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조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조준 (동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은 이름을 가진(魏)나라의 황족에 대해서는조준 (진류공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준(趙浚)
이름
별호자(字): 명중(明仲)
호(號): 우재(吁齋), 송당(松堂)
작위: 충의군(忠義君),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시호: 문충(文忠)
신상정보
출생일1346년
거주지조선한성부
사망일1405년11월 (60세)
국적고려→조선
학력1374년 고려 함과에 급제
부모조덕유(부)
형제자매조후(형)
조인(형)
조정(형)
조순(형)
조견(아우)
배우자이씨 부인
자녀조대림(아들)
친인척조연(할아버지)
오씨 부인(할머니)
이숭(장인)
조인규(증조부)
조비(고모할머니)
조화(조카)
경정공주(자부)
태종 이방원(사돈)

조준(趙浚,1346년1405년11월)은고려 말기와조선 초기의 문신,시인, 무신,정치인, 혁명가이다. 본관은평양(平壤), 자는 명중(明仲), 호는 우재(吁齋) 또는 송당(松堂)이다. 작위는 충의군(忠義君),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이다.

문하시중을 지낸조인규(趙仁規)의 증손이고 조연(趙璉)의 손자이며 판도판서를 지낸 조덕유(趙德裕)의 5남이고태종 둘째딸경정공주의 부군인조대림의 아버지이다.

생애

[편집]

1371년(공민왕 21년)음서로 문관 관직에 천거되었다가1374년(공민왕 24년)에 과거(문과)에 급제,공민왕 시대와우왕 시대에 문관(文官)과 무관(武官) 관직을 두루 지내다가1384년 관직에서 잠시 물러났다.

1388년위화도 회군이성계의 신임을 받고 관직에 전격 복귀하여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겸 대사헌 등을 거쳐충의군(忠義君)에 봉군되었다.우왕이 폐위되고창왕이 즉위한 직후에 밀직사사(密直司事) 겸 대사헌의 지위로써문하시중조민수를 탄핵하여 축출시키고 이어1389년창왕 폐위 및공양왕 보위 추대에도 개입하였다. 3년 후1392년(공양왕 4년)에정도전 등과 함께 의기상투(意氣相投)하여고려 공양왕을 폐위하고조선 태조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다. 그는 특히 경제와 이재에 밝아 전제 개혁안을 통해 조선의 경제적 기초를 개편하였다. 정치적으로 동반자였던정도전과는 요동정벌 문제로 결별한 뒤, 제 1차 왕자의 난에 협조하여 그 일파를 제거하는데 앞장섰다. 조선 시대 초기를 통하여 그는 도통사·문하우시중·좌정승 등을 거쳐1403년음력 7월 16일영의정부사가 되었다.조선 태종 이방원은 조준을 가리켜 항상 조정승이라 칭하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으며, 그의 아들조대림경정공주와 혼인하여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지는 등 왕실의 총애를 받으며 권세를 누렸다.[1] 시문에 능하였고1397년(태조 6년)하륜 등과 함께 《경제육전》을 편찬하였다.

기타

[편집]

1388년 8월우왕에게 관제[2]개혁과 관련하여백관을 바로 잡거나,나라만 알고 자기을 잊거나,위엄타국에 가해질 만한 사람이 아니면 양부(兩府)[3]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지 말도록 요구한다.[4]

가족 관계

[편집]
  • 증조부 : 조인규(趙仁規)
    • 할아버지 : 조연(趙璉, 조련)
      • 아버지 : 조덕유(趙德裕)
        • 형님 : 조후(趙煦)
          • 조카 : 조화(趙禾)
        • 형님 : 조린(趙璘)
        • 형님 : 조정(趙靖)
        • 형님 : 조순(趙恂)
        • 본인 :조준(趙浚)
        • 동생 :조견(趙狷)

조준이 등장한 작품

[편집]

영화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조선왕조실록》 태종 9권, 5년(1405 을유 / 명 영락(永樂) 3년) 6월 27일(신묘) 1번째기사
  2. “관제(官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0년 3월 6일에 확인함. 
  3. “양부(兩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0년 3월 6일에 확인함. 
  4. 고려사절요,33권, 우왕 14년 8월 / 조준이 관제개혁 등의 시무를 아뢰다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
이서
제4대영의정부사
1403년음력 7월 16일 ~1405년음력 1월 15일
후임
성석린
전임
초대
제1대조선문하우시중
1392년7월 28일 -1392년12월 13일
후임
김사형
전임
초대
제1대조선문하좌정승
1394년8월 -1399년12월 1일
후임
심덕부
1등
2등
3등
추탈자
1등
2등
추탈자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고종조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고종조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문종조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현종조
철종조
고종조
문묘 동시 배향 6현
종묘배향 94현
국제
국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준&oldid=4016373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