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이스터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파 누이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화에 대해서는라파 누이 (영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스터섬 / 파스쿠아섬
지도

지리
위치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
좌표남위 27° 9′ 00″서경 109° 25′ 5″ / 남위 27.15000° 서경 109.41806° /-27.15000; -109.41806

면적약 163.6km2

최고점511m[1]
Orthographic projection centred over Easter Island.png
행정 구역
칠레의 기칠레
발파라이소주이슬라데파스쿠아현

수도항가로아

인구 통계
인구2011년 5,034[2]
인구밀도30.77명/km2

언어스페인어,라파누이어
추가 정보
시간대UTC-6
국제전화+56 32
우편번호2779001
공식 홈페이지www.rapanui.co.cl

이스터섬(영어:Easter Island) 또는파스쿠아섬(스페인어:Isla de Pascua이슬라 데 파스쿠아[*],문화어: 빠쓰꽈섬)은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에 위치한칠레영토화산섬이다. 면적은 163.6km2이다.[3]

이스터섬 주민들은라파누이(Rapa Nui ‘커다란 땅’)라고 부른다.주도항가로아이며 행정 구역상으로는발파라이소주이슬라데파스쿠아현에 속한다.

역사

[편집]

이스터섬의원주민들은 약 2,900년 전부터폴리네시아에서카누로 이주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원주민들은 이 섬을 라파누이(Rapa Nui)라 부르는데 '커다란 땅'이란 뜻이다.[4]

라파누이 바깥의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섬의 발견은1722년4월 5일네덜란드의 사령관야콥 로게벤에 의한 것이다. 그날 오후 5시경, 섬을 발견한 것은 로게벤이 지휘했던 세척의 배 가운데 하나인 아프리카안쉬 갈레이호였다. 이 배의 항해일지는 첫 발견을 이렇게 적어놓았다.[4]

오후 시계로 모래시계를 열 번째 쟀을 즈음, 앞에서 항해하던 아프라카안쉬 갈레이호가 바람을 가르며 나아갔다. (중략) ... 육지가 보인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었다. … 낮고 편평한 섬 하나가 … 우리는 … 그 섬에 파슈 에일란트(Paasch Elyland,영어:Easter Island)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섬을 발견하고 찾아낸 날이 부활절이기 때문이다.[5]

1722년 로헤벤이 이스터섬을 방문하였을 당시 인구는 5-6천 명 정도였다. 1805년미국노예 상인들이 22명의 원주민을 잡아갔고 1862년페루의 노예 상인들이 이 섬의 지배 계층을 포함한원주민들을 마구잡이로 잡아가기 시작하였다. 1877년 이스터섬에는 110여 명의원주민만이 남게 되었다.[6]

지리

[편집]

이스터섬은오세아니아의 동부 한가운데 있다. 또한 이스터섬은칠레에 속해 있다. 이스터섬은 칠레로부터 약 3,700km,핏케언 제도로부터도 2,075km 떨어져 있어서 이동하는 데만 해도 5시간 정도가 걸린다.

이스터섬은 대략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는데 꼭짓점에 해당하는 세 개의화산과 70여 개의측화산이 분출하면서 섬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플라이스토세에 섬의 기반을 이루는 라노 카우화산과 포이케화산이 분출하였고, 이후에 플라이스토세에서플라이오세 사이에순상 화산인 테레바카화산이 분출하였다. 이스터섬의 북단에 있는 테레바카 화산은 이 섬의 가장 큰 산이다. 가장 높은 곳의 높이는 해발 510m 정도이다.[1]

남태평양 한 가운데에서 솟아오른 이스터섬의 표고는 높지 않으나 주변수심은 무척 깊은 편이다. 섬으로부터 200m 떨어진 곳의 수심도 약 1,000m에 달하며 화산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의 수심은 8,000m에 달한다.[7]

