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진 Jeongdongjin Station | |
|---|---|
구 역사(신 역사 이전전, 역명판 교체 전) | |
역명판(신역사 이전전 촬영) | |
![]() | |
| 개괄 |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강릉관리역 |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강동면 정동역길 17 |
| 좌표 | 북위 37° 41′ 28.89″동경 129° 1′ 59.94″ / 북위 37.6913583° 동경 129.0333167° /37.6913583; 129.0333167 |
| 개업일 | 1962년11월 6일 |
| 종별 | 보통역 |
| 승강장 수 | 2면 3선 (1섬1상대식)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거리표 | |
| 영동본선 | |
| 영주 기점 176.5 km | |
정동진역(Jeongdongjin station, 正東津驛)은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강동면정동진리에 위치한영동선의철도역이다.무궁화호,누리로,KTX-이음이 정차하며, 역 구내에 정동진 레일바이크가 있다.
1962년11월 6일에 여객과 화물을 취급하는간이역으로 개업했다. 이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폐역이 고려되었으나,1995년에SBS에서 방영한드라마모래시계에서 여주인공인 윤혜린(고현정 역)이 바닷가 간이역에서 열차를 기다리던 중 경찰에 연행되는 장면을 전철화 이전의 역사에서 촬영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광 수요가 급증해 폐역을 면했다. 또한 이듬해 일어난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작전 반경에 이 역이 포함되어 언론에 자주 나왔다. 원래는비둘기호만 정차하다가, 수요가 급증하면서새마을호까지 정차하는 주요 철도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관광 수요가 급증하자철도청(현한국철도공사)은 1996년 여객 취급을 일시 중지하고 승강장 구조를 변경해1997년에 여객 취급을 재개하였다. 이 때문에 모래시계 촬영 때와는 역 구내 구조가 달라졌다. 가장 큰 변경점은 바닷가 쪽에 없었던 3번 승강장이 추가되었으며, 이 승강장이 바로 백사장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입장권으로 역 승강장은 물론 해수욕장까지 나갈 수 있는 특이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2014년9월 15일강릉선 공사와 함께강릉역의 영업이 중단되자, 4년간 임시로 시·종착역으로 운영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에 신역사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17년 12월 22일에강릉역이 영업을 재개하였으나, 기존 청량리/동대구/부전/부산 - 강릉 무궁화호는2018년 동계 올림픽이 끝나고도 5개월이 지난2018년7월 18일에 강릉역까지 운행을 재개하였다.
2020년 3월 2일 강릉삼각선의 개통으로 일부강릉선 KTX 열차들이동해역으로 운행함에 따라 KTX가 정차하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기존 청량리/동대구/부전/부산행 무궁화호가동해역으로 단축,일원화되면서 동해 - 정동진 - 강릉 누리로가 신설되었다. 이 열차는 2020년 6월 1일부터 모두 누리로로 통합되었다.
2020년 8월 19일동해산타열차가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고, 2022년 2월 10일에 기존 역사 주차창의 6배규모로 증축공사가 착공했다.[1]
또한기네스 세계 기록에 바다와 가장 가까운 기차역으로 등재되었다.
2023년부터 공사 중인 신 역사는 본래 2024년까지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2027년으로 미루어졌다.
역의 이름인 “정동진”은,조선시대에한양광화문에서 보아 정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것이다.[2]
관광명소로 유명해지기 이전에는비둘기호만 정차하였으나, 관광명소로 각광받기 시작한 이후로는 모든새마을호가 정차하기도 하였다. 현재는영동선새마을호가 폐지되어새마을호는 더 이상 이 역을 지나가지 않으나, 대신 이 역을 지나는 모든KTX와누리로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또한, 매년 연말(12월 하순) ~신정(1월 초순), 또는 여름 휴가철(주로7월 하순 ~8월 중순)에는 각각해돋이 관광열차와 피서관광열차가 전국 각지에서 이 역까지 운행한다. 특히수원,대전,광주(송정리),목포,여수엑스포,창원 등지에서 오는 임시 장거리 관광열차가 투입되기도 한다.
강릉삼각선이 개통된2020년3월 2일부터 일부강릉선KTX가 정동진역에 정차한다. 이와 동시에 청량리/동대구/부전/부산방면무궁화호가동해역으로 단축되어 운행이 중지됐다. 따라서 서울 방면 여객열차는 KTX밖에 없고, 영주, 제천 방면 승객들은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셔틀열차 또는KTX를 타고동해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정동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정동진역 배선도 | |||||||||||||||||||||||||||||||||||||||||||||||||||||||||||||||||||||||||||||||||||||||||||||||||||||||||||||||||||||||||||||||||||||||||||||||||||||||||||||||||||||||||||||||
|---|---|---|---|---|---|---|---|---|---|---|---|---|---|---|---|---|---|---|---|---|---|---|---|---|---|---|---|---|---|---|---|---|---|---|---|---|---|---|---|---|---|---|---|---|---|---|---|---|---|---|---|---|---|---|---|---|---|---|---|---|---|---|---|---|---|---|---|---|---|---|---|---|---|---|---|---|---|---|---|---|---|---|---|---|---|---|---|---|---|---|---|---|---|---|---|---|---|---|---|---|---|---|---|---|---|---|---|---|---|---|---|---|---|---|---|---|---|---|---|---|---|---|---|---|---|---|---|---|---|---|---|---|---|---|---|---|---|---|---|---|---|---|---|---|---|---|---|---|---|---|---|---|---|---|---|---|---|---|---|---|---|---|---|---|---|---|---|---|---|---|---|---|---|---|---|
| |||||||||||||||||||||||||||||||||||||||||||||||||||||||||||||||||||||||||||||||||||||||||||||||||||||||||||||||||||||||||||||||||||||||||||||||||||||||||||||||||||||||||||||||
승강장 형태는 2면 3선의혼합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동진역사는 1번 승강장 방향에 위치하며,정동진 해수욕장은 3번 승강장 옆에 위치한다.KTX가 정차하는 역들 중에서곡성역과 육교나 지하도 없이 건널목을 건너야만 승강장에 갈 수 있는 둘뿐인 역이다.
| ↑묵호 |
| 3 | |21 | |
| 강릉(영동선) ↓/진부(강릉선) ↓ |
| 1 | 영동선 | KTX 동해산타열차 누리로 | 동해 · 청량리 · 서울 · 강릉 방면 |
|---|---|---|---|
| 2 | |||
| 3 |
| 영동선 | ||
|---|---|---|
| 묵호 동해 방면 | KTX 영동선 | 진부 서울 방면 |
| 묵호 동해 방면 | 누리로 영동선 · 강릉선 | 강릉 강릉 방면 |
| 묵호 분천 방면 | 동해산타열차 | 강릉 강릉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