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 대전(한국 한자:第一次世界大戰,영어:World War I,WWI)은1914년7월 28일부터1918년11월 11일까지 일어난유럽을 중심으로 한세계 대전이다. 1914년오스트리아-헝가리가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를 하며 시작되었고, 1918년 독일의 항복으로 끝이 났다.제2차 세계 대전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순히세계 대전(한국 한자:世界大戰,영어:World War) 또는대전쟁(한국 한자:大戰爭,영어:Great War)이라고 불렸다.[6][7][8] 미국에서는 처음에유럽 전쟁(영어:European War)이라고 불렸다.[9] 제1차 세계 대전으로병사 900만명 이상이사망했다. 기술 및 산업의 고도화와 전술적 교착 상태로 인해 사상자 비율이 악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은사망자가 많았던 전쟁 중 하나이며, 참전국의 수많은 혁명 등을 포함하여 주요한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다.[10]
이 전쟁은 전 세계의 경제를 두 편으로 나누는 거대한강대국 간 동맹끼리 일어난 충돌이다.[11] 한쪽 편은대영제국,프랑스,러시아 제국의삼국 협상을 기반으로 한협상국과미국을 포함한연합국, 다른 한편은독일 제국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있는동맹국이다.이탈리아 왕국은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함께삼국 동맹에 가입되어 있었지만 동맹국에 참여하지 않았고 나중에는 협상국으로 참가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침공했다.[12] 이러한 동맹은 재조직되었고 더 많은 국가가 전쟁에 참여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 확장되었다. 이탈리아 왕국,일본, 미국이 연합국에 가입했으며오스만 제국,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에 가담했다. 궁극적으로 유럽인 6천만 명을 포함한군인 7천만 명이 전쟁에 가담하면서 역사적으로 가장 큰 전쟁 중 하나에 동원되었다.[13][14]
러시아 정부가1917년 3월 붕괴된 이후 동부 전선이 해소되었으며 이후10월 혁명으로 인해 동맹국이 러시아 영토를 획득했다.1918년 11월 4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휴전에 합의했다. 1918년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의 춘계 공세 이후, 연합군은 일련의 공세를 방어하고 이후 진격하여 독일군 참호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독일 11월 혁명 이후, 독일이 1918년 11월 11일 휴전에 합의하면서 연합국이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등 4개 주요 제국이 해체되게 되었다. 앞의 2개 제국은 승계국가가 탄생했지만 많은 영토를 잃었으며 후자의 2개 제국은 완전히 해체하게 되었다. 유럽 및서남아시아 지도는 새로운 독립 국가가 생기면서 새롭게 그려지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끔찍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국제 연맹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목표는 유럽의 민족주의 부활과 독일에서파시즘의 장악으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며 실패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다.
1914년 10월캐나다 잡지맥클린스에서는 "어떤 전쟁은 스스로 이름을 붙인다. 그것이 대전(Great War)이다"라고 말했다.[19] 1914년 말 뉴욕에서 발행한 전쟁의 기원 및 초기 역사에 관한 책의 제목은 "세계 대전"(World War)라는 이름으로 붙여졌다.[20] 전간기 기간 동안, 영미권에서는 이 전쟁을 세계 대전(World war) 또는 대전(Great war)라고 불렀다.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용어는 1914년 9월 독일 철학자에른스트 헤켈이 "'유럽 전쟁'의 두려움에 관한 과정이나 성격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중략) 단어의 전체적 의미에서 이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이라고 불릴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시작되었다.[21]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말은 장교이자저널리스트인찰스 아 코르트 레핑턴(Charles à Court Repington)이 지은 1920년대 역사책 제목이기도 했다.[22]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으며 캐나다와 영국에서는 ‘First World War’이라는 용어를, 미국에서는 ‘World War I’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19세기 유럽 강대국들은 유럽 전역에서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그 결과1900년에는 복잡한 정치, 군사적 동맹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었다.[12] 이 동맹은1815년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신성 동맹으로부터 시작했다.1873년 10월에는 독일 총리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사이삼제 동맹(Dreikaiserbund)을 체결했다. 이 동맹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러시아 간에 발칸반도에 대한 정책에 동의할 수 없었기 때문에1879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삼제 동맹에 탈퇴하여독오 동맹을 따로 만들었다. 한편,오스만 제국의 발칸반도에 대한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발칸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은 반대로 증가하게 되었다.[12] 이 독오 동맹은 1882년 이탈리아 왕국이 가입하면서삼국 동맹으로 변화했다.[23]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군사 동맹 지도.협상국은 초록색으로 나타냈으며,동맹국은 갈색으로 나타냈다.
비스마르크는 프랑스와 러시아 두 나라간의 양면전선 전쟁을 피하기 위해 독일과 러시아간의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빌헬름 2세가독일의 황제 지위에 오르면서 비스마르크는 퇴위를 강요당했고 비스마르크가 세운 동맹 시스템은 점차 해체되었다. 예를 들어, 빌헬름 2세는1890년 러시아와의재보장 조약 갱신을 거부했다. 4년 후인 1894년, 3제 동맹을 막기 위하여러불 동맹이 공식적으로 체결되었다.1904년, 영국은 프랑스와 함께영불 협상(Entente Cordiale)을 맺었으며1907년에는 영국이영러 협상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공식적으로 영국-프랑스-러시아 동맹으로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프랑스나 러시아가 분쟁을 겪을 경우 영국이 참가하게 된다는 항목이 있었으며, 이러한 양자 연동 협정을삼국 협상으로 알려졌다.[12]
1871년보불전쟁에서 독일이 승리하여독일이 통일한 이후, 산업 및 경제력이 급상승하게 되었다. 1890년대 중반부터 빌헬름 2세는 중요한 경제 자원을알프레트 폰 티르피츠가 지휘하는독일 제국해군에 투자하여영국 해군과 해군 군비 경쟁을 하게 되었다.[24] 그 결과, 각 국가들은주력함을 더욱 많이 건조하기 위해 노력했다. 1906년HMS 드레드노트의 건조 이후 대영제국은 독일 제국과의 경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선점하게 되었다.[24] 영국과 독일 사이의 군비 경쟁은 모든 유럽 주요국이 유럽 전역의 분쟁에 필요한 장비와 무기를 생산하는 데 산업 기반을 기울이면서 유럽 전역으로 경쟁이 확장되었다.[25] 1908년부터 1913년까지 유럽 국가의 군비 지출은 50% 상승했다.[26]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과거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1878년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한 이후 1908년부터 1909년까지보스니아 위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이 점령으로세르비아 왕국 및 그 국가의 후원자인범슬라브주의동방 정교회의러시아 제국을 화나게 했다.[27]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행보는 이미 "유럽의 화약고"로 널리 알려진 발칸반도의 균형을 붕괴시켜 평화 협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7] 1912년부터 1913년까지발칸 동맹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전쟁인제1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 결과 체결된런던 조약에서 알바니아는 독립했으며,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는 영토를 확대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감소했다. 1913년 6월 16일, 불가리아가 세르비아 및 그리스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33일간의제2차 발칸 전쟁에서는 불가리아가 패배하여 세르비아와 그리스에게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루마니아에게남도브루자를 빼앗기게 되었으며 발칸반도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8]
