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제주시

좌표:북위 33° 30′동경 126° 31′ / 북위 33.500° 동경 126.517° /33.500; 126.517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제주시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주시
濟州市
행정시
제주시의 위치
제주시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4, 3, 19
법정동40
청사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9길 10 (이도동)
단체장김완근(무소속)
국회의원:문대림(더불어민주당)
:김한규(더불어민주당)
지리
면적977.8km2
인문
인구489,567명
지역 부호
지역번호064
웹사이트https://www.jejusi.go.kr/index.ac

제주시(濟州市)는 대한민국제주특별자치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행정시이다. 과거북제주군에 속했던 제주읍이제주항을 중심으로 도시화되어 1955년자치시제주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가,2006년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과 함께 제주시의 동서로 접하던 자치군이었던북제주군과 통합하여행정시가 되었다.

역사

[편집]
 북제주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대에는탐라란 이름으로 불린 독립된 지역이었지만백제신라에 조공을 하는 등 간접적인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

938년고말로(高末老)가고려에 입조와 복속하였다. 1105년고려는 탐라라는 국호를 폐지하고 탐라군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구 지배층의 지방 지배는 인정되었다. 13세기 원 간섭기에 제주도는 몽골의 직할령이 되었다가 1294년에서는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다.

1402년(조선 태종 2)부터 실질적인 조선의 행정권에 포함되었으며, 1416년(태종 16) 한라산을 경계로 산북을제주목(濟州牧)으로 고치고 목사를 파견해 통치하였다.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23부의 하나인 제주부가 설치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근대에 들어와1901년이재수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다.

  • 1999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1999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

지리

[편집]

제주시는 화산체로 화산활동이 크게 5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소규모 용암 분출과 화산쇄설물의 분출은 총 79회 정도가 이루어졌다.

기후

[편집]

제주시의 연평균 기온은 16.2°C로 비슷한 위도를 갖는 세계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낮은 기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제주가 대륙 동안(東岸)의 해양도시로서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깊게 받아 저온이 되고 여름은 정반대로 해양의 영향을 받아 고온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주시는 우리나라에서는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에 속한다. 이는 6월말부터 7월 중순까지 강우전선으로 인한 강우와 9월초부터 중순까지 흐리며, 때때로 내리는 가을비 그리고 7~8월에 한두 번씩 휩쓸고 지나가는 태풍으로 인한 폭우 등이 포함된 것이다. 그리고 제주는 겨울에 북서계절풍이 탁월하여 지형적 강설이 빈번하다.[1] 또한2020년1월 7일에는 23.6도를 기록하여 대한민국 1월 관측사상 최고기온을 찍은 곳이기도 하다.[2]

주위의 해륙분포를 볼 때, 지구에서 가장 넓은 태평양의 가장자리인 북서태평양속에 있으면서아시아 대륙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다습한 해양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일년 내내 남서쪽에서 흘러드는 따뜻한 적도해류의 지류인쿠로시아 난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겨울에 북쪽에서 흘러오는북한해류나 황해의 찬 연안류같은한류의 영향을 직접 받지는 않는다.[3]