현재 이스터섬에서 보이는암석의 범위는 놀랄 만큼 폭넓은데, 섬에 있는 세 곳의 봉우리는 주로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노 카우 절벽에는 육각 기둥 모양의주상절리가 관측된다. 라노 카우 주변과 모투 이티 주변의지층에는 화산유리인흑요암이 다수 발견되며, 그 유명한모아이를 조각한 암석은 라노 라라무의응회암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해안절벽을 따라 많은 용암 동굴이 관측된다. 테라비카에서는용암동굴의 천장이 몇 차례 무너져 길이가 10m 이상씩 되는동굴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리고 무너져 내리지 않고 남아 있는 동굴 가운데는 두께가 30cm 정도까지 얇은 동굴도 있었다. 이렇게 동굴이 풍부하여 빗물의 대부분이 지하로 스며들기 때문에 섬의 넓은 지역이 습기 없이 메마른 모습을 띠게 만든다. 실제로 이 섬 어디를 가더라도 지속적으로 땅 위를 흘러가는시내개울은 하나도 찾을 수 없다. 물론 비가 많이 내릴 때는 테라바카에서 바다 쪽으로 단속적으로 흘러드는 개울물이 있기는 하지만 중앙에 높은고원이 없기 때문에침식으로 형성되는 작은 협곡도, 개울이나 계곡도 형성될 수 없다.

이스터섬의 해안선은 폴리네시아 제도에 속한 섬으로서는 이례적으로산호초가 적다. 물론 작은 산호충들이 자라긴 하지만 바닷물의 온도가 겨울에는 섭씨 21℃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산호초를 이루는 타입의 산호충들이 살아가기에는 너무 낮은 온도이다. 이는 폭풍우가 몰아치면 해안에 보호벽이 전혀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포이케, 라노 카우 주변과 테라바카의 북쪽 지역에 300m 높이에 달하는 가파른절벽이 생겼다. 오직 남쪽 해안만 이런 규모의침식을 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남쪽 해안은 부드럽고 완만하게 경사를 이룬해안선이 폭넓게 흩어져 있다.

해안선에는모래 해변이 드물다. 오직 북쪽 해안에 있는 아나케나에서나, 또는 좀 덜 알려진 라페루즈만 근처에서만모래 해변을 찾아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 지역에서카누보다 큰 선박은 정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스터섬에 전래되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섬을 최초로 발견한 호투 마투아는 아나케아에 정박하기 전에 두 척의카누에 타고을 한 바퀴 돌았다고 한다.

기후

[편집]

이스터섬은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연평균 기온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섭씨 20.5℃이다. 가장 따뜻한 시기는 1월과 2월이고,기온이 23.4℃이다. 그리고 가장 서늘한 시기는 7, 8월로서 17.8℃의 기온을 나타낸다.의 일교차도 심하지 않고 적절하며 서리가 내린다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년 내내 내리는강우는 다소 불규칙하고 연평균강우량은 1,198mm이다. 가장 습한 시기는 보통 3월에서 6월에 이르는 때이고 습한 시기인 하지만가뭄이 여러 달에 걸쳐 나타나기도 한다. 보통 가장 건조한 시기는 9월이다.강우량 또한 해마다 크게 차이를 보인다. 1948년에는 강우량이 1,550mm였으나, 1953년에는 766mm에 불과했다. 달에 따라서도강우량의 변동은 심한 편이다.의 크기가 작은데도 섬 전역이 다양한 강우분포도를 보인다. 섬의 중앙 지역에는 북쪽 해안보다 훨씬 더 많은 비가 내리는데, 이것은기온지형, 그리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가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

이스터섬은바람이 아주 많이 부는 지역이다. 이곳에서바람기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바람이 잠잠한 날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풍향은 대체로 9월에서 5월 사이에는 동풍과 남동풍이 불고, 나머지 시기 동안에는 북풍과 북서풍이 불어온다. 폭풍우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다 괜찮은항구가 없기 때문에가 오가는데 심각한 문제로 여겨져 왔다. 이스터섬에는바람이 완전히 차단되는 지역들이 있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지역이 라노 카우분화구 안이다.