1914년 6월 28일, 오스트리아의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사라예보를 방문했다. 세르비아의흑수단이 지원하는청년 보스니아 민족주의 단체의 암살단 6명츠벳코 포포비치(Cvjetko Popović),가브릴로 프린치프,무함마드 메메드바시치(Muhamed Mehmedbašić),네델코 차브리노비치(Nedeljko Čabrinović),트리프코 그라베츠(Trifko Grabež),바소 쿠브릴로비치(Vaso Čubrilović)는 대공의 차량 행렬이 지나가는 거리에 서 있었다. 차브리노비치가 차에수류탄을 던졌지만 차를 놓쳤다. 근처의 군중 몇몇이 부상을 입었고,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차는 계속 움직일 수 있었다. 다른 암살단은 차가 빠르게 지나쳐 암살할 수 없었다. 약 한시간 후, 페르디난트 대공이 사라예보 병원을 방문하고 돌아올 때 길을 잘못 들려 우연히 프린치프가 서는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프린치프는 권총을 발사해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그의 아내호엔베르크 여공작 조피를 암살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내에서 사람들의 반응은 차가울 정도로 무관심한 수준이었다. 역사학자즈비네크 제만(Zbyněk Zeman)은 나중에 "이 사건은 거의 어떠한 인상도 주지 못했다. 일요일과 월요일(6월 28일~29일)에 빈의 군중들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음악을 듣고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라고 전했다.[31][32]
그러나 사라예보 내에서는 오스트리아 정부가[33][34] 세르비아 주민들에 대한 폭력을 부추겼고, 그 결과 사라예보의크로아티아인과보스니아인이 세르비아인 두 명을 죽이고 세르비아인 소유의 건물을 불태우는사라예보 반세르비아 폭동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포그롬의 특성을 갖추었다. 작가이보 안드리치는 "사라예보에서 증오의 열풍이 불었다"라면서 이런 폭력 사건에 대해 말했다.[35] 세르비아인에 대한 폭력 행위는 사라예보에서뿐 아니라 현대의크로아티아 및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에 위치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도시에서도 일어났다.[3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유명한 세르비아인 5,500명을 수감하고 송환했으며, 그 중 700명에서 2,2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다고 통계내렸다. 세르비아인 460명은 사형 선고가 내려졌고,[37][38][39] 이슬람교가 지배적이었던 지역에서는슈츠크롭스(Schutzkorps)라는 민병대 집단이 형성되어 세르비아인들에 대한 핍박을 시작했다.[40]
사라예보 암살 사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프랑스 제국, 대영제국 간 1달 간의 외교 기동으로 이끌어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의 관리(특히흑수단의 임원들)들이 이 사건과 관련되었다고 판단하고 보스니아 내에서 세르비아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41] 세르비아에게 의도적으로 전쟁을 자극할 10가지 요구 사항으로 구성된7월 최후통첩을 보냈다.[42] 세르비아가 10가지 요구사항 중 8가지만 수락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4년 7월 28일 전쟁을 선포했다. 군사역사가인휴 스트론은 "세르비아의 초기 모호한 응답에 관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행동에 차이를 주었을 것인지 아닌지는 의심해야 한다. 프란츠 페르디난드 대공은 그리 인기있는 성격은 아니였으며 제국은 그의 죽음에 그렇게 애도를 표하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4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발칸 반도의 영향력을 넓히는 것이 내키지 않았던 세르비아 왕국의 오랜 지원국인 러시아 제국은 7월 29일 부분 동원령을 명령했다.[23] 7월 30일 러시아 제국이 총동원령을 내리자, 같은 날 독일 제국은 동원령을 발동했다.[44] 독일은 베를린의 대사를 통해 러시아에게 12시간 내에 동원령을 해제하지 않으면 전쟁 상황이 올 것이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44] 러시아는 동원령을 해제하는 것에 협상하자는 응답을 보냈다. 그러나, 독일 제국은 협상을 거부하고 1914년 8월 1일 러시아에게 선전포고했다.[44]
독일의 전쟁계획인슐리펜 계획은 러시아가 동부에서 진군하기 전에 프랑스 지역을 빠르고 대규모로 침공해서 서부를 미리 제압한다는 전략이었다. 따라서, 러시아의 동원령 선포와 동시에 독일 제국은 프랑스에게 중립을 유지하라는 요구를 보냈다. 프랑스 내각은 즉시 군사 동원령을 내리라는 군의 압박에 저항하여 사건을 막기 위해 프랑스 국경에서 10 km 밖으로 군대를 철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독일 제국은 8월 2일 룩셈부르크를 침공했으며, 8월 3일에는 독일 제국이 프랑스에게 선전포고했다.[44] 8월 4일, 벨기에가 자국의 영토를 통해 프랑스를 침공하려는 것에 대해 거부하자 독일 제국은 벨기에게도 선전포고했다.[44][45][46] 영국은 벨기에의중립 상태를 유지하라는 최후통첩을 독일 제국이 무시하자, 1914년 8월 4일 독일 제국에게 선전포고했다.[47]
동맹국의 전략은 잘못된 의사 소통으로 혼란을 빚었다. 독일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르비아 침공에 도움을 주기로 약속했지만,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해석에 따라 달랐다. 이전의 군사 전개 훈련 계획은 1914년 초 개정되었지만, 개정 이후의 훈련 계획은 진행된 적이 없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휘관들은 독일이 러시아와 전투하면서 북부 전선을 지원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48] 그러나, 독일은 프랑스를 침공하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러시아군의 대부분을 막을 것이라 구상하고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혼란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이 세르비아 전선과 러시아 전선으로 병력이 나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1914년 9월 9일9월 계획(Septemberprogramm)에서는독일의 총리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가 독일의 전쟁 목적 및 승리할 경우 연합국에게 요구할 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 문서는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가 침공하면서 8월 12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과 세르비아군 간에체르 전투와콜루바라 전투가 발발했다. 이후 2주일 동안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은 대량의 인명 손실로 그치면서 전쟁 기간 동안 첫 번째 연합군의 주요 승리로 기록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신속한 승리에 대한 희망이 없어지고 말았다. 그 결과, 오스트리아는 러시아 전선에 대한 방어를 약화시키고 대신 세르비아 전선에 상당한 병력을 유지시켰다.[49]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세르비아 침공 실패는 지난 20세기동안 우월한 적을 상대로 승리한 전쟁 중 하나로 꼽힌다.[50]
이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어린 군인이 참전한 전역이다.츠부스니카에 태어난몸칠로 가브리치는 1914년 8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게 그의 부모, 할머니, 형제 7명이 죽은 이후 8살에세르비아 육군 제6 포병 사단에 입대했다.[51][52][53] 10살때 그는 상병으로 승진했으며,[52][53] 11살에는 하사 대리 병장이 되었다.[53]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독일군(제7 야전군의 서부군)은 개정된 슐리펜 계획에 따라 진군하기 시작했다. 이 독일군은 중립국인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 국경으로 진군, 독일 국경에서 프랑스군을 둘러싸 남쪽으로 포위하는 작전에 투입되었다.[15] 프랑스는 "독일과 러시아 사이에 전쟁이 발발할 경우, 우리는 완전히 자유로운 행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독일은 한 전선에서는 프랑스를 공격하는 동시에 다른 전선에서는 러시아를 공격할 것이라고 다짐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충족시키기 위해, 슐리펜 계획은 1870~1871년의보불전쟁과 같이 최대한 빨리 프랑스로부터의 항복을 얻어내기 위한 계획으로 짜여졌다. 또한, 프랑스에서 빠른 승리를 위해 라인 강의 서부가 국경과 맞닿아 있는 알자스로렌의 험한 지형을 통해 공격하는 대신 영국 해협으로 진군하여 영국의 지원을 저지한 이후 파리를 공격한다는 작전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대부분의 군대를 러시아로 보냈다. 러시아는 동맹국에게 위협을 줄 수 있는동원령을 완료하는데 오랜 기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1914년, 전선으로 가는 길에 있는화차에 있는 독일 군인. 전쟁 초기에는 양 측이 매우 짧은 전쟁으로 끝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기존의 모든 독일의 전쟁 계획은 독일군이 벨기에를 통해 행군하는 것이었다. 독일은 프랑스를 침공할 때 벨기에를 통한 자유로운 행군을 원했다(원래는 네덜란드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독일 황제빌헬름 2세가 이를 거부했다). 중립국인 벨기에는 이를 거부했고, 따라서 독일은 벨기에를 침공하고자 했다. 프랑스 또한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군을 이동시키고 싶었지만, 벨기에는 자국 영토에서 전쟁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독일의 제안 뿐 아니라 프랑스의 제안 또한 거절했다. 결국, 독일의 벨기에 침공 이후 벨기에는 프랑스군과 함께 전투하고 싶지 않았지만 결국에는 벨기에군 대부분이 지원에 대한 모든 희망을 잃고안트베르펜으로 후퇴하여 항복했다.
이 계획은 독일의 우측이 프랑스군을 우회하기 위해 진군해야 했고(프랑스군의 대부분은 프랑스-독일 국경에 몰려 있었다) 이후 파리까지 남쪽으로 진군해야 했다. 8월 11일부터 24일까지국경 전투에서 독일군은 승리를 거뒀다. 9월 12일, 프랑스군은영국 원정군의 도움을 받아 9월 5일부터 12일까지 이루어진1차 마른 전투에서 독일군이 파리 동부로 진격하는 것을 방어했고 다시 독일군을 전선에서 50 km 후퇴시켰다. 이 전투는 서부 전선에서기동전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15] 프랑스군의 알자스 남부 공세는 8월 20일뮐루즈 전투로 시작했지만 제한적인 성공만 거두었다.