제주지방기상청 (제주시 건입동[4], 해발 20.79m)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23.6
(74.5)
24.5
(76.1)
28.1
(82.6)
30.9
(87.6)
33.1
(91.6)
34.5
(94.1)
37.5
(99.5)
37.5
(99.5)
35.1
(95.2)
32.1
(89.8)
26.7
(80.1)
23.3
(73.9)
37.5
(99.5)
일평균 최고 기온 °C (°F)8.6
(47.5)
9.9
(49.8)
13.3
(55.9)
18.0
(64.4)
22.1
(71.8)
24.9
(76.8)
29.3
(84.7)
30.1
(86.2)
26.1
(79.0)
21.6
(70.9)
16.4
(61.5)
11.0
(51.8)
19.3
(66.7)
일일 평균 기온 °C (°F)6.1
(43.0)
6.8
(44.2)
9.8
(49.6)
14.2
(57.6)
18.3
(64.9)
21.7
(71.1)
26.2
(79.2)
27.2
(81.0)
23.3
(73.9)
18.6
(65.5)
13.3
(55.9)
8.3
(46.9)
16.2
(61.2)
일평균 최저 기온 °C (°F)3.7
(38.7)
4.0
(39.2)
6.6
(43.9)
10.8
(51.4)
15.0
(59.0)
19.1
(66.4)
23.7
(74.7)
24.8
(76.6)
20.9
(69.6)
15.7
(60.3)
10.4
(50.7)
5.6
(42.1)
13.4
(56.1)
역대 최저 기온 °C (°F)−5.8
(21.6)
−6.0
(21.2)
−4.1
(24.6)
−0.2
(31.6)
4.0
(39.2)
9.2
(48.6)
15.0
(59.0)
15.8
(60.4)
9.8
(49.6)
5.5
(41.9)
0.5
(32.9)
−3.6
(25.5)
−6.0
(21.2)
평균강수량 mm (인치)67.5
(2.66)
57.2
(2.25)
90.6
(3.57)
89.7
(3.53)
95.6
(3.76)
171.2
(6.74)
210.2
(8.28)
272.3
(10.72)
227.8
(8.97)
95.1
(3.74)
69.5
(2.74)
55.6
(2.19)
1,502.3
(59.15)
평균 강수일수(≥ 0.1 mm)12.210.210.39.49.811.711.813.211.26.79.811.5127.8
평균 강설일수7.24.21.00.00.00.00.00.00.00.00.45.318.1
평균상대 습도 (%)64.063.363.264.868.477.978.376.273.766.465.064.168.8
평균 월간일조시간70.2110.0166.0196.5212.2159.7189.8195.1158.9173.3123.779.11,834.5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23년~현재)[5][6]
고산기상레이더관측소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해발 71.39m)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18.8
(65.8)
20.1
(68.2)
21.4
(70.5)
27.3
(81.1)
27.5
(81.5)
29.6
(85.3)
34.3
(93.7)
35.5
(95.9)
34.5
(94.1)
30.3
(86.5)
26.8
(80.2)
22.0
(71.6)
35.5
(95.9)
일평균 최고 기온 °C (°F)8.4
(47.1)
9.4
(48.9)
12.5
(54.5)
16.7
(62.1)
20.4
(68.7)
23.7
(74.7)
27.4
(81.3)
29.3
(84.7)
26.1
(79.0)
21.4
(70.5)
16.4
(61.5)
11.0
(51.8)
18.6
(65.5)
일일 평균 기온 °C (°F)6.1
(43.0)
6.6
(43.9)
9.4
(48.9)
13.4
(56.1)
17.1
(62.8)
20.7
(69.3)
24.9
(76.8)
26.4
(79.5)
23.0
(73.4)
18.5
(65.3)
13.5
(56.3)
8.5
(47.3)
15.7
(60.3)
일평균 최저 기온 °C (°F)3.8
(38.8)
4.1
(39.4)
6.5
(43.7)
10.5
(50.9)
14.3
(57.7)
18.4
(65.1)
22.9
(73.2)
24.1
(75.4)
20.6
(69.1)
15.9
(60.6)
10.9
(51.6)
5.9
(42.6)
13.2
(55.8)
역대 최저 기온 °C (°F)−6.2
(20.8)
−3.0
(26.6)
−2.3
(27.9)
3.3
(37.9)
9.2
(48.6)
12.7
(54.9)
16.8
(62.2)
17.1
(62.8)
14.8
(58.6)
7.3
(45.1)
0.8
(33.4)
−2.0
(28.4)
−6.2
(20.8)
평균강수량 mm (인치)40.6
(1.60)
47.8
(1.88)
76.2
(3.00)
94.7
(3.73)
117.7
(4.63)
158.1
(6.22)
167.7
(6.60)
201.9
(7.95)
120.4
(4.74)
56.9
(2.24)
60.2
(2.37)
40.7
(1.60)
1,182.9
(46.57)
평균 강수일수(≥ 0.1 mm)10.69.010.29.09.611.311.313.19.66.38.610.4119.0
평균상대 습도 (%)66.968.069.974.280.286.289.283.977.869.767.966.575.0
평균 월간일조시간95.4131.0175.4196.3205.3156.0172.6219.7187.4206.6150.7106.32,002.7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7][8]