이스터섬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일평균 최고 기온 °C (°F)25
(77)
26
(79)
25
(77)
24
(75)
22
(72)
21
(70)
20
(68)
20
(68)
21
(70)
21
(70)
22
(72)
24
(75)
23
(73)
일평균 최저 기온 °C (°F)21
(70)
21
(70)
21
(70)
20
(68)
18
(64)
17
(63)
16
(61)
16
(61)
16
(61)
16
(61)
18
(64)
19
(66)
18
(65)
평균강수량 cm (인치)9
(3.5)
8
(3.1)
8
(3.1)
11
(4.3)
12
(4.7)
10
(3.9)
9
(3.5)
8
(3.1)
8
(3.1)
7
(2.8)
8
(3.1)
9
(3.5)
113
(44)
출처: 기후 데이터베이스[8]

문화

[편집]

모아이

[편집]
이스터섬의 모아이 석상
모아이 석상들
 이 부분의 본문은모아이입니다.

이스터섬은 거대한 석상모아이로 유명하다. 모아이는 초자연적인 현상의 존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소재이다. 이들은 이 석상이외계인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세워졌다고 주장하고는 한다. 그러나 모아이는 이스터섬의원주민들이 세운 것으로 11세기에 가장 많이 만들어졌으며 17세기까지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3.5~5.5m에 이르는모아이는 약 900여 개가 이스터섬 곳곳에 놓여 있다. 보통은 무게가 20 정도이나 큰 것은 10m의 높이에 무게도 90톤이나 되는 것도 있다. 모아이에 대한 초자연적인 전설은 이 섬을 방문한 로헤벤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나무가 한 그루도 없는 이 섬에서 어떻게 이런 거대한 석상을 세울 수 있었는지 놀라워했다.

1968년 스위스인다니켄은 원주민과 면담 결과 모아이가외계인의 작품이라 주장하여 세상의 이목을 끌었다.[9][10]

그러나 과학적 조사 결과, 이스터섬에는 17세기까지도 나무가 무성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석상의 재질이제주도돌하르방 같은현무암 재질이어서 조각하기가 수월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56년노르웨이의 헤이엘다르는 12톤의 모아이를나무로 된도구만을 사용하여 섬 주민 180명과 한 달 만에바닷가까지 옮겼으며, 만드는 방법은고인돌하고 비슷했었다.

칠레 정부의 원주민에 대한 학대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칠레입니다.

칠레 정부의 이스터섬원주민들에 대한학대는 매우 심각하여 사회문제로 거론되었다. 이스터섬의 관광상품을 칠레인들이 독점하게 했으며 이 때문에 이스터섬 원주민들은 하루하루 생계를 걱정하게 만들었다. 게다가인종차별 역시 심각한 문제로 칠레 본토인들이 2010년대인 현재까지도 이스터섬 원주민에 대해 심각한 인종차별을 자행하고 있으며 칠레 정부는 이를 묵인하고 있다.

칠레 정부는 이스터섬의 관광상품으로 꽤 이득을 보고 있지만 정작 이스터섬의 원주민들에게는 이스터섬의 관광산업에 종사하지 못하게 하여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이스터섬 원주민들은 국제사회에 칠레로부터독립을 요구하고 있지만 칠레 정부에서는 그런 일이 발생할 때마다 이스터섬의 원주민들을 무력으로 진압해왔다.

문자와 언어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라파누이어입니다.

이스터섬 원주민들은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그의 저서 《총 균 쇠》에서 이스터섬의문자 유물이 가장 오래된 것도 1851년의 것이란 점을 들어 이들의문자가 1770년 스페인 함대의 침공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이라 주장한다.[11]

환경의 변화

[편집]

현재의 이스터섬에는나무가 거의 없으나 원래는 다양한 나무가 자라는이 우거진이었다. 어떤 이유로 황폐화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이 이유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환경과학자들은 이스터섬의 원주민들이 어업을 위한선박의 건조, 모아이 석상을 세우기 위한 도구의 제작 등으로 소중한 자원인나무를 고갈시켜버린 것이 이 섬에기근을 가져왔고, 그로 인해 기초적인 사회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스터섬은 1772년 무렵, 이미 작은 나무 몇 그루만이 있는초원 지대가 되었다.[12]

