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子音,영어 :consonant ) 또는닿소리 는성문 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 1] 모음 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조음 음성학 에서는 자음을 기술하기 위하여모음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자음 음소 목록과 각 자음 음소의변이음 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특성을 관찰하여 기술한다.
어떻게 발동되는가? - 폐소리, 목소리, 입안소리 기류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날숨 소리, 들숨 소리 성대가 진동하는가? - 유성음, 무성음 성대의 불완전한 진동이나 개방이 수반되는가? - 속삭임 소리, 짜내기 소리, 유성 속삭임 소리, 유성 짜내기 소리, 유성 날숨 소리 비강이 닫히는가? - 구강음, 비강음 (혹 비음) 막음, 좁힘 등이 어떻게 수반되는가?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성문의 막음이나 좁힘이 수반되는가? - 성문 파열음, 성문 마찰음 막음, 좁힘이 어디에서 형성되는가? - 양순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막음, 좁힘을 일으키는 조음 기관은? 조음 기관의 긴장을 수반하는가? - 경음, 연음 기식을 수반하는가? - 유기음, 무기음 위와 같은 특성 중 한국어 또는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외국어들 [모호한 표현 ] 의 자음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가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기식, 긴장, 성대 진동이 수반되는지에 따라 세부적인 구분이 이루어지게 된다.
조음 방법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조음 위치 :양순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기식 유무:유기음 ,무기음 긴장 유무:경음 ,연음 성대 울림:유성음 ,무성음 문자로서의 자음은 또한 자음 소리를 내는 알파벳이나 한글의 글자를 뜻하기도 한다.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V ,X ,Z 이며, 가끔W ,Y 도 포함한다.
Y가 "yoke"와 같이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는 자음 [j]이며, "myth"와 같이 모음을 나타낼 때는 모음 [ɪ]이다. 예를 들면, W는 "crwth" "cwm"와 같이 드물게 나타나는 단어(대부분웨일스어 에서 빌려온 것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항상 자음이다. 닿소리: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겹닿소리:ㄲ ,ㄸ ,ㅃ ,ㅆ ,ㅉ 겹받침:ㄲ ,ㅆ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사라진 닿소리:ㅸ ,ㅿ ,ㆁ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무성음 , 오른쪽이유성음 이다.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