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붕 | |
|---|---|
| 조선의우의정 | |
| 신상정보 | |
| 출생일 | 1484년 |
| 사망일 | 1548년 4월 21일 |
| 국적 | 조선 |
| 본관 | 온양 |
| 직업 | 문신 |
정순붕(鄭順朋,1484년[1] ~1548년4월 21일)은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자는 이령(耳齡), 호는 성재(省齋). 본관은온양(溫陽)으로,정탁(鄭鐸)의 3남이다.을사사화 3인방의 주역 중에 한 명이다.
중종 즉위년인1506년에 문과에 급제해서 주서가 되고1506년중종반정 후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전한을 거쳐 바로좌부승지에 초배되고 이후 다시동부승지로 옮겼다가 다시우부승지로 승진, 참찬관을 겸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형조참의로 복귀했지만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이후 전주부윤이 되지만 신사무옥으로 또 파직되었다. 이후 17년 동안 야인으로 있으면서 조정에 나가지 않다가,1538년에좌의정이던김안로가 사약을 마시고 죽은 뒤 복권되어 경기도관찰사로 복직해 관압사를 겸하고성균관대사성을 거쳐공조참판이 되었다. 이후윤원형,이기,허자와 가깝게 지내게 되고 평양영위사를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다시 외직에 나간다. 연이어서병조참판과사헌부대사헌을 거쳐한성부우윤으로 세자시강원부빈객을 겸하고형조판서로 역시 특진관을 겸했다. 이후형조판서,호조판서를 거쳐의정부우참찬이 되는데우참찬 시절윤원형 등과 소윤 일파가 되고 내의원제조를 겸하다가 이후 다시사헌부대사헌이 되었는데대사헌으로 동지성균관사를 겸하고 인종 때 동지중추부사를 지내다가형조판서,우참찬,대사헌을 거쳐 이후 명종 때 을사사화를 일으켜서 1등공신이 되며 바로공조판서를 거쳐서우찬성이 된다. 그리고 온양부원군에 봉해진다. 이후 정승의 반열에 올라우의정이 되었다. 이후 정미사화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사후 선조 때 직위가 추탈되었다.
처음에는조광조와 함께 조정을 개혁하려고 했으나, 나중에 을사사화를 일으키며 결국 좋지 않은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후손들은 별탈없이 벼슬 생활을 계속 하게 된다.학문에 뛰어나 명성이 높았지만, 결국 부패해진 대신이기도 했다.
정순붕에게는정렴,정현,정작 등 세 아들이 있었는데 정렴은 아버지의 악행을 말렸고 아버지가 옳지 못한 길을 가는 것을 반대했으나 정순붕은 그걸 듣지 않았고 반대로 정현은 아버지의 악행을 적극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