞), 노하동 일부 | 부내면 옥교동(玉橋洞) |
| 상부면 성남동(城南洞), 외부동(外府洞), 내부동(內府洞), 강정동 일부, 우암동 일부 | 부내면 성남동(城南洞) |
| 상부면 교동(校洞), 상서동(上西洞), 하서동(下西洞) | 부내면 교동(校洞) |
| 상부면 우암동(牛岩洞), 강정동(江亭洞), 창성동(昌盛洞), 상안동 일부 | 부내면 우정동(牛亭洞) |
| 상부면 성동(聖洞), 상안동(上安洞), 길촌동 일부, 내상면 외약동 일부, 농서면 오정동 일부 | 부내면 성안리(聖安里) |
| 상부면 유곡동(有谷洞), 평동(平洞), 길촌동(吉村洞), 범서면 운곡동 일부 | 부내면 유곡리(裕谷里) |
| 상부면 태화동(太和洞), 화진동(和津洞), 반곡동(盤谷洞) 범서면 운곡동 일부 | 부내면 태화리(太和里) |
| 하부면 구교동(舊校洞), 서부동(西部洞), 동부동(東部洞), 내동동(內東洞) | 하상면 반구리(伴鷗里) |
| 하부면 명촌동(明村洞), 대도동(大島洞), 독도동(獨島洞) | 하상면 명촌리(明村里) |
| 하부면 양정동(楊亭洞), 양동(楊洞), 치진동(峙津洞) | 하상면 양정리(楊亭里) |
| 하부면 효문동(孝門洞), 산성동(山城洞), 율동(栗洞) | 하상면 효문리(孝門里) |
| 하부면 연암동(蓮岩洞), 상방동(上坊洞) | 하상면 연암리(蓮巖里) |
| 내상면 내약동(內藥洞), 외약동(外藥洞), 하부면 평산동(平山洞) | 하상면 약사리(藥泗里) |
| 내상면 동동(東洞), 산주동(山酒洞), 어북동(漁北洞), 남동 일부, 북동 일부 | 하상면 동리(東里) |
| 내상면 서동(西洞), 남동 일부, 북동 일부, 장현동 일부 | 하상면 서리(西里) |
| 내상면 남외동(南外洞), 서동 일부 | 하상면 남외리(南外里) |
| 내상면 진장동(陳場洞), 하부면 평촌동(平村洞) | 하상면 진장리(珍庄里) |
| 내상면 장현동(蔣峴洞), 농서면 시례동 일부 | 하상면 장현리(長峴里) |
| 개편 전 | 개편 후 |
|---|---|
| 울산시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 | 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동, 복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병영동, 약사동, 진장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송정동 |
| 울산시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 | 울산시 중구 방어동, 일산동, 전하1동, 전하2동, 남목1동, 남목2동, 주전동(방어진출장소) |
| 개편 전 | 개편 후 |
|---|---|
| 울산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염포동,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 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 반구1동, 반구2동, 복산1동, 복산2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
| 울산광역시 동구 염포동 | |
| 울산광역시 북구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
| 개편 전 | 개편 후 | ||
|---|---|---|---|
| 행정동 | 법정동 | 행정동 | 법정동 |
| 울산광역시 중구 북정동 | 북정동, 성안동 | 울산광역시 중구 성안동 | 교동, 성안동 |
| 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 학산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 울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 학산동, 북정동, 옥교동, 성남동, 교동 |
울산광역시 중구의회의 의원 정수는 11명(지역구9+비례대표2)이다.
현재 중구의 국회의원은 초선의원인박성민이다.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에서는 경상남도의원 3명을 선출하였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에는 울산광역시의원 3명을 선출하다가제5회 지방 선거부터 4명을 선출하고 있다.
울산 중구의 행정 구역은 12개의 행정동, 18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 중구의 면적은 37km2이며, 인구는2014년12월 31일을 기준으로 92,545세대, 241,407명(외국인 포함)이다.[2]

|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 학성동 | 鶴城洞 | 0.93 | 5,214 | 11,658 |
| 반구1동 | 伴鷗1洞 | 1.12 | 6,915 | 16,750 |
| 반구2동 | 伴鷗2洞 | 0.50 | 4,179 | 10,218 |
| 복산동 | 福山洞 | 1.37 | 7,755 | 19,731 |
| 중앙동 | 中央洞 | 1.83 | 8,242 | 17,395 |
| 우정동 | 牛亭洞 | 1.50 | 9,189 | 23,349 |
| 태화동 | 太和洞 | 5.53 | 11,925 | 34,878 |
| 다운동 | 茶雲洞 | 8.96 | 11,374 | 29,524 |
| 병영1동 | 兵營1洞 | 1.45 | 9,740 | 26,872 |
| 병영2동 | 兵營2洞 | 3.99 | 8,037 | 21,688 |
| 약사동 | 藥泗洞 | 2.80 | 2,524 | 7,895 |
| 성안동 | 聖安洞 | 7.14 | 7,451 | 21,449 |
| 중구 | 中區 | 37.12 | 92,545 | 241,407 |
| 연도 | 총인구 | 그래프 | 비고 |
|---|---|---|---|
| 1985년 | 206,462명 | ![]() ![]() ![]() ![]() | |
| 1990년 | 257,490명 | ![]() ![]() ![]() ![]() | |
| 1995년 | 285,414명 | ![]() ![]() ![]() ![]() ![]() ![]() | |
| 2000년 | 227,244명 | ![]() ![]() ![]() ![]() ![]() ![]() | 울산 북구 분리 |
| 2005년 | 225,810명 | ![]() ![]() ![]() ![]() ![]() | |
| 2010년 | 221,373명 | ![]() ![]() ![]() ![]() ![]() | |
| 2015년 | 236,988명 | ![]() ![]() ![]() ![]() | |
| 2020년 | 217,595명 | ![]() ![]() ![]() ![]() ![]() |
|
|
7 | 북부순환도로 | 14 | 다운로 | 31 | 북부순환도로,명륜로 | 60 | 강북로 | ||
|---|---|---|---|---|---|---|---|---|---|
61 | 번영로 | 70 | 염포로 | 71 | 화합로 | ||||
| 출장소 | 행정동 | 법정동 |
|---|---|---|
| 중앙 출장소 | 학성동(鶴城洞) | 학성동(鶴城洞), 반구동(伴鷗洞) |
| 복산동(福山洞) | 복산동(福山洞) | |
| 북정동(北亭洞) | 북정동(北亭洞), 성안동(聖安洞) | |
| 옥교동(玉橋洞) | 옥교동(玉橋洞), 학산동(鶴山洞) | |
| 성남동(城南洞) | 성남동(城南洞), 교동(校洞) | |
| 우정동(牛亭洞) | 우정동(牛亭洞) | |
| 태화동(太和洞) | 태화동(太和洞), 유곡동(裕谷洞), 다운동(茶雲洞) | |
| 병영 출장소 | 병영동(兵營洞) | 남외동(南外洞), 동동(東洞), 서동(西洞), 장현동(長峴洞) |
| 약사동(藥泗洞) | 약사동(藥泗洞) | |
| 진장동(珍庄洞) | 진장동(珍庄洞), 명촌동(明村洞) | |
| 효문동(孝門洞) | 효문동(孝門洞), 연암동(蓮巖洞) | |
| 송정동(松亭洞) | 송정동(松亭洞), 화봉동(華峰洞) | |
| 염포동(鹽浦洞) | 염포동(鹽浦洞), 양정동(楊亭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