동부전선에서는 독일 장교들이 예상한 것과는 달리 매우 일찍 2개 군으로 프랑스 침공을 시작했다. 프랑스 침공에 동원되기로 예정되었던 제8 야전군을 철도를 통해 재빨리오스트프로이센 지역으로 이동시켰다.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이끄는 이 군은 8월 17일부터 9월 2일까지 이어진 일련의타넨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다. 러시아의 침공을 좌절시켰지만, 지치지 않은 독일군을 동부로 이동시킨 결과 1차 마른 전투에서 연합국이 전술적 승리를 이끌었다. 동맹국은 프랑스에서 빠른 승리를 거두는 데 실패하고 2개 전선에서 전쟁을 시작해야 했다. 독일군은 프랑스 내의 방어하기 좋은 지역에서 전투를 했고, 영구히 잃어버린 것보다 더 많은 23만명의 프랑스군 및 영국군을 무력화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신 문제 및 납득하기 어려운 명령 결정은 독일군이 전쟁 초기 승리하는데 어려움을 주었다.[54]
뉴질랜드는 1914년 8월 30일독일령 사모아를점령했다. 9월 11일,오스트레일리아 해군 및 군사파견군(AN&MEF)이독일령 뉴기니의뉴포메른섬(나중에 뉴브리튼섬이 됨)에 상륙했다. 10월 28일,페낭 해전에서 독일 순양함SMS 엠덴이러시아 순양함 젬추크를 침몰시켰다. 일본군은 독일의 미크로네시아 식민지를 장악하고칭다오 전투를 통해 중국산둥반도에 위치한칭다오를 점령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정부가 칭다오에 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순양함SMS 카이저린 엘리자베스의 철수를 거부하자, 일본은 독일 뿐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도 전쟁을 선포했다. 1914년 11월 이 함선은 칭다오 방어전에 참여했으며 나중에는 침몰했다.[55] 몇 달 이내에, 연합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지역을 장악했다. 오직 독일령 뉴기지 지역에서만 고립된 상선 기습 및 방어 태세만 있었다.[56][57]
전쟁의 첫 번째 충돌로는 아프리카에서 영국, 독일, 프랑스 사이 식민지 세력의 충돌이었다. 8월 6일~7일에 프랑스와 영국군은토골란드 및독일령 카메룬 지역을 침공했다. 8월 10일,독일령 남서아프리카의 독일군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산발적이고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다. 대령파울 폰 레토우보르베크(Paul von Lettow-Vorbeck)가 이끄는독일령 동아프리카 식민지군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유격전을 이끌었고 유럽에서 휴전이 이루어진 지 2주가 지나서야 항복하였다.[58]
영국 정부가 인도에서 반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두려움과는 달리, 인도에서는 영국에 대한 충성과 전례없는 호의가 나타나게 되었다.[59][60]인도 국민 회의 및 기타 단체의 인도 정치 지도자들은 열심히 영국의 전쟁 노력을 지원했으며, 영국에 대한 전쟁 지원이인도 자치 운동을 이끌어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사실영국령 인도 제국군은 전쟁 초기에는 영국군보다는 열세였다. 인도 중앙 정부 및인도 토후국이 많은 음식, 돈, 탄약 보급을 보내주는 동안 130만명 가량의 인도군 및 노동자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서 자원군으로 활동했다. 총 14만명이 유럽의 서부 전선으로 보내졌고, 70만명이 중동 전선으로 보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인도인 47,746명이 사망했고 65,126명이 부상을 입었다.[61] 전쟁 자체로의 고통 뿐 아니라, 전쟁 이후에도 영국 정부가 인도 자치에 관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자 인도 자치 운동은마하트마 간디가 주도하는인도 독립 운동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군사 전술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잡는데 실패하면서 구식이 돼버렸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강한 방어적 전략으로 이끄는 원인이 되었으며, 구식의 전술로는 더 이상 대부분의 전쟁에서 돌파가 힘들어지게 되었다.철조망은 밀집보병의 진군에 심각한 방해물이 되었으며,포병은기관총과 결합하여 개방지를 횡단하는 데 매우 어렵게 만들어 1870년대보다 더욱 치명적으로 발전했다.[62] 양측 지휘관은 많은 사상자 없이참호전 전략을 발전시키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이 때 기술 진보로 인해화학 무기 및전차가 발명되는 등 새로운 공격 무기를 개발하게 만들었다.[63]
1914년 9월 5일부터 12일까지 일어난1차 마른 전투 이후협상국 및 독일군은 서로 측면을 포위하기 위해 북부에서 기동전을 시도했다. 이러한 일련의 기동전을바다로의 경주라고 부른다. 이러한 측면 포위 시도가 모두 실패하면서, 영국 및 프랑스는 곧 독일 제국이 벨기에 해안부터로렌 지역까지 단단하게 구축한 방어선을 구축한 것을 보게 되었다.[15] 독일은 점령 지역을 방어하면서 영국 및 프랑스군에 대한 공격을 모색하고 있었다. 따라서, 독일군의 참호는 프랑스 및 영국군의 참호보다 더욱 많이 건설되었다. 영국-프랑스군의 참호는 독일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전까지 머무르는 "임시적인" 방어선에만 끝나 있었다.[64]
양측은 과학 기술의 진보를 이용하여 교착 상태를 깨려 시도했다. 1915년 4월 22일제2차 이프르 전투에서는 독일군이 서부 전선에서 처음으로 (만국 평화 회의의 헤이그 협정을 위반하는)염소 가스를 이용했다. 곧 양측에서 여러 종류의 가스 사용이 일반화되었고, 결정적으로 증명되진 않았지만 전투를 겪은 군인들은 독가스 전쟁이 가장 두렵고 기억에 남는 공포가 되었다.[65][66] 1916년 9월 15일에는 전체적으로는솜 전투의 일부인플레르-쿠르슬레 전투에서 영국군이 처음으로 전차를 이용했고, 부분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전쟁이 진행되면서 전차의 효과는 커졌다. 독일군은 자신들이 디자인한 매우 적은 수의 전차를 사용했으며, 대부분은 연합국으로부터 노획한 전차를전리품으로 이용했다.
양측 모두 2년 동안 서로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공격을 하지 못했다. 1915~1917년 동안, 대영제국 및 프랑스는 전략, 전술적 방향의 측면의 선택 때문에 독일보다 더 많은 사상자로 고통받았다. 독일은 오직 하나의 주요 공세만 시도했지만 연합군은 독일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한 여러 시도를 하였다.
1916년 2월 독일은 프랑스의베르됭에서 프랑스 진지를 공격하면서베르됭 전투가 시작되었다. 1916년 12월 프랑스의 반격으로 공세 시작 지점 이전까지 독일군을 퇴각시키기 전까지 전투는 독일군이 많은 이익을 보았다. 프랑스군의 사상자는 엄청났지만, 독일군의 사상자 또한 이에 못지 않게 높아서 양 측 교전국의 사상자는 70만명[67]에서 97만 5천명[68] 가까이 된다. 베르됭은 프랑스의 의지 및 희생의 상징이 되었다.[69]
1916년 7월부터 11월까지 영국-프랑스군은솜 전투를 통해 독일군을 공격했다. 이 공격이 시작한 7월 1일 당시영국 육군은 역사상 가장 큰 사상자가 발생해,첫날 전투에만 19,240명이 사망하는 등 총 사상자가 75,470명이나 되었다. 솜 공세 전체 기간 동안 영국군의 사상자는 약 42만명이었다. 프랑스군 또한 대략 20만명의 사상자가 나왔으며, 독일군은 50만명의 사상자가 나왔다.[70]
1916년 전체 기간 동안 베르됭에서의 오래된 공격은[71] 솜 전투의 심각한 사상자와 합쳐져 프랑스군이 지쳐 붕괴 위기까지 달했다. 1917년 4월 5일니벨 공세가 연합국의 실패로 끝난 이후 영국 및 프랑스군의 헛된 정면 공격 시도는프랑스 병사(poilu)의프랑스군 반란으로 이어졌다.[72] 동시에 일어난 영국의아라스 전투는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져 궁극적으로 전략적 가치는 떨어졌지만 더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73][74] 아라스 공세의 일부분으로캐나다 군단이 비미 리지를 점령했고, 이는 해당 국가에게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캐나다의 국가정체성이 전투로 탄생되었다는 생각은 이후 캐나다의 군사 및 일반 사학계에서 널리 퍼지게 되는 의견이 되었다.[75][76]
1917년 7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진파스샹달 전투는 이 기간 벌어진 영국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프랑스의 지원)가 되었다. 이 공세는 10월 전장이 진흙탕으로 되기 전까지 연합국 사이의 약속으로 진행되었다. 사상자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존재하지만 거의 20만명에서 40만명 사이로 추측한다.
서부 전선의 참호전은 몇 년 동안 많은 지역의 점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고, 그 결과 이 전선은 종종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 전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영국, 프랑스, 독일은끊임없는 전술의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전장으로 나타났다.
