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제군 | |||
|---|---|---|---|
| |||
인제군의 위치 | |||
| 행정 | |||
| 국가 | 대한민국 | ||
| 행정 구역 | 1읍, 5면 | ||
| 청사 소재지 | 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상동리 349-6) | ||
| 단체장 | 최상기(더불어민주당) | ||
| 국회의원 | 이양수(국민의힘,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 지리 | |||
| 면적 | 1,646.08km2 | ||
| 인문 | |||
| 인구 | 32,192명 (2022년 2월년) | ||
| 세대 | 16,380세대 (2021[1]년) | ||
| 상징 | |||
| 나무 | 주목 | ||
| 꽃 | 철쭉 | ||
| 새 | 백비둘기 | ||
| 지역 부호 | |||
| 웹사이트 | http://www.inje.go.kr/ | ||

인제군(麟蹄郡)은대한민국강원특별자치도 북부에 있는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영서북부지역에 위치한군이다.철원군·양구군·고성군과 더불어 휴전선에 접한 곳이다. 동쪽으로는고성군·속초시·양양군, 서쪽으로는양구군·춘천시[2], 남쪽으로는홍천군에 접한다. 군내는 태백산맥이 종관하는 영서 산악지대로서 무산(1,319m)·향로봉(1,293m)·설악산(1,708m)·점봉산(1,424m)·가칠봉(1,240m) 등이 연봉을 이루어 높고 험준하며, 서쪽은 도솔산맥이양구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군청 소재지는 인제읍 상동리이고, 행정구역은 1읍 5면이다.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烏斯回)이라 하였는데 고려 때 인제로 개칭하고, 춘천에 귀속되었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예속하였다.고려 공양왕 1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된 유배지였다.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인제군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남전리의 일부 | 홍천군신남면(新南面) |
| 인제군기린면 현리, 서리, 방동리, 상남리, 하남리, 진동리의 일부, 북리의 일부 | |
| 인제군인제면 원대리의 일부 | |
| 인제군내면 | 홍천군내면 |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
| 신 행정구역 |
|---|
| 인제군 인제면, 북면, 서화면, 남면, 기린면, 해안면(양구군에서 편입) |
남쪽은홍천군, 서쪽은춘천시와양구군(광치령), 동쪽은속초시(미시령),고성군(진부령),양양군(한계령)과 접해 있다. 북쪽에 있는 서화면 일부는휴전선에 접해 있어서 일부에는 민통선이 설정되어 있다. 대한민국기초 자치 단체 가운데홍천군 다음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인구밀도는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낮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동쪽태백산맥에는무산(1,320m)·향로봉(1,298m)·설악산(1,708m),오대산(1,568) 등이 솟아 있고, 서쪽은대암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하천은북한강의 지류소양강이 주류가 되어 남류하다가 인제 부근에서내린천 등 지류와 합류한다. 연안에는 약간의 범람원과 작은 선상지가 발달, 그 중 서화분지가 비교적 크다.
내륙 산간지이기 때문에 여름·겨울의 기온 교차뿐만 아니라 주야의 교차도 심한 내륙 고원 기후를 나타내며, 강수량은 여름에 집중적으로 많고, 겨울의 적설도 많다. 연평균 기온 10.4 , 1월 평균 -4.7, 8월 평균 23.4, 최고 기온 39 (1942. 7), 최저 기온 -30 (1927. 1), 연평균 강수량 1,205mm이다.
| 인제기상관측소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해발 201.78m)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13.2 (55.8) | 18.9 (66.0) | 23.5 (74.3) | 31.2 (88.2) | 33.0 (91.4) | 35.4 (95.7) | 36.8 (98.2) | 37.7 (99.9) | 34.1 (93.4) | 28.6 (83.5) | 24.2 (75.6) | 16.9 (62.4) | 37.7 (99.9)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5 (34.7) | 4.7 (40.5) | 10.5 (50.9) | 17.8 (64.0) | 23.2 (73.8) | 27.0 (80.6) | 28.2 (82.8) | 28.8 (83.8) | 24.7 (76.5) | 19.1 (66.4) | 11.0 (51.8) | 3.5 (38.3) | 16.7 (62.1) |
| 일일 평균 기온 °C (°F) | −4.7 (23.5) | −1.8 (28.8) | 4.0 (39.2) | 10.6 (51.1) | 16.1 (61.0) | 20.4 (68.7) | 23.3 (73.9) | 23.4 (74.1) | 18.4 (65.1) | 11.8 (53.2) | 4.8 (40.6) | −2.1 (28.2) | 10.4 (50.7)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10.4 (13.3) | −7.7 (18.1) | −1.9 (28.6) | 3.8 (38.8) | 9.6 (49.3) | 15.1 (59.2) | 19.6 (67.3) | 19.7 (67.5) | 14.0 (57.2) | 6.4 (43.5) | −0.4 (31.3) | −7.3 (18.9) | 5.0 (41.0) |
