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존 핸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존 핸콕
John Hancock
출생1737년 1월 23일
사망1793년 10월 8일
성별남성
국적미국
경력제2차 대륙회의 의장, 연합회의 의장, 매사추세츠 주지사
직업정치가
존 핸콕의 초상화,1770년
존 핸콕의 서명

존 핸콕(John Hancock,1737년1월 23일 -1793년10월 8일)은미국 독립 전쟁의 지도자이자 정치가이다. 제2차 대륙회의 및 연합회의의 의장을 맡았고 초대매사추세츠 주지사를 역임했다.미국 독립선언서에 가장 먼저 서명한 사람이며[1] 서명들 중에서 존 핸콕의 서명이 가장 컸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존 핸콕'(John Hancock)이라는 말이 '서명'(Signature)라는 뜻의 관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2]

어린 시절

[편집]

존 핸콕은매사추세츠의 브레인트리(현재의 퀸시)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그가 어릴 때 사망했고,뉴잉글랜드의 큰 상인이었던 숙부 토머스 핸콕이 그를 길렀다.보스턴 라틴학교를 졸업하고하버드대학교에 진학한[1] 그는,1754년 그의 나이 17세에경영학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숙부 아래에서 일했다. 핸콕은 1760년에서 1764년까지 영국에 가서, 숙부의 조선업 고객 및 거래처와 인맥을 텄다. 그가 영국으로부터 귀국한 직후 숙부가 사망했고 핸콕은 숙부의 유산과 사업을 물려받았다.[3] 그 덕분에 그는 당시뉴잉글랜드의 부유층 중 하나가 되었다.

도로시 퀸시의 초상화 (1772년 존 싱글레턴 작품)

존 핸콕은도로시 퀸시와 결혼했다. (도로시 퀸시의 숙모는올리버 웬들 홈스의 증조모다.) 존 핸콕과 도로시 사이에는 두 명의 아이가 있었으나 모두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독립전쟁 이전

[편집]

보스턴의 도시 행정 위원과매사추세츠 의회 의원이 된 그는식민지의 교역을 제한하는인지세법(Stamp Act)이 자신의 사업에도 위협이 됨을 알고 법시행에 항의하게 되었다.

인지세법은 철폐되었지만 그 밖에도타운젠드법(Townshend Acts) 등 몇 개의 법이 일상 용품에까지의 납세를 의무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해운사업이 어려워진 그는유리,종이,홍차 등을 밀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1768년 영국에서 돌아 오던 그의 배리버티가 소득법 위반 혐의로 영국 세관에 붙잡히고 말았고, 짐을 실으려 하던 보스턴 시민이 격앙하여 그것이 폭동으로 확대되었다.

핸콕의 통상 상업 무역과 밀수 수입이 영국 당국에 대한 지역의 반항을 자금적으로 지탱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보스턴 사람들은 "새뮤얼 애덤스가 신문에 글을 기고하고, 존 핸콕이 그 우표를 지불한다."라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보스턴 차 사건

[편집]
보스턴 차 사건을 그린 전형적인 석판화 (1846년 작)
 이 부분의 본문은보스턴 차 사건입니다.

보스턴 차 사건은 영국동인도 회사에서 직접 미국으로 차를 판매한 정책으로 차값이 떨어지자 막대한 손해를 본 밀수업자들과 일부 지식인들이 반발해서 인디언으로 위장해1773년12월 16일 보스턴 항에 정박한 영국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에 잠입한후 차(茶)가 들어있는 상자를 바다에 버린 사건이다. 이 사건은 미국 독립 전쟁의 불씨를 일으키는 데 일조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자세한 배경은 밀수업자들과 영국을 싫어하는 과격 지식인들의 선동으로 일어난 헤프닝 일 뿐이다.(예시로 우물에 독을 탔다)영국에 저항하던 대표적인 인물인 존 핸콕은 영국동인도 회사의 중국산 차에 대한 불매 운동을 주도하였으나 사건 당일날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다.

그 외

[편집]

1772년,아프리카계 미국인필리스 휘틀리여러 주제에 관한 시, 종교 그리고 도덕(Poems on Various Subjects, Religious and Moral)을 출판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흑인 여성이 그러한 작품을 낼 리 없다고 생각했고, 이러한 생각에 반기를 들며 그는 증명서에 최초로 서명하기도 했다. 보스턴의 출판사에서는 거절 당한 이 책은,1773년런던의 알토 게이트를 통해 발간되었다. 공식적으로 출판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의 책으로 인정받고 있다.

독립선언서의 서명들 중에서 존 핸콕의 서명이 가장 컸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존 핸콕'(John Hancock)이라는 말이 '서명'(Signature)라는 뜻의 관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2] 예컨대, "The president has to puthis John Hancock. (그 대통령은 서명해야 한다.)" 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사망

[편집]

말년에 건강이 악화된 상황에서매사추세츠 주지사 직을 수행하던중에 57세로 순직하였다.[3] 주지사 권한대행 사무엘 애덤스는 존 핸콕의 장례식 날을매사추세츠 주의 공휴일로 지정하여 장례를 진행하였다.[4]

같이 보기

[편집]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 (선거인단)결과당락
1780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대연방주의 91.56%11,207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1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대연방주의 93.14%7,996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2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대연방주의 75.86%5,855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3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대연방주의 73.49%6,693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4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1대연방주의 67.62%5,160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6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2대연방주의 15.45%1,272표2위낙선
1787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75.09%18,475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8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80.53%17,856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89년 선거미국의 부통령1대연방주의 5.80%4표5위낙선
1789년 선거미국의 대통령1대연방주의 2.90%0표 (4명)6위낙선
1789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80.57%17,309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90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86.53%14,360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91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94.00%16,055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92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86.59%14,628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1793년 선거매사추세츠 주지사3대연방주의 89.94%16,428표1위매사추세츠 주지사 당선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존 핸콕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네이버 지식백과] 핸콕 [John Hancock] (두산백과)
  2. 민중서림편집국 <엣센스 영한사전> 민중서림 1971년 p1350
  3. [다음백과] 존 핸콕 (John Hancock)
  4. Allan, Herbert S. (1948). John Hancock: Patriot in Purple. New York: Macmillan. p358
전임
페이턴 랜돌프
대륙회의 의장
1775년5월 24일 ~1777년10월 31일
후임
헨리 로렌스
전임
토머스 게이지
식민지 지사
1780년 ~1785년
후임
토머스 쿠싱
전임
리처드 헨리 리
연합회의 의장
1785년11월 23일 ~1786년5월 29일
후임
나다니엘 고램
전임
제임스 보드인
제3대매사추세츠 주지사
1787년5월 30일 ~1793년10월 8일
후임
(권한대행)새뮤얼 애덤스
국제
국가
인물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존_핸콕&oldid=4027588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