전쟁이 시작했을 당시, 독일 제국의순양함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연합국상선을 공격하기도 했다.영국 해군은 비록 연합국 선박을 보호하는 데는 무능력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그들을 패배시켰다. 예를 들어,칭다오에 주둔한 독일의 동아시아 함대의 일부였던 경순양함SMS 엠덴은 15척의 상선을 포획하거나 침몰시켰으며, 러시아 순양함 및 프랑스 구축함도 침몰시켰다. 그러나, 장갑순양함SMS 샤른호르스트,SMS 그나이제나우, 경순양함SMS 뉘른베르크,SMS 라이프치히, 수송함 2척으로 이루어진독일 동아시아 함대는 선박을 습격하라는 명령을 받지 못했고 대신 영국 군함을 만났을 때 독일 영토로 항해했다. 독일 함대 및SMS 드레스덴은코로넬 해전에서 장갑순양함 2척을 침몰시켰지만, 1914년 12월포클랜드 해전에서 탈출한 SMS 드레스덴 및 약간의 보조함을 제외한 모두가 파괴되었고, 탈출한 선박들도마스아티에라 해전에서 대부분이 파괴되거나 포획되었다.[77]
전쟁 발발 이후, 영국은독일의 봉쇄를 시작했다. 이 전략은 지난 2세기 동안 여러 국제법에 의해 성문화 된 원칙을 어기는 것이었지만 여러 중요한 군사적, 민간적 자원 공급 차단에 효과가 있었음이 밝혀진다.[78] 영국은 중립국 선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막기 위해 공해에서 바다로 들어오는 모든 함선의 이동을 막았다.[79] 이후 이 전술을 제한적으로 따라 독일의무제한 잠수함 작전도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80]
1916년유틀란트 해전(독일어로 Skagerrakschlacht)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가장 거대했던 해전이었으며, 전쟁 중 유일한 전함 간의 전투였다. 이 해전은 1916년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북해의윌란반도 부근에서 일어났다. 독일의 대양함대는라인하드 세어가 지휘했고, 영국의대함대는 제독존 젤리코가 지휘했다. 독일 함대가 해전에 돌입하기 시작하자 자기 함대보다 더 큰 영국 대함대를 피해 탈출하면서 영국 함대에게 많은 피해를 주었다. 그러나, 전략적으로는 영국이 여전히 제해권을 가지고 있었고, 독일 수상함대의 대부분은 전쟁 기간 내내 항구에만 있어야 했다.[81]
독일의유보트는 북아메리카와 영국 사이의 보급선을 차단하려 시도했다.[82]잠수함전의 성격은 공격이 자주 경고없이 왔으며 상선의 승무원들은 생존률이 희박했다.[82][83] 미국은 이에 대해 항의를 시작했고, 독일은 교전 규칙을 바꿨다. 1915년 여객선RMS 루시타니아가 침몰한 이후, 독일은 여객선이 지나다니는 해로에서 공격하지 않겠다고 했으며, 영국은 "안전 장소"(구명보트와는 다른 표준)에 승무원을 배치하고 경고를 보내는프라이즈 규칙 보호를 넘어서서 상선을 무장시켰다.[84] 마침내, 1917년 초 독일이무제한 잠수함 작전 규칙을 도입하면서 미국이 선전포고했다.[82][85] 독일은 미국이 해외에서 많은 군대를 수송하기 전에 연합국해로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지만, 장거리 유보트를 5척만 유지시킬수 있어서 실제 효과는 미미했다.[82]
1917년에는 상선들이구축함들과 같은호송선단을 보호를 받아 유보트의 피해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호송선단 전술은 유보트가 표적을 쉽게 찾지 못하게 하여 피해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후하이드로폰과폭뢰가 도입되면서 구축함이 수중에 있는 잠수함을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호송선단은 상선이 호송선단이 모일 때까지 기다려야 해서 보급 전송이 느려지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이러한 지연을 막기 위해 새로운 화물들을 구축하는 광범위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군인 수송선은 잠수함에게 너무 빨랐기 때문에 호송선단의 지원을 받지 않았다.[86] 유보트는 199척을 이용해 5,000척 이상의 연합군 함선을 침몰시켰다.[87]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은항공모함이 처음으로 나온 시기로HMS 푸리어스가 1918년 7월톤데른 기습에서소프위드 카멜을 발진시켜체펠린 비행선 격납고를 성공적으로 공격했다. 또한, 대잠 순찰기로 소형순찰선을 띄우기도 했다.[88]
1917년, 포로로 잡은 세르비아 군인을 처형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인. 전쟁 기간 동안세르비아 왕국은 85만명이 사망하면서 전쟁 전에 비해 4분의 1의 인구가 감소했다.[89]
러시아와 직면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를 공격한 군대의 3분의 1만 러시아 전선으로 보낼 수 있었다. 큰 손실을 입은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의 수도인베오그라드를 점령했다. 그러나,콜루바라 전투에서 세르비아군의 반격이 성공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년 말까지 원래 전선으로 후퇴해야 했다. 1915년의 첫 10개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대부분의 군사를 이탈리아 전선으로 보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외교관은 불가리아를 설득하여 세르비아를 공격하도록 유도했다.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지방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사는 세르비아 뿐 아니라 이탈리아와 러시아 전선 등지로도 향해졌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동맹을 맺었다.[90]
세르비아는 불가리아군이 60만명의 군대를 동원해 지원하면서 한 달 내에 정복했다. 세르비아군은 2개 전선에서 패배에 직면하면서 전쟁 초기에 침공했던알바니아 공국 북부로 후퇴했다. 이후, 세르비아군은코소보 전투에서 패배했다. 몬테네그로는 1916년 1월 6~7일에 있었던모이코바츠 전투에서 아드리아 해안에서 후퇴하던 세르비아군을 보호하는 데 성공했지만, 결과적으로 몬테네그로도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점령당했다. 살아남은 세르비아 병사들은 배를 통해 그리스로 철수했다.[91] 정복 이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불가리아 왕국이 나눠 점령했다.
1915년 말, 프랑스와 영국군이테살로니키에 상륙하면서 그리스 정부에게 동맹국에게 전쟁을 선포하라고 압박하였다. 그러나, 친독일 성향의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은 연합국 원정군이 상륙하고 친연합국인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이런 요구를 거부했다.[92] 그리스 국왕과 연합국 사이의 마찰은국론 분열이 축적되어 왕당파와 테살로니키의 베니젤로스 임시 정부 간 분열로 이어졌다.아테네에서 연합국파와 왕당파 간의 긴 협상과노엠브리아나(Noemvriana)라고 부르는 무장 투쟁 끝에 왕이 폐위되었으며 그의 둘째 아들알렉산드로스가 새로운 국왕이 되었다. 이후 그리스는 공식적으로 연합국 편에 참전했다.
비행기의 폭격을 피해 참호에 들어간 불가리아 군인.
처음에는 마케도니아 전선이 정적이었다. 프랑스군 및 영국군은 1916년 11월 19일모나스티르 공세에서 큰 손실을 겪고비톨라 주변의 마케도니아 영토 일부를 점령했으며, 전선의 안정을 가져왔다.
세르비아 및 프랑스군은 1918년 9월 독일 및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대부분이 후퇴한 이후에야 전진할 수 있었다. 불가리아군은 전쟁에서도브로 폴 전투에 큰 패배를 겪었다. 결국, 불가리아는 2주 후인 1918년 9월 29일 항복했다.[93] 독일 최고 사령부는 전선을 유지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이 군대는 전선을 유지하기에 너무 약했다.[94]
마케도니아 전선 자체가 붕괴되면서 연합군은부다페스트 및빈으로 향하는 도로를 확보했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드로프는 확실히 전략 및 작전상 균형이 확실히 무너졌다고 결론내리고 불가리아의 붕괴 이후 하루만에 즉각적인 평화를 요구했다.[95]
이에 대해, 영국과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을 침공하여메소포타미아 전역(1914)과갈리폴리 전역(1915년)을 개전했다. 갈리폴리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영국군, 프랑스군,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대조적으로,메소포타미아에서는쿠트 공방전(1915~1916년)에서 패배한 이후 영국군이 1917년 3월바그다드를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은 쿠르드족 및 투르크맨족과 연합하여 전투한 데 반해 영국군은 아랍인 및 아시리아인과 연합하여 전투했다.
러시아군은 코카서스에서 일방적인 전투를 치렀다. 오스만 군대의 최고 사령관인엔베르 파샤는 러시아가 정복했던 중앙아시아 지역을 다시 점령하고자 하는 야심이 있었다. 이에 1914년 12월 10만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코카서스에서 러시아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겨울에 러시아군에 대한 정면공격을 하자고 주장했지만,사리카미스 전투에서 86%의 병력을 잃고 오스만군이 패배했다.[98] 엔베르 파샤의 지휘관으로써의 역량 부족이 그 원인으로 손꼽힌다.[99]
1914년 12월, 독일아시아 군단의 지원을 받은 오스만 제국군은 영국군과 러시아군 간의 연결을 끊고카스피해의유층지대를 점령하기 위해페르시아를 침공했다.[100] 페르시아는 표면상 중립국이었지만 실제로는 영국군과 러시아군의 영향 하에 있었다. 오스만군과 독일군은쿠르드족 및아제르바이잔인의 대규모 지원을 받았을 뿐 아니라카슈카이인,탕기스탄인,루르인,캄세흐인의 지원을 받았으며, 프랑스군 및 영국군은그리스인과 아시리아인과아르메니아인의 지원을 받았다.페르시아 전역은 1918년까지 지속되어 오스만 제국 및 동맹국의 패배로 끝났지만, 1917년 아르메니아와 아시리아인을 이끌며 오스만 제국에 대해 가장 강하게 공세를 하던 러시아가 휴전하면서 보급선이 끊기고, 무기 및 양에서 열세가 되면서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영국군이 후퇴해야 했다.[101]
1915년부터 1916년까지 러시아군의 지휘관이었던니콜라이 유데니치는 남부 코카서스에서 대부분의 터키군을 몰아내면서 승리자로 자리잡았다.[98] 1917년,대공 니콜라우스 니콜레비치는 코카서스 전선의 지휘관이 되었다. 니콜라우스는 정복한 지역에서 러시아-조지아 철도를 계획하여 1917년에 공세할 새로운 보급품을 얻으려고 했다. 그러나, 1917년 3월(러시아 혁명 이정 율리우스력으로는 1917년 2월)러시아 2월 혁명을 통해 황제가 퇴위하자러시아 코카서스 군은 붕괴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는삼국 동맹의 일환으로 1882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가 가지고 있던트렌티노,오스트리아 연해 지대,피우메 (현 리예카),달마티아 지역을 확보하고 싶었다. 이탈리아는 1902년 프랑스와 비밀 조약을 맺어 삼국 동맹을 무효화시켰다.[105] 전쟁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은 방어적 조약이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공격자라는 이유로 참전을 거부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프랑스령 튀니지를 대가로 이탈리아의 중립을 이루기로 했다. 이에 대해, 연합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패배할 경우남부 티롤, 오스트리아 연해 지대,달마티아 연안 지대를 주는 조건으로 참전하게 했다. 연합국하고의 이 협상은 1915년런던 조약으로 공식화되었다. 또한, 1915년 4월 연합국의 터키 침공에 자극받아 이탈리아는 삼국 협상에 가입하고 5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했다. 다섯달 후, 이탈리아는 독일에게도 선전포고했다.
1915년 2월 16일, 오스트리아와의 동시 협상에도 불구하고, 런던의 특사가 이탈리아가 협상국에 참여할 경우 좋은 거래를 해 주겠다는 제안을 했다. ... 최종 선택에는 러시아군이 3월 카르파티아산맥에서 승리했다는 뉴스의 도움을 얻었다. 사란드라는 협상국의 승리가 눈앞에서 보이기 시작한다고 생각했고, 그는 신속하게 합의를 하기 위해 몇 가지 요구 사항을 철회하라고 특사에게 지시했지만 이익 공유에 관해 너무 늦게 도착한다고 불안해했다. ... 런던 조약은 4월 26일에 채결되었으며 이탈리아는 1개월 내에 전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 5월 4일이 돼서야 사란드라는 삼국동맹을 폐기한다고 서명했다.[106]
군사적으로 이탈리아는 우월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은 전투가 일어나는 지형이 험하고 전략 및 전술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사라져버렸다. 정면 공격의 철저한 지지자였던 육군 원수루이지 카도르나는슬로베니아 고원으로 침입해류블랴나를 점령하고빈을 위협할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카도르나의 계획은 견고한율리안알프스산맥와크라스의 험난한 지형,참호전과 같은 기술적인 변화를 따라잡지 못한 계획이었으며 그 결과 엄청난 인명을 희생하고 교착 상태로 멈춰 버렸다.