행정

[편집]
제주시청

북제주의 산지천 하구에 있는제주도 유일의 개항장이며, 도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지이다. 이는 고대로부터 이용해 온 산지항을 축항하여 개조한 것이다. 육지와는 정기선이 운항되고 서쪽 교외에는 비행장이 있어 각지에 통한다. 해저의 암초와 풍랑을 막아 주는 섬이 없어 1926~1942년에 동·서 양측에 방파제를 구축하였다. 이 항구는 무역항일 뿐 아니라 어항으로도 중요하다.

1947년 산지항을제주항으로 개칭하는 동시에 개항장으로1955년9월 1일북제주군 제주읍을 제주시로 승격하였다.[9]2005년에는제주도 행정구역개편에 관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어 제주시와 북제주군의 통합을 지지하는 안이 채택되었으며,2006년7월 1일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과 함께북제주군과 통합하여행정시로 전환되었다.[10]

용암대지의 말단부에는 용천(湧泉)이 있어 인가가 가장 밀집하여 대도시를 이루고 있다. 시가는 해안을 따라 대상으로 발달되었으며, 매년 인구가 증가하여 서부지역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시내에는 도청과 시청을 비롯한 행정, 문화, 언론, 금융 기관 등을 비롯하여제주대학교, 3개의 전문대학, 초·중·고등학교 등이 있다.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제주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제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3면, 19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제주시의 인구는 493,538명이다.[11]


읍면동한자면적인구세대
한림읍翰林邑91.0921,15610,689
애월읍涯月邑202.1637,60117,341
구좌읍舊左邑185.9315,4348,000
조천읍朝天邑150.6425,72011,834
한경면翰京面79.039,4195,065
추자면楸子面7.051,566942
우도면牛島面6.181,685909
일도1동一徒1洞0.332,3611,402
일도2동一徒2洞2.1832,13313,376
이도1동二徒1洞0.697,6273,885
이도2동二徒2洞5.449,20221,263
삼도1동三徒1洞1.2713,3216,078
삼도2동三徒2洞0.837,9474,143
용담1동龍潭1洞0.616,8513,444
용담2동龍潭2洞4.9314,3496,443
건입동健入洞2.538,9364,203
화북동禾北洞8.2923,8539,684
삼양동三陽洞9.5326,18210,024
봉개동奉蓋洞47.345,2832,408
아라동我羅洞70.6438,90516,499
오라동吾羅洞28.7416,0636,348
연동連洞12.3242,28321,861
노형동老衡洞45.2455,50223,656
외도동外都洞8.422,3848,878
이호동梨湖洞2.564,4901,959
도두동道頭洞4.033,2851,556
제주시濟州市977.94493,538221,890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p.a.
1980290,116—    
1990341,482+1.64%
2000367,364+0.73%
2010401,192+0.88%
2015451,758+2.40%
2020492,306+1.73%
이 그래프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레거시 그래프 확장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새로운 차트 확장 기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출처: Citypopulation[12]

시청

[편집]
 제주시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주시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광

[편집]

교통

[편집]
제주국제공항

항공

[편집]

버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입니다.
제주시내의 섬식정류장과우진산전제 양문형 버스

급행버스,간선버스,지선버스 등 3가지가 존재하며,삼영교통,금남여객,극동여객,제주여객,삼화여객,동진여객,제주시 공영버스 등이시내버스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제주도는 2025년 국내 최초로 섬식정류장을 도입한 지자체로서, 제주시에는 섬식 정류장과 양문형 버스가 있다. 섬식정류장은 도로 중앙의 섬 같은 양방향 통합 정류장이며, 양문형 버스는 기존 버스와 같은 오른쪽에 있는 문 2개 이외에 왼쪽 가운데에도 문이 있는 버스를 말한다.[13]

시외버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제주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입니다.

