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입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경  절기 양력
315°입춘2/3~5
330°우수2/18~19
345°경칩3/5~6
춘분3/20~21
15°청명4/4~5
30°곡우4/20~21
여름
45°입하5/5~6
60°소만5/21~22
75°망종6/5~6
90°하지6/21~22
105°소서7/7~8
120°대서7/22~23
가을
135°입추8/7~8
150°처서8/22~24
165°백로9/7~8
180°추분9/22~23
195°한로10/8~9
210°상강10/23~24
겨울
225°입동11/7~8
240°소설11/22~23
255°대설12/7~8
270°동지12/21~22
285°소한1/5~6
300°대한1/19~21

입추(立秋)는24절기의 13번째로 태양 황경(黃經)이 135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8월 7일 내지8월 8일에 든다.

기후

[편집]
  • 24절기는중국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한국에서는 입추를 전후로 한 8월 상순이 오히려 1년 중 더위의 절정을 맞이하는 시기이다.

풍속

[편집]
  • 입추 무렵에 김장용 배추나 무를 심고 서리 내리기 전에 거둔다. 또한 논밭의 잡초를 뽑는 김매기도 끝나가므로 농한기(휴농기)에 접어드는 시절이다.

기상학적 계절 구분과의 비교

[편집]

나라별 현황

[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4년 5월)

대한민국

[편집]

기상학에서는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20°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가을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2][3][4][5]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30년 단위, 10년 단위 평균가을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6][7]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30년 단위가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71년 ~ 2000년9월 23일 ~ 11월 30일69일18.9%
21981년 ~ 2010년9월 24일 ~ 12월 2일70일19.2%
31991년 ~ 2020년9월 26일 ~ 12월 3일69일18.9%
  • 서울의 30년 단위가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71년 ~ 2000년9월 21일 ~ 11월 21일62일17.0%
21981년 ~ 2010년9월 23일 ~ 11월 23일62일17.0%
31991년 ~ 2020년9월 25일 ~ 11월 23일60일16.4%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10년 단위가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9월 24일 ~ 12월 1일69일18.9%
22001년 ~ 2010년9월 26일 ~ 12월 4일70일19.2%
32011년 ~ 2020년9월 29일 ~ 12월 1일64일17.5%
  • 서울의 10년 단위가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연도시작일 ~ 종료일기간비율
11991년 ~ 2000년9월 22일 ~ 11월 22일62일17.0%
22001년 ~ 2010년9월 25일 ~ 11월 29일66일18.1%
32011년 ~ 2020년9월 29일 ~ 11월 22일55일15.1%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네이버 지식in. 2023년 6월 15일)
  2.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2021년 4월 30일) 11쪽, 14쪽, 43쪽 참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열린마당 → 발간물 → 기후변화 시나리오)
  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후통계분석 → 평년값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4.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5.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5°C~20°C인 경우이다.
  6. 관측자료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과거 기후변화 → 관측자료 → 기타분석 → 계절길이
  7. 일별자료 기상청 날씨누리 → 관측·기후 → 육상 → 과거관측 (1960년부터 자료가 있음)
  8.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보관됨 2023-12-09 -웨이백 머신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9. 스냅타임 동지는 천문현상…"기후변화와 관계없어" 이데일리. 2018년 12월 22일 (윤기한 기상청 예보관은 “24절기 중 천문현상을 반영한 절기인 동지, 하지(6월21일), 추분(9월23일)은 기상현상이 아니라 천문현상”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절기의 기상 특징이 퇴색했지만 동지와 하지, 추분은 절기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하지는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아지면서 낮이 1년 중 가장 길다. 춘분은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춰 낮과 밤의 길이 같고 추분도 태양이 추분점을 통과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10.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을 통해 계산하면, 태양의황경 135°인 입추와, 태양의적위 약 +11.7°인처서 사이는 몇십 일 차이가 난다. 이는 적위가 0°일 때와, 황경이 0°일 때 (춘분,춘분점), 그리고 적위가 +23.44°일 때와, 황경이 90°일 때 (하지,하지점), 또 적위가 0°일 때와, 황경이 180°일 때 (추분,추분점), 또 적위가 -23.44°일 때와, 황경이 270°일 때 (동지,동지점)의 사이가 몇십 분~몇 시간 차이인 것에 비해, 차이가 큰 것이다. (적위 참고)
  11. 전세계적으로 보면,위도가 높아질수록,하지동지 때의 "낮의 길이" 차이는 점점 커진다. 즉,북위 66.5° 이상인 지역에서는,하지 때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 이고,동지 때는 0%이다. 반대로,남위 66.5° 이상인 지역에서는,하지 때는 0% 이고,동지 때는 100%이다. (백야,극야 참고)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입추&oldid=4042025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