트렌티노 전선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수비하기 유리한 산악 지형을 이용했다. 개전 초 전략적인 후퇴 이후 전선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오스트리아의카이저쉬젠(Kaiserschützen)과스텐드쉬젠(Standschützen)이 이탈리아의알피니의 여름에 걸친 백병전을 막아냈다. 1916년 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아시아고 알토피아노에서 베로나와 파두아를 향해 공세를 시작했으나(트렌티노 공세), 별 소득이 없었다.
1915년 초, 이탈리아는트리에스테 북동부의소카 강(이손초 강)을 따라 11번의공세를 진행했다. 11번의 공세는 모두 고지대에 위치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격퇴했다. 1916년 여름도베르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승리하여고리치아를 점령했다. 이 작은 승리 이후에는 이탈리아군이 고리치아 동부의바니시스 플라티우와카르스트 플라티우를 중심으로 공세를 진행했지만 1년 가까이 전선에 변화가 없었다. 1917년 가을에는 동부 전선이 동맹국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진행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군의스톰트루퍼(Stormtrooper)와알펜크롭스 엘리트원을 포함한 다수의 병력을 증원받았다.
동맹국은 1917년 10월 26일 독일 제국을 주도로 한 분쇄 작전을 시작했다.코바리드 지역에서 일어난카포레토 전투에서 독일군이 승리했다. 이탈리아군은 100 km 넘게 후퇴했으며,피아베 강 전투에서야 전선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군이 카포레토 전투에서 대규모의 손실을 입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는 소위 18세 이상의 모든 남성을 소집하는 "99 소년들"(Ragazzi del '99)을 진행했다. 1918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피아베 강 전투에서 패배를 겪었으며, 결정적으로 그해 10월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패배했다. 11월 1일, 이탈리아 해군은 새로운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주으로 전력을 넘기는 것을 막기 위해풀라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의 대부분을 파괴했다. 11월 3일, 이탈리아군은 바다를 건너트리에스테를 점령했다. 같은 날에빌라 지우티 휴전을 체결했다. 1918년 11월 중반, 이탈리아군은오스트리아 연해 지대 전체를 장악하고 런던 조약에서 이탈리아에게 보장된 달마티아 전체를 점령했다.[107] 1918년 11월 전쟁이 끝날 무렵,[108] 제독엔리코 밀로는 자신 스스로를 이탈리아령 달마티아의 총독으로 선포했다.[10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918년 11월 항복했다.[109][110]
루마니아는 1882년부터 동맹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이 시작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를 했기 때문에 루마니아가 참전할 의무가 없다고 말하면서 중립국을 선언했다. 협상국이 루마니아가 동맹국에게 선전포고하는 대가로트란실바니아와바나트와 같이 루마니아인이 많이 사는 큰 영토를 보장해주자, 1916년 8월 27일 루마니아 정부는 협상국에 가입하여트란실바니아를 공격하여 러시아의 제한된 지원을 받고 참전했다. 루마니아의 공세는 초기에는 성공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밀어냈지만 이후 동맹국의 반격으로 인해 다시 루마니아-러시아 국경으로 후퇴해야 했다.[111] 동맹국이부쿠레슈티 전투에 승리하면서 1916년 12월 6일에 루마니아의 수도가 함락되었다. 1917년에는 몰도바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되면서 동맹국은 지루한 교착 상태로 빠지게 되었다.[112][113] 1917년 말10월 혁명으로 인해 러시아가 항복하자, 루마니아는 1917년 12월 9일 동맹국과 휴전해야 했다.
1918년 1월, 루마니아군은 러시아군이 포기한베사라비아 지역을 점령했다. 비록 루마니아와볼셰비키 러시아 정부 사이 1918년 3월 5일~9일에 2달 이내 베사라비아에서 철수한다는 조약을 맺었지만, 1918년 3월 27일 루마니아 통합 지역 의회가 루마니아로 합병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베사라비아를 자국 영토로 병합했다. 1918년 5월 7일에는부쿠레슈티 조약을 맺으면서 동맹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에서 루마니아는 동맹국과 종전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영토 할양이 이루어지고카르파티아산맥에 대한 통행권이 주어졌으며, 독일에게 석유 채굴권이 부여되었다. 그 대신 동맹국은 루마니아가 베사라비아를 장악하는 것을 인정했다. 이 조약은 1918년 10월알렉산드루 마르힐로만 정부가 무효화하면서 1918년 11월 10일 명목상 전쟁이 재개되었다. 다음 날, 부쿠레슈티 조약은콩피에뉴에서 휴전이 이루어지면서 무효화되었다.[114][115] 루마니아는 현대 국경을 기준으로 1914년에서 1918년동안 군인과 민간인을 포함하여 748,000명이 사망했다.[116]
서부전선이 교착상태로 빠진 반면, 동부유럽의 전쟁은 계속되었다. 러시아군의 초기 계획은 오스트리아의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과 독일의동프로이센을 동시에 침공하는 계획이었다. 비록, 갈리치아를 향한 러시아군의 초기 공세는 성공적이었으나 동프로이센을 향한 공세는 1914년 8~9월에 일어난타넨베르크 전투와마수리아 호 전투에서파울 폰 힌덴부르크와에리히 루덴도르프의 분전으로 저지되었다.[117][118] 러시아의 덜 발달된 산업 기반과 비효율적인 군사 명령 체계가 이후 벌어진 사건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5년 봄에는 러시아군이 갈라치아 지역에서 후퇴했으며, 5월에는 동맹국이 폴란드 남부 지역에 돌파구를 만들었다.[119] 8월 5일에는 동맹국이 러시아군을 후퇴시키며바르샤바를 점령했다.
1916년 6월 러시아군이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동부를 향한브루실로프 공세가 성공했지만,[120] 러시아 정부의 전쟁에 관한 불만이 증가하고 있었다. 공세의 성공은 승리를 위해 지원해야 하는 다른 장군이 군사를 내주기 꺼려한 탓에 약화되었다. 연합군과 러시아군은 8월 27일 루마니아가 연합국으로 참전 할 때 일시적으로 소생했다. 독일군이트란실바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지원하는 동안, 남쪽에서 독일-불가리아군이 공격하면서 12월 6일에는부쿠레슈티가 동맹국에게 함락되었다. 한편, 러시아의 차르니콜라이 2세가 전쟁을 계속 끌면서 러시아 내 불안 상황이 고조되었다.알렉산드라 황후의 무능한 통치는 시위를 앞당기도록 했고, 1916년 말에는 황후가 좋아하는그리고리 라스푸틴이 살해당했다.
1917년 3월,페트로그라드에서 시위가 일어나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러시아 임시 정부가 뒤를 이었으나, 이 정부의 힘은 약했고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사회주의자와 연대하여 겨우 유지했다. 이러한 상황은 전선과 후방 모두에서 혼란을 가중시켰다. 육군은 점점 비효율적으로 변해갔다.[119]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과 취약함으로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볼셰비키당의 인기가 높아졌고, 이들은 전쟁을 그만둘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자 1917년 11월에는볼셰비키의 무장 봉기가 성공하여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했고, 12월에는 독일과 휴전 협상을 맺었다. 처음에 볼셰비키는 독일의 요구를 거절했으나, 독일군이 무저항으로 우크라이나 전역을 장악하자 1918년 3월 8일 러시아와 동맹국 간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맺어지게 된다. 이 조약에서는 핀란드,발트 3국,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대부분을 동맹국에게 할양하는 등 광대한 영토가 넘겨졌다.[121] 러시아 지역에서 독일군이 명백하게 승리했지만, 이전 러시아 지역에 주둔하기 위해 필요한 독일군의 인력이 너무 많아 이후 일어난 춘계 공세가 실패하고 식량과물자 보급도 상당히 뒤처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을 위해 연합국에 동참하여 전쟁에 참여한 군단이다.러시아 내의 군단은 1917년 만들어졌으며, 1917년 12월에는 프랑스(미국인 자원군 포함), 1918년 4월에는 이탈리아에서도 만들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1917년 7월 현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일어난즈보로프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을 이겼다. 이 승리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자원군 수가 늘어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주 군사가 되었다.바흐마흐 전투에서는 독일 제국군에게 승리하면서 휴전 협정을 맺도록 강요했다.
러시아 지역에서는볼셰비키에 대한러시아 내전이 발발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장악하고시베리아의 모든 주요 도시를 점거했다. 이 군단이예카테린부르크 근처까지 나타나면서 1918년 7월 볼셰비키는로마노프 왕가의 처형을 단행하게 된다. 이 군단은 이 사건이 일어난 지 7일도 되지 않아 도시를 장악한다.
러시아의 유럽 지역 항구가 안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군단은블라디보스토크로의 긴 우회로를 통해 대피했다. 1920년 9월 미국 선박 헤프론을 통해 마지막으로 군단이 떠나게 되었다.
