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제초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초제로 인해 죽은 잡초

제초제(除草劑,문화어: 풀약)는 원하지 않는식물을 죽이는 데 쓰이는 물질이다. 제초제는농업과 잔디 관리에 널리 이용된다. 미국에서는 약 70%가 농약으로 이용하고 있다.[1]

제초제의 역사

[편집]

토양 산도, 염도, 비옥도 등의 농업예찰로서 제초제의 광범위한 사용에 우선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데에 쓰였다.[2] 기작과 침수 등의 기계적 잡초 방제는 잡초를 예찰하는 데에도 쓰였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자연에서 나던황산과 비소, 구리염,석유, 등을 잡초 예찰에 사용하였으나 대부분이 인체에 독극물이거나 불에 약하고 부식에 약했다. 또한 잡초 예찰에 있어 비효율적인 면이 있고 가격도 비쌌다.[3][4]

최초의 제초제

[편집]
제2차 세계대전 도중에 발견한 최초의 제초제.2,4-D

커다란 돌파 시도가제2차 세계대전 도중에 있었다. 잠재된 제초제 전쟁 속에서 영미는 독자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2,4-D라는 합성농약이었다.[5] 이 합성물은 임페리얼 케미컬 인더스트리(Imperial Chemical Industries)의 W. G. 템플먼(W. G. Templeman)이 처음으로 합성해낸 것이다. 1940년인돌아세트산나프탈렌아세트산과 함께 그의 작품은 ‘적절히 적용된 생장물질이 작물에 해가 되는 것 없이 곡물 중의 특정 광엽 잡초를 적절히 죽인다는 점‘을 시사했다.[6][7] 하지만 이러한 물질은 실제 농사 중 미생물의 쇠락으로 인해 토양의 수명이 굉장히 짧았고 가격도 너무 비쌌다. 1941년 즈음 템플먼 팀은 더욱 저렴한 값과 더 나은 효율로 같은 효과를 달성하도록 2,4-D 등 광범위한 종류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8] 동 년, 미국의 R. 포커니도 마찬가지로 성과를 달성해냈다.[9] 이와는 달리 로뎀스테드 실험연구소(Rodemsted Experimental Station)에서 일하던 주다 허쉬 카스텔(Judah Hirsch Quastell) 산하의 팀의 독자 연구에서도 같은 발견을 해냈다. 카스텔은 농업연구의회(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 이하 ARC) 하에서 수확량을 향상시킬 방법을 찾는 업무를 수행했다. 비활성물질보다는 역동체계로서의 토양을 분석함으로써 그는 관류灌流 등의 기술들을 적용할 수가 있었다. 또, 토양 중 미생물 활동에 대해 다양한 식물 호르몬제(발아 후 제초제의 일종), 저해제, 기타 농약의 영향을 정량화시키며 식물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늠도 할 수 있었다. 팀의 모든 작업이 기밀로 부쳐진 반면 특정 발견은 2,4-D처럼 종전 후 상업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10]

2,4-D는 1946년에 상업 출시가 되면서 농업 생산량에서 전지구적 혁명으로 촉발한, 최초로 성공한 선택성 제초제가 되었다. 이는,옥수수,수수, 등 벼과 및 수수과 작물에 대한 잡초 방제를 크게 강화시켰는데, 그 이유는쌍떡잎식물(광엽식물) 뿐만 아니라외떡잎식물(풀)도 제초하기 때문이다. 2,4-D의 값싼 가격 사람들이 오늘날까지 계속 이용하는 데에 이르게 해주었고 이는 세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초제 중 하나가 되는데 한 몫을 했다.[11]


분류:공해의 일부
오염
네팔 공장에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디지털

오늘날 쓰이는 제초제

[편집]

오늘날 쓰이는 제초제는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nvironmental Indicators of Pesticide Leaching and Runoff from Farm Fields | Analysis Publications | NRI | NRCS”. 2011년 6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2. Robbins, Paul (2007년 8월 27일). 《Encyclopedia of environment and societ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862쪽.ISBN 9781452265582.OCLC 228071686. 
  3. Kraehmer, Hansjoerg; Laber, Bernd; Rosinger, Chris; Schulz, Arno (2014년 11월 5일).“Herbicides as Weed Control Agents: State of the Art: I. Weed Control Research and Safener Technology: The Path to Modern Agriculture”. 《Plant Physiology》166 (3): 1119–1131.doi:10.1104/pp.114.241901.PMC 4226364.PMID 25104723. 
  4. Gianessi, Leonard P.; Reigner, Nathan P. (2007 4월). “The Value of Herbicides in U.S. Crop Production”. 《Weed Technology》21 (2): 559–566.doi:10.1614/WT-06-130.1.S2CID 86114859.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5. Andrew H. Cobb; John P. H. Reade (2011). 〈7.1〉.《Herbicides and Plant Physiology》. John Wiley & Sons.ISBN 9781444322491. 
  6. Troyer, James R. (2001 3월).“In the beginning: the multiple discovery of the first hormone herbicides” (영어). 《Weed Science》49 (2): 290–297.doi:10.1614/0043-1745(2001)049[0290:ITBTMD]2.0.CO;2.ISSN 0043-1745.S2CID 8563727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7. Hamner, Charles L.; Tukey, H. B. (1944).“The Herbicidal Action of 2,4 Dichlorophenoxyacetic and 2,4,5 Trichlorophenoxyacetic Acid on Bindweed”. 《Science》100 (2590): 154–155.Bibcode:1944Sci...100..154H.doi:10.1126/science.100.2590.154.PMID 17778584. 
  8. Templeman, W. G. (1945). “Harnessing the hormones”. 《Ctry. Life》 (98): 923. 
  9. Robert L Zimdahl (2007).《A History of Weed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미국 영어). Elsevier.ISBN 9780123815026. 
  10. Quastel, J. H. (1950). 《Agricultural Control Chemicals》 (영어). Advances in Chemistry1. American Chemical Society. 244–249쪽.doi:10.1021/ba-1950-0001.ch045.ISBN 978-0-8412-2442-1.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챕터= (도움말)
  11. “2,4-D Benefits”. 2015. 2015년 11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6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개제자=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
국가
기타
조원술
정원의 종류
원예
유기원예
식물 보호
관련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초제&oldid=40841882"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