| 역대 최저 기온 °C (°F) | −25.9 (−14.6) | −24.5 (−12.1) | −14.9 (5.2) | −7.0 (19.4) | 0.1 (32.2) | 3.4 (38.1) | 9.8 (49.6) | 9.0 (48.2) | 0.7 (33.3) | −6.5 (20.3) | −14.0 (6.8) | −22.8 (−9.0) | −25.9 (−14.6) |
| 평균강수량 mm (인치) | 16.6 (0.65) | 22.8 (0.90) | 32.1 (1.26) | 69.8 (2.75) | 92.6 (3.65) | 116.8 (4.60) | 332.4 (13.09) | 287.6 (11.32) | 127.4 (5.02) | 44.8 (1.76) | 40.9 (1.61) | 20.8 (0.82) | 1,204.6 (47.43) |
| 평균 강수일수(≥ 0.1 mm) | 5.9 | 5.7 | 7.8 | 8.7 | 9.4 | 10.3 | 15.2 | 14.0 | 8.9 | 5.8 | 7.5 | 5.9 | 105.1 |
| 평균상대 습도 (%) | 65.0 | 61.1 | 58.4 | 56.4 | 63.7 | 69.7 | 78.5 | 79.0 | 76.8 | 72.9 | 69.0 | 67.3 | 68.2 |
| 평균 월간일조시간 | 158.8 | 158.3 | 187.5 | 199.4 | 215.6 | 199.2 | 144.9 | 159.7 | 165.0 | 166.9 | 136.1 | 147.1 | 2,038.5 |
|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13][14] | |||||||||||||
인제군은경기 지괴 북동부에 위치해 있어, 주요 암석인고원생대편마암과 이를 관입한중생대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부의설악산 지역은중생대의화강암이 더 많이 분포한다.[15][16][17]
소양강-북천(또는인제 단층) 북서부에 해당하는 지역에는고원생대의 (경기변성암복합체)흑운모편마암(PRbgn)과 화강편마암(PRggn), 석영운모편암(PRqms),경기변성암복합체 석류석화강편마암(PRgtgn), 미그마타이트질 흑운모편마암(PRmbgn), 석영편암(PRqsch) 등편마암·편암 계열의 암석이 주로 분포한다.[16][18]
중생대 화강암은 동부설악산 지역에 대규모로 분포한다. 중생대의 퇴적암은 백담분지에만 분포한다.
인제군의소양강을 따라하안단구 퇴적층이 존재한다.[16]
설악산 지역은 대부분중생대에 관입한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쥐라기 인제 화강암(Jigr)과백악기 설악산 화강암(Ksgr)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설악산 일대에는 다수의단층들이 분포하고 있다.[17]
인제군해안면의해안분지는고원생대편마암류를 관입한쥐라기 해안 화강암(Jhgr)이 주변 암석에 비해 풍화에 약해 더 빨리 침식되어 분지가 형성된 차별 침식의 결과로 생성되었다.[18]
인제군의단층은 주로 북동부지역에 몰려 있으며 총 연장 100km 이상의 대규모 단층만 2개가 통과한다.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며, 면적은 1646.33km2로 전국의 1.7%, 강원도의 9.9%이다. 전면적의 90% 이상이 임야로 구성되며, 해발 800m이상의 준령이 20여개 있다. 인구는 3만3천여명 (한때 60000명대도 기록)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9.5%가인제읍에 거주한다.[19] 성비는 119로,고성군 (115)보다는 높고화천군 (127)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 읍면동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 행정 지도 |
|---|---|---|---|---|---|
| 인제읍 | 麟蹄邑 | 9,297 | 4,066 | 315.24 | |
| 인제읍 귀둔출장소 | 547 | 240 | |||
| 남면 | 南面 | 3,867 | 1,720 | 243.24 | |
| 북면 | 北面 | 8,274 | 3,675 | 349.06 | |
| 기린면 | 麒麟面 | 5,162 | 2,214 | 275.09 | |
| 서화면 | 瑞和面 | 3,371 | 1,607 | 265.37 | |
| 상남면 | 上南面 | 1,649 | 781 | 197.54 | |
| 인제군 | 麟蹄郡 | 33,352 | 15,608 | 1,645.54 | |

농경지는 하천의 범람원·산록부·선상지·분지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밭이 많다. 잡곡·감자가 많이 나며 양봉은 전국 제1로서 밀원지대를 이루고 있다. 임야 면적이 넓고 임상이 좋아 용재와 신탄을 많이 산출하여 남한 제1의 임업지이다. 그 밖에 버섯과 산나물, 인삼·당귀·복령·사향·웅담 등 한약재도 많이 난다. 주민의 5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고랭지 채소인 배추와 무·쌀과 잡곡·감자·누에고치·소·꿀 등이다. 총임야면적 15만 9,452 중 대부분이 임목지이다.
인진쑥·치커리·빙어·황태·석공예·목공예 등이 유명하다.
도로에 의하여홍천군·춘천시·양구군·간성읍·속초시·양양군 등지와 연결된다. 홍천~인제~양양 간 국도의 포장 공사가1980년에 완공되고,서울양양고속도로인제 나들목이 개통되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해서울특별시,춘천시,양양군과의 통행이 한층 더 가까워졌다. 동해안과는진부령,미시령,한계령을 넘어 연결된다. 현재는철도가 없으나, 항후춘천-속초선이 개통되면 북면 원통리와 용대리에 역사가 들어설 예정이다.
| 지역 & 국가 | 도시 |
|---|---|
![]()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 |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 |||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