1916년 12월,베르됭 전투가 10달 지나고루마니아로 공세를 성공적으로 끝내자 독일은 연합군과의 평화 협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123]
곧, 미국의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이 조정자로 개입을 시작하면서 양측의 조건을 듣기 시작했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전쟁내각은 독일의 제안은 연합군 사이를 분열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초기의 분노와 숙고 이후, 윌슨에게는 별도의 노력으로 미국이 "잠수함 작전"으로 인해 독일과 전쟁하기 직전이라는 신호를 들었다. 연합군은 윌슨의 제안에 대해 논의하는 동안, 독일은 "서로의 직접적인 견해 교환"에 대해서 거부했다. 독일의 응답을 보고 연합군 정부는 1917년 1월 14일 자유롭게 명확한 요구를 제시했다. 그들은 피해를 보상받고, 점령 지역에서 독일군이 물려나며, 프랑스, 러시아, 루마니아, 기타 참전국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다. 이 요구에는 이탈리아인, 슬라브인, 루마니아인, 체코슬로바키아인에 대한 해방 및 "자유롭고 통일된 폴란드"를 건설하라는 요구도 했다. 안보에 대해서는 연합군은 평화를 유지할 제제방법으로 미래의 전쟁을 제한하거나 예방할 방법을 모색했다.[124] 독일이 어떠한 특정 제안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협상은 실패하고 협상국은 독일의 제안을 거부했다. 윌슨에게 협상국은 동맹국이 점령한 모든 연합군 영토에서 나오며 손해 배상금을 물 때까지 평화 협상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25]
1916년 말까지 러시아의 사상자수는 사망자, 부상자, 포로를 합쳐 5백만명을 넘겼으며 주요 도시는 식량 부족과 고물가로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1917년 3월 니콜라이 차르는페트로그라드에서 발생한 파업을 강제 진압하라고 군대에게 명령했으나 군대는 군중에게 발포하길 거부했다.[126] 혁명가는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를 수립했고 좌파의 권력 장악을 우려한국가두마는 니콜라이 2세에게 퇴위하라고 강요하고러시아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임시정부는 러시아가 계속 전쟁할 것임을 선언했다. 하지만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해산을 거부하며 한 국가에두 개의 정부가 유지되어 혼란과 무질서가 도래했고 전선의 병사는 사기가 극도로 떨어졌다.[127]
차르의 퇴위 후 독일 정부의 도움을 받은블라디미르 레닌은 1917년 4월 16일 스위스에서 러시아로 귀국했다. 임시정부를 향한 불만과 약점은 레닌의 볼셰비키당의 인기가 급상승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볼셰비키당은 즉각적인 전쟁 종식을 요구했다.10월 혁명은 12월 독일과의 휴전 협상으로 이어졌다. 처음에는 볼셰비키가 독일의 요구 조건을 거부했지만 독일군이 우크라이나를 무저항으로 진격하자 1918년 3월 3일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을 동맹국에게 양도했다.[128]
러시아 제국이 전쟁에서 빠져나가자 루마니아만 홀로 동부전선에 남았고 1918년 5월 루마니아도 동맹국과부쿠레슈티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에 따라 루마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불가리아에 영토를 할양하고 독일에게 석유 임대권을 주었다. 하지만 조약 조건에 동맹국이 루마니아가베사라비아 합병을 인정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129]
미국은 연합국의 주요 전쟁물자 제공국이었으나 1914년 시점에는 국내 반전 여론으로 참전하지 않았다.[130] 윌슨이 필요로 했던 참전 여론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은 독일의 잠수함 공겨이었다. 이 공격으로 미국인 생명이 여럿 사망했을 뿐 아니라 선박이 출항을 꺼리며 무역에 큰 타격을 입었다.[131]
1917년 4월 6일 미 의회는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연합국의 "제휴국"으로 참전을 발표한다.[132]미국 해군은스캐퍼플로로미국 제9전함사단을 파견해 영국 대함대와 합류했으며 수송선 호위 임무를 진행했다. 1917년 4월 당시미국 육군은육군국민위병 부대를 포함해 30만명 미만의 병력이 있었으며 이는 영국 육군 410만명과 프랑스 육군 830만명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적은 수치였다.1917년 선택징병법으로 280만명이 징집되었으나 이 규모의 병력을 훈련시키고 장비하는 것은 물류적으로 엄청나게 힘든 일이었다. 1918년 6월까지미국 원정군(AEF) 667,000명 이상이 프랑스로 파견되었으며 이 수는 11월까지 200만명으로 늘어났다.[133]
윌슨 대통령은 독일이 반드시 패배해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으나 미국이 평화 구축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기를 노리며 참전했다. 이는 다른 연합국이 원했던 것처럼 미군 원정군을 영국군이나 프랑스군 산하로 두는 대신 독립된 군사 병종으로 활약한다는 것을 의미했다.[134] AEF 지휘관이었던 장군존 J. 퍼싱도 1914년 "개방전"을 옹호하며 영국과 프랑스의 포병 강조를 미국의 '공세정신'과 양립할 수 없다며 비판하면서 윌슨의 생각을 옹호했다.[135] 연합국은 1917년 큰 손실을 입었지만 퍼싱은 미군의 통제권을 계속 쥔다는 입장을 가졌고 독립부대로 운용을 허락할 때까지 전선에 나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결과적으로 1918년 9월뫼즈-아라곤 공세에 들어서야 미군이 전선에서 단독작전을 수행하기 시작한다.[136]
1916년 12월로베르 니벨은 페탱을 대신에 프랑스군 서부전선 사령관에 임명되었으며샹파뉴 지역에서 영국-프랑스 연합작전으로춘계 공세를 계획했다.[137] 하지만 허약한 보안으로 독일 정보부는 전술과 일정표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4월 16일 공세가 시작되자 프랑스군은 상당히 전진했고 새로 건설된 독일의 강력한 힌덴부르크선 앞에서 진격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니벨은 전면공격을 계속했으며 4월 25일까지 프랑스군은 135,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 중 3만명이 사망했으며 사상자 대부분은 공세 첫 이틀에 발생했다.[138]
동시에 이뤄진 영국군의아라스 공세는 더 성공적이였지만 전략적인 가치는 거의 없었다.[139] 또한 이 때캐나다 군단이 처음으로 단독작전을 통해비미 능선 전투에서 비미 능선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는데, 이는 캐나다인에게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결정적인 순간으로 여겨진다.[140][141] 니벨은 공세를 지속했지만 5월 3일 베르됭에서 가장 격렬한 전투에 참전한제21사단이 명령을 거부하며군 집단반란이 일어났다. 며칠만에 "집단 무질서"가 54개 사단으로 확산되었으며 2만명 이상이 탈영했다.[142]
1917년, 미국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이래,연합국은 반격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결국, 동맹국의 군대가 차례대로 투항했다.불가리아가, 그 다음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순으로 항복했다. 오스트리아가 항복한 같은 날, 독일의킬(Kiel) 군항에서는 해군 수병에 의한 폭동이 일어났다. 파급 효과는 엄청났는데, 곧바로 독일 각지에서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여 군경과 실랑이를 벌였다. 결국 독일 황제빌헬름 2세는 제위를 포기하고네덜란드로 망명했다. 독일은 군주제를 포기하고 공화정으로 전환하였으며, 1918년 11월 11일 새벽 5시 프랑스 북부 콩피에뉴의 왕실 소유림내에 있는 포쉬 원수의 열차안에서 휴전 협정이 조인되어 연합국과 휴전을 맺었다. 그로부터 6시간 후에 휴전 협정이 발효되어 제1차 세계 대전은 막을 내렸다. 이렇게 해서 약 9백만명이 전사하고 총 4천만명의 사상자를 낸 이 대전쟁은 끝이 났다.
동맹국이 연합국에게 전쟁에 지면서 독일은베르사유 조약, 오스트리아는생제르맹 조약,헝가리는트리아농 조약, 오스만 제국은세브르 조약, 불가리아는뇌이 조약을 맺으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해체되고, 많은 영토와 인구를 잃었다. 이로 인해 발칸 반도와 중동 지방에서 많은 독립국들이 생겨났다.
독일의 경우 해외식민지를 모두 포기하였고, 본토 손실은알자스와로렌을 프랑스에 넘겨주고 폴란드 지역을 독립시킬 정도의 적잖은 영토를 잃었다. 또한 장기간 전쟁수행으로 인하여인플레이션이 일어났고, 실직자가 속출하였다. 더욱이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과다한 배상금은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는민주주의가 발전했다. 일본은오세아니아의 군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독일은베르사유 조약으로 말미암아 반성보다 지독한 가난과 배상금에 대한 것에 시달렸으며 오스만 튀르크도 세브르 조약을 맺음으로써 영토가 크게 줄어들었다(1922년 해체,1923년터키 공화국 수립).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도 각각생제르맹 조약,트리아농 조약을 맺음으로써 영토가 크게 줄어들었다. 불가리아는 뇌이 조약으로남도브루자를 루마니아에 떼어주었다.
이탈리아는 승전국이었으나 연합국에게 영토를 보장받기는커녕 냉대를 받았다. 결국1922년에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한 파시스트 정권이 수립된다.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중국은 연합국임에도 불구하고산둥반도에 대한 이권을 돌려받지 못하였다.우드로 윌슨의민족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중앙유럽의 많은 국가는 독립하였으며, 독립을 조건으로 영국을 도왔던인도는 그 약속이 무산되자 지속적인 투쟁 운동을 시작했다.
한편,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민족 자결주의를 제창하였으며, 전쟁의 방지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국제 연맹을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국제 연맹이 설립되었으나, 정작 미국은 의회의 반대로 가입에 실패하였다. 결국 다시 고립의 길을 걸었다.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을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으로 선언하여 국제 정치가 이념화, 도덕화하기 시작했다. 이상적 집단 안전 보장 정책인국제 연맹을 통해 법률적, 도덕적 세계 여론에 부응하여 평화를 구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 때부터총력전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특히벨기에 왕국, 러시아 제국과 독일 제국은 식량 부족이 심각했다.
