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주 李弘胄 | |
|---|---|
| 조선의 영의정 | |
| 신상정보 | |
| 출생일 | 1562년 |
| 사망일 | 1638년 |
| 국적 | 조선 |
| 직업 | 문신 |
이홍주(李弘胄,1562년 ~1638년)은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백윤(伯胤), 호는 이천(梨川), 시호는 충정(忠貞), 본관은전주이다.정종 (조선)의 6대손이다.
1582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의금부낭관이 되고 159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주서, 교산찰방을 거쳐 예조, 호조, 병조, 이조의 정랑, 좌랑 등을 역임하고 1609년, 부수찬, 교리, 의주부윤, 안동부사를 거쳐 1618년, 전라도순찰사로 나갔다가 돌아와 형조참판을 역임하고 1619년, 사은사로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진주사로 또다시 선발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1620년에는 병조참판까지 되고 1621년, 함경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참판에 이어 1624년, 도승지가 되고이괄의 난이 일어나자장만의 뒤를 이어 도원수로 크게 공을 세우고 대사헌을 거쳐 1625년, 우참찬, 좌참찬이 되고 이어 호태감접반사, 대사헌, 전주부윤, 도승지, 병조판서를 연이어 지냈다. 1632년, 숭정대부에 오르고 예조판서와 병조판서를 거쳐 1636년, 이조판서가 되고 그해 우의정이 되고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화의는 교섭하였으나 항복은 끝까지 반대하였으며 1637년, 영중추부사가 되고 1638년,영의정까지 되었다.
《선원록》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그의 첩 고령신씨는 신례(申欚)의 서녀이다. 신례는신숙주의 후손으로 정랑으로 승지에 추증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이며 신수경은 신함(申涵)의 아들혜숙옹주와 신항(申沆)의 양자가 되었다.
|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조선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