주로 제주시내와서귀포시내에서지역으로 빠르게 이어주고 있다. 다만제주도에는 모든노선시외버스에서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제주도에는시외버스가 사실상 운행 종료와 함께 폐지된 상태다.

도로

[편집]

제주시내에는 국도는 물론 고속도로는 없다. 과거에는 국도 제11호선, 제12호선, 제16호선, 제95호선, 제99호선 등이 전부 113X번대의 지방도로 전환되었으며, 국지도는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99호선 단 두개뿐이다. 그래서 97번과 99번를 제외하면 전부지방도 뿐이다. 그 외에도 지방도가 아니라 일부의 지역 간선도로가 있으며, 추자도의 경우지방도 제1114호선이 놓여 있다.

철도

[편집]

철도는 과거에 부설된 경우는 있지만제주도는 본시부터순환철도건설할 계획도 있었으나 제주시에는철도가 당연히 없다. 이웃나라인일본오키나와현에 부설된도시 철도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선이 있는 것과 달리제주도에는 관통되어 있는철도교통은 당연히 없다. 하지만 장래에는호남고속철도제주도까지 연결될 계획에 있다. 그래서호남고속철도목포,해남땅끝마을,보길도 등지를 거쳐해저 터널로 계획할 예정에 있기 때문에호남고속철도제주도에 진입하게 되면제주도에는철도교통이 새로운 관문으로 예상된다.

교육

[편집]

학교

[편집]
 제주시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외에도특수학교제주영송학교,제주영지학교,제주제일고등학교 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등이 있다.

도서관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지역·국가도시
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춘천시 (2014년)
경기도수원시 (1997년)
서울특별시서대문구 (2003년)
인천광역시강화군 (1989년)
전라남도진도군(1989년)
전북특별자치도전주시 (2016년)
충청북도청주시 (2015년)
미국의 기미국네바다주라스베이거스 (1996년)
일본의 기일본도쿄도아라카와구 (2006년)
오이타현벳푸 시 (2013년)
와카야마현와카야마시 (1987년)
효고현산다시 (1997년)
중국의 기중국광시 좡족 자치구구이린 (1999년)
장쑤성양저우 (2000년)
장쑤성쿤산 (2002년)
지린성훈춘 시 (2007년)
캐나다의 기캐나다앨버타주캘거리 (1997년)
프랑스의 기프랑스루앙 (2004년)
오를리 (2009년)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오라동 마을 소개보관됨 2017-10-07 -웨이백 머신,2011년7월 확인
  2. https://www.youtube.com/watch?v=YiMv7uPbQVE
  3. “한국 지역별 기후특성 -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기상청》. 
  4. 청사는일도일동 관할이지만 노장(露場)은건입동에 걸쳐 있다. 기상청에서도 건입동 관측으로 기록한다.
  5.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6.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7.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8.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9. 법률 제368호 제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년8월 13일)
  10. 법률 제7849호 제주특별자치도 설치와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2006년2월 21일)
  11. 행정안전부 인구통계 참조.
  12. “South Korea: Provinces and cities” (영어). 
  13. "왼쪽 문으로 타라고?" 제주 국내 첫 섬식정류장·양문버스 혼란”. 《연합뉴스》. 2025년 5월 9일. 
이 문서에는다음커뮤니케이션(현카카오)에서GFDL 또는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제주시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라남도 진도군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완도군
전라남도 장흥군
남해남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청소재지: 이도2동
도청소재지: 제주시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국제
국가
지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주시&oldid=4068715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