전쟁 기간 동안맥심기관총(영국),독가스(독일),탱크(영국),전투기(영국, 프랑스, 독일),유보트(독일),곡사포(오스트리아)등의 신무기가 생겨났다.
독일 국민들은 거의 만장일치로베르사유 조약을 승인하지 않았다. 이 조약은아돌프 히틀러 집권과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배경이 되기도 하였으며,바이마르 공화국이 외부로부터 강요된 체제라는 이유로 민주 정부에 대한 애정과 의지를 갖지 못하게 하여 공화국의 생명력을 위태롭게 만든 것이나 다름없었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초강대국의 지위에 올랐으나, 자신이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연맹 참여를 거부하고 다시고립주의에 빠짐으로써 강대국으로서 국제 역할에 괴리를 가져왔다. 결국경제 공황이 생겨난다.
많은 새로운 국가들이 탄생하여 다른 국가도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민족자결주의로민족주의가 상승하여 20세기 정치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인도,조선 등에서 독립 운동 활발}.
일본은영·일 동맹을 근거로 연합군 측에 가담하여 1차 대전기간 동안 여러이득을 보았고, 경제 호황기를 누림으로써 대체로 만족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영일 동맹을 이유로 연합국측에 가담하여 참전했다. 그 진의는 동아시아 지역에 있어서의 일본의 지위를 더 높이고 국제적인 발언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143][144] 1914년 8월 일본은독일에선전포고한 후, 일본 육군은 중국에 있던 독일의 조차지산둥반도의자오저우만(칭다오 포함)을, 일본 해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남양군도를 점령하고,[145][146] 이 지역에서의 이권을 할양받는 것을영국과프랑스가 승인하는 조건으로지중해에 소규모 함대만을 파견하는 등 독일과의 직접적인 전투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47] 산둥반도를 점령하고 나서, 일본은 중국에 대해 만주와 산동반도 등에 대한 일본의 이권을 반영구화하고,남만주와내몽골 일부를 일본에 조차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등 21가지 특혜조건을 요구(1915년 1월)하였고, 중국은 이를 수용(5월)할 수 밖에 없었다. (→21개조 요구) 이와 같이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는5·4 운동(1919년)과 같은 격렬한 배일(排日) 여론에 밀려 실패하였다.[148] 한편, 러시아 혁명(1917년)에 뒤이어 일어난러시아 내전(1917~22년)에서 일본은 러시아 백군을 도와 7만 2천여명의 병력을 시베리아에 파견하였으나 패배하였다.[149](→일본의 역사)
중국은1917년에 연합국으로 참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산둥반도를 차지한 것에 불만을 품었고, 사인도 하지 않고 국제 회의장에서 철수한다. 이것은5․4운동과 공산주의 운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국제 정치는 이제유럽에만 힘을 기울일 수 없게 되었다. 전 세계가 국제 정치의 무대가 되었으며, 국제 정치가 좁은 유럽에서 벗어나 전 세계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 세계 국민의 감시 속에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을 전 세계 지도자들이 가지게 되었다. 특히, 도덕적으로 국제 평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늘어났고, 민주주의가 발달하였으며, 사회구성원간의 평등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게 되었다.
국제 정치에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 독일, 러시아 등의 전제 국가들이 무너지거나 해체되었고, 유럽 국가들의 절반에 가까운 국가에서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과학 기술이 발전했다. 그러나독가스와 같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무기들도 개발되어 나왔다. 최초의 독가스는 독일군이 사용하였으며, 연합군도 같은 무기로 대응했다. 독가스에 대한 유일한 대응책은 양측 모두 방독면 외에는 없었다. 독가스가 사용된 것은마른 전투 이래기관총,철조망,참호선으로 고착화된 전선을 뚫기 위해서였다.탱크도 참호선을 뚫기 위해 개발되었으며,대포도 점점 대구경화되었다. 장거리 사격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열차포(독일의크루프 열차가 유명하다)도 등장하였다.
기술의 개선은 전방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대표적인 사례로생리대를 들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여성의 사회 진출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러한 여성을 위해 생리대가 개발되었다.
만일 불타는 꿈속에서 그가 실려가는 마차 뒤를 따라 걸을 수 있다면 …… 독가스 찬 폐 속에서 쿨렁쿨렁 쏟아져 나오는 피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 친구여 영광의 이야기를 졸라대는 아이들에게 그렇게 진심으로 거짓말을 하지는 못할 테지 그 오래된 거짓말 말일세 "조국을 위해 몸바치는 것은 고귀한 영예라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벌어진 전쟁의 참상은 많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독일의 화가오토 딕스(독일어:Otto Dix, 1891년 ~ 1969년)는참호전의 참상을 그린 〈전쟁〉(1929년 작)에서 참호 속에 흩어진 사지와 흙더미에 거꾸로 박힌 시체, 피범벅이 된 진흙탕을 묘사하였다. 하필이면 왜 저렇게 끔찍하게 묘사하였느냐는 사람들의 질문에 딕스는 이렇게 대답했다. "바로 저랬다. 나는 보았다."[151]
한편영국의 시인윌프레드 오언(영어:Wilfred Owen, 1893년-1918년)은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반전시 《고귀한 영예》를 발표하였다.
영국도 미국 못지않게 신병모집 포스터를 만들었다. 영국은 독일보다 인구가 부족하여 미성년자들까지 징집한 적이 있었다(주로 공부할 의지가 없는 남학생들이 해당되었다). 실제로유틀란트 해전(1916년 덴마크 근처의 유틀란트 만에서영국 해군과독일 해군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투)에 참전한 어떤 수병의 나이는 만15세였다고 한다.
BE READY? JOIN NOW! : 준비가 되었습니까? 지금 참여하십시오!
TAKE UP THE SWORD OF JUSTICE : 정의의 칼을 잡으십시오.
WHO'S ABSENT? IS IT YOU? : 누가 빠졌습니까? 당신입니까?
THERE'S ROOM FOR YOU ENLIST TO-DAY : 당신이 오늘 지원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WOMEN OF BRITAIN SAY - “GO!” : 영국의 여성들은 말합니다. “가세요!”
DADDY, WHAT DID YOU DO IN THE GREAT WAR? : 아버지, 아버지는 1차 대전 때 무엇을 하셨나요?
↑David James Smith (2010).《One Morning In Sarajevo》. Hachette UK.He was photographed on the way to the station and the photograph has been reproduced many times in books and articles, claiming to depict the arrest of Gavrilo Princip. But there is no photograph of Gavro's arrest - this photograph shows the arrest of Behr.
↑《Reports Service: Southeast Europe series》. American Universities Field Staff. 1964. 44쪽. 2013년 12월 7일에 확인함.... the assassination was followed by officially encouraged anti-Serb riots in Sarajevo ...
↑Daniela Gioseffi (1993).《On Prejudice: A Global Perspective》. Anchor Books. 246쪽.ISBN978-0-385-46938-8.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Andric describes the "Sarajevo frenzy of hate" that erupted among Muslims, Roman Catholics, and Orthodox believers following the assassination on June 28, 1914, of Archduke Franz Ferdinand in Sarajevo ...
↑가나다라마Crowe, David (2001). 《The Essentials of European History: 1914 to 1935, World War I and Europe in Crisis》. Research & Education Assoc. 4–5쪽.ISBN978-0-7386-7106-2.
↑Dell, Pamela (2013). 《A World War I Timeline (Smithsonian War Timelines Series)》. Capstone. 10–12쪽.ISBN978-1-4765-4159-4.
↑Nova Scotia House of Assembly Committee on Veterans' Affairs (2006년 11월 9일),“Committee Hansard”, 《Hansard》, 2011년 11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Roger Chickering; Stig Förster; Bernd Greiner;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05), 《A world at total war: global conflict and the politics of destruction, 1937–1945》, Washington, D.C.: Cambridge University Press,73쪽,ISBN0-521-83432-5
↑Denis Mack Smith,Modern Italy: A Political History, Univ. of Michigan Press (1997) p. 262
↑Giuseppe Praga, Franco Luxardo.History of Dalmatia. Giardini, 1993. Pp. 281.
↑가나Paul O'Brien.Mussolini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ist, the Soldier, the Fascist. Oxford, England, UK; New York, New York, USA: Berg, 2005. Pp. 17.