최근에 이와 반대되는가설이 나왔다. 이스터섬의 황폐화는 외부인 때문이라고 보는 설이다.유럽인원주민노예로 끌고 가서 섬의 인구가 급속히 줄었다고 한다.산림 고갈 역시 유럽인들의에 섞여 들어온가 급속히 증가하여야자나무 씨 등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워서 섬의 황폐화를 가져왔다고 본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aster Island, Global Vocanism Program, 2012년 2월 2일 읽어봄
  2. National Statistics Office (칠레 통계청, 영어)
  3. 서울시(605km2)의 4분의 1 정도의 넓이로,강원특별자치도속초시(105.76km2) 보다는 좀 넓으며,동해시(180.01km2) 보다는 약간 작다.
  4. 나카무라 츠네오, 박경란 역, 세계의 섬, 교학사, 2006, 25-26쪽
  5. 존 플렌리, 유정화 역, 이스터섬의 수수께끼, 아침이슬, 2005, 24쪽
  6. 이종호, 과학으로 파헤친 세기의 거짓말, 새로운사람들, 2006, 이스터 석상들의 증언
  7. Potal Para Nui, Information보관됨 2012-01-03 -웨이백 머신 2012년 2월 2일 읽어봄
  8. “Weatherbase: Weather for Easter Island, Chile”. Weatherbase. 2011.  Retrieved on November 23, 2011.
  9.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주장은 아직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외계인설 외에도아틀란티스와 같은 고대 문명설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주장에는 앤트루 콜린의 《아틀란티스로 가는 길》(한은경 역, 김영사) 등이 있다.
  10. 칼 세이건은 다니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데니켄은 그가 잘 이해하지도 못하는 고대의 모든 유적과 문화에서 외계인 접촉의 설명을 찾아내려 혈안이 되었다. 그가 고대 유적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외계인과 결부시킬 만큼 용감하다." - 맹성렬, UFO 신드롬, 넥서스, 2006, 495쪽
  11. 제레드 다이아몬드, 김진준 역, 총 균 쇠, 문학사상, 2007, 335쪽
  12. 제레드 다이아몬드, 강주현 역, 문명의 붕괴, 김영사, 2006, 169쪽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발파라이소주의 행정 구역
이슬라데파스쿠아 현
로스안데스 현
마르가마르가 현
페토르카 현
키요타 현
산안토니오 현
산펠리페데아콩카과 현
발파라이소 현
오세아니아의 나라와 지역
주권국
전체
일부
속령 그리고 다른 영토들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뉴질랜드
프랑스
영국
v  d  e  h
아메리카오세아니아 지역의 영토 분쟁
종류지역실질적 지배분쟁 국가
내륙안토파가스타주칠레칠레볼리비아
과야나에세키바가이아나가이아나베네수엘라
그린란드 북동부덴마크덴마크노르웨이1
프랑스령 기아나프랑스프랑스프랑스령 기아나3
퀘벡주캐나다캐나다퀘벡주3
도서대양
서뉴기니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서파푸아 공화국3
부건빌 자치주파푸아뉴기니부건빌파푸아뉴기니부건빌3
동티모르동티모르동티모르인도네시아
과들루프프랑스프랑스과들루프3
나배사섬미국미국아이티
노스 암초캐나다캐나다미국
포클랜드 제도영국영국아르헨티나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영국영국아르헨티나
마키아스실 섬캐나다캐나다미국
바호누에보 환초2콜롬비아콜롬비아미국니카라과자메이카
세라니야 환초2콜롬비아콜롬비아미국니카라과자메이카온두라스
앵귈라영국영국앵귈라3
푸에르토리코미국미국푸에르토리코3
남말루쿠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남말루쿠 공화국3
웨이크섬미국미국마셜 제도
생피에르 미클롱프랑스프랑스캐나다
북극해2미국캐나다러시아미국캐나다러시아덴마크1
그린란드덴마크덴마크그린란드3노르웨이1
클리퍼턴섬프랑스프랑스멕시코
아루바네덜란드네덜란드아루바3
이스터섬칠레칠레이스터섬3
누벨칼레도니프랑스프랑스누벨칼레도니3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프랑스프랑스프랑스령 폴리네시아3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인도네시아
1활동적으로 주장하고 있지 않음  2셋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3모국으로부터의 독립 요구  
국제
국가
지리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스터섬&oldid=4018397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