↑Horne 1964, 323쪽. sfn 오류: 대상 없음: CITEREFHorne1964 (도움말)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영·일 동맹(英日同盟)을 이유로 연합국측에 가담하여 참전했는데 그 진의는 극동지역에 있어서의 권익 확대와 국제적인 발언권 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46쪽.ISBN89-86142-81-3.일본은 일영동맹에 근거하여 연합군측에 가담하고 이해 8월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였다1). ... 1) 참전의 목적은 가토 타카아키(加藤高明) 외상의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일영동맹의 약속과 독일의 근거지를 아시아로부터 일소하여 일본의 지위를 높인다는 전략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일본은 즉각 중국 산둥성(山東省)의 독일 이권을 차지하고 독일령 남양군도(南洋群島)를 점령했다.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46쪽.ISBN89-86142-81-3.육군은 독일의 아시아 근거지인 중국의 산동반도의 교주만(膠州灣)을, 해군은 태평양의 독일령 남양군도를 점령하였다.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46쪽.ISBN89-86142-81-3.그러나 영국이 요청한 일본군의 유럽파병은 이루이지지 않았고, 1917년에 대독일전에서 승리한 후에 일본이 점령한 독일령 남양군도와 산동반도에서의 독일의 이권을 일본으로의 이양을 영불 양국이 승인하는 조건으로 소함대를 지중해 방면에 파견했을 뿐이었다.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46~247쪽.ISBN89-86142-81-3.더욱이 세계대전으로 유럽열강이 아시아에 눈을 돌릴 여력이 없는 것을 본 일본은 1915년 중국의 원세개(袁世凱) 정권에게 중국에서의 권익확대를 위한 21개조의 요구를 제출하였다. 중국측은 이를 쉽게 용인하지 않았지만 일본은 최후통첩을 보내 강력하게 요구하여 대부분을 승인시켰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격한 배일운동이 일어났으며3) 열강도 일본의 이러한 행동에 의심을 갖게 되었다. ... 3) 특히 파리강화회담이 열리던 1919년에 5․4운동이라 불리는 격렬한 배일운동이 일어났다.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247쪽.ISBN89-86142-81-3.일본은 미국․영국과의 약속한 72,000명이 넘는 병력을 파견하여 전비 10억엔, 사망자 3,500명, 부상자 2만 명 이상의 대가를 치렀지만 혁명세력의 저항에 당초의 목적은 실현하지 못하였다.
Bade, Klaus J; Brown, Allison (tr.) (2003), 《Migration in European History》, The making of Europe, Oxford: Blackwell,ISBN0-631-18939-4,OCLC52695573 (translated from the German)
Baker, Kevin (June 2006), “Stabbed in the Back! The past and future of a right-wing myth”, 《Harper's Magazine》
Balakian, Peter (2003), 《The Burning Tigris: The Armenian Genocide and America's Response》, New York: HarperCollins,ISBN978-0-06-019840-4,OCLC56822108
Bass, Gary Jonathan (2002), 《Stay the Hand of Vengeance: The Politics of War Crimes Tribunals》,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4pp쪽,ISBN0-691-09278-8,OCLC248021790
Blair, Dale (2005), 《No Quarter: Unlawful Killing and Surrender in the Australian War Experience, 1915–1918》, Charnwood, Australia: Ginninderra Press,ISBN1-74027-291-9,OCLC62514621
Cockfield, Jamie H (1997), 《With snow on their boots : The tragic odyssey of the Russian Expeditionary Force in France during World War 1》, Palgrave Macmillan,ISBN0-312-22082-0
Cook, Tim (2006), “The politics of surrender: Canadian soldiers and the killing of prisoners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70 (3): 637–665,doi:10.1353/jmh.2006.0158,ISSN0899-3718
Dupuy, R. Ernest and Trevor N. (1993), 《The Harper's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4th Edi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ISBN978-0-06-270056-8
Encyclopaedia Britannica (12th ed. 1922) comprises the 11th edition plus three new volumes 30-31-32 that cover events since 1911 with very thorough coverage of the war as well as every country and colony.partly online and list of article titles
Fromkin, David (2001),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New York: Owl Books, 119쪽,ISBN0-8050-6884-8,OCLC53814831
Fromkin, David (2004), 《Europe's Last Summer: Who Started the Great War in 1914?》, New York: Alfred A. Knopf,ISBN0-375-41156-9,OCLC53937943
Heyman, Neil M (1997), 《World War I》, Guides to historic ev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ISBN0-313-29880-7,OCLC36292837
Hickey, Michael (2003), 《The Mediterranean Front 1914–1923》, The First World War4, New York: Routledge, 60–65쪽,ISBN0-415-96844-5,OCLC52375688
Hinterhoff, Eugene (1984), Young, Peter (편집), “The Campaign in Armenia”, 《Marshall Cavendish Illustrated Encyclopedia of World War I》 (New York: Marshall Cavendish)ii,ISBN0-86307-181-3
Hooker, Richard (1996),《The Ottoman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1999년 10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30일에 확인함
Horne, John; Kramer, Alan (2001), 《German Atrocities, 1914: A History of Denial》, Yale University Press,OCLC47181922
Jones, Howard (2001), 《Crucible of Power: A History of US Foreign Relations Since 1897》, Wilmington, Delaware: Scholarly Resources Books,ISBN0-8420-2918-4,OCLC46640675
Keene, Jennifer D (2006), 《World War I》, Daily Life Through History Series,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5쪽,ISBN0-313-33181-2,OCLC70883191
Kernek, Sterling (December 1970), “The British Government's Reactions to President Wilson's 'Peace' Note of December 1916”, 《The Historical Journal》13 (4): 721–766,doi:10.1017/S0018246X00009481,JSTOR2637713
Lehmann, Hartmut; van der Veer, Peter 편집 (1999), 《Nation and religion: perspectives on Europe and Asia》,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ISBN0-691-01232-6,OCLC39727826
Lewy, Guenter (2005), 《The Armenian Massacres in Ottoman Turkey: A Disputed Genocide》, Salt Lake City, Utah: University of Utah Press,ISBN0-87480-849-9,OCLC61262401
Lyons, Michael J (1999), 《World War I: A Short History》 2판, Prentice Hall,ISBN0-13-020551-6
Ludendorff, Erich (1919), 《My War Memories, 1914–1918》,OCLC60104290 also published as《Ludendorff's Own Story, August 1914 – November 1918: The Great War from the Siege of Liège to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s Viewed from the Grand Headquarters of the German Army》. Harper.OCLC561160. (original titleMeine Kriegserinnerungen, 1914–1918)
Magliveras, Konstantinos D (1999), 《Exclusion from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Organisations: The Law and Practice behind Member States' Expulsion and Suspension of Membership》, Martinus Nijhoff Publishers,ISBN90-411-1239-1
Martel, Gordon (2003), 《The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Pearson Longman, Harlow
Mawdsley, Evan (2008), 《The Russian Civil War》 inburgh판, Birlinn location,ISBN1-84341-041-9
Meyer, Gerald J (2006), 《A World Undone: The Story of the Great War 1914 to 1918》, Random House,ISBN978-0-553-80354-9
Millett, Allan Reed; Murray, Williamson (1988), 《Military Effectiveness》, Boston: Allen Unwin,ISBN0-04-445053-2,OCLC220072268
Moon, John Ellis van Courtland (July 1996), “United States Chemical Warfare Policy in World War II: A Captive of Coalition Policy?”,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Society for Military History)60 (3): 495–511,doi:10.2307/2944522,JSTOR2944522
Morton, Desmond (1992), 《Silent Battle: Canadian Prisoners of War in Germany, 1914–1919》, Toronto: Lester Publishing,ISBN1-895555-17-5,OCLC29565680
Mosier, John (2001), 〈Germany and the Development of Combined Arms Tactics〉, 《Myth of the Great War: How the Germans Won the Battles and How the Americans Saved the Allies》, New York: Harper Collins,ISBN0-06-019676-9
Northedge, FS (1986), 《The League of Nations: Its Life and Times, 1920–1946》, New York: Holmes & Meier,ISBN0-7185-1316-9
Page, Thomas Nelson,《Italy and the World War》, Brigham Young University, Chapter XI cites "Cf. articles signed XXX inLa Revue de Deux Mondes, 1 and 15 March 1920"
Price, Alfred (1980), 《Aircraft versus Submarine: the Evolution of the Anti-submarine Aircraft, 1912 to 1980》, London: Jane's Publishing,ISBN0-7106-0008-9,OCLC10324173 Deals with technical developments, including the first dippinghydrophones
Prior, Robin (1999), 《The First World War》, London: Cassell,ISBN0-304-35256-X
Raudzens, George (October 1990), “War-Winning Weapons: The Measurement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in Military History”,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Society for Military History)54 (4): 403–434,doi:10.2307/1986064,JSTOR1986064
Schindler, J (2003), “Steamrollered in Galicia: The Austro-Hungarian Army and the Brusilov Offensive, 1916”, 《War in History》10 (1): 27–59,doi:10.1191/0968344503wh260oa
Shanafelt, Gary W (1985), 《The secret enemy: Austria-Hungary and the German alliance, 1914–1918》, East European Monographs,ISBN978-0-88033-080-0
Shapiro, Fred R; Epstein, Joseph (2006), 《The Yale Book of Quotations》, Yale University Press,ISBN0-300-10798-6
Souter, Gavin (2000), 《Lion & Kangaroo: the initiation of Australia》, Melbourne: Text Publishing,OCLC222801639
Speed, Richard B, III (1990), 《Prisoners, Diplomats and the Great War: A Study in the Diplomacy of Captivity》, New York: Greenwood Press,ISBN0-313-26729-4,OCLC20694547
Taylor, Alan John Percivale (1998), 《The First World War and its aftermath, 1914–1919》, Century of Conflict, 1848–1948, London: Folio Society,OCLC49988231
Taylor, John M (2007), “Audacious Cruise of the Emden”, 《The Quarterly Journal of Military History》19 (4): 38–47,doi:10.1353/jmh.2007.0331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10-07-26),ISSN0899-3718
Terraine, John (1963), 《Ordeal of Victory》, Philadelphia: J. B. Lippincott, 508pp쪽,ISBN0-09-068120-7,OCLC1345833
Tucker, Spencer C; Roberts, Priscilla Mary (2005), 《Encyclopedia of World War I》, Santa Barbara: ABC-Clio,ISBN1-85109-420-2,OCLC61247250
Tucker, Spencer C; Wood, Laura Matysek; Murphy, Justin D (1999),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ISBN978-0-8153-33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