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의문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문핵
올리브 아래쪽의 숨뇌의 가로 단면. 의문핵은 중앙 오른쪽에 표시됨.
정보
식별자
라틴어nucleus ambiguus
영어nucleus ambiguus
NeuroNames765
NeuroLex IDbirnlex_2650
TA98A14.1.04.253
TA26011
FMA54588

의문핵(nucleus ambiguus, ambigous nucleus)은제이콥 아우구스투스 록하트 클라크(Jacob Augustus Lockhart Clarke)가 명명한, 숨뇌의그물체 깊숙이 위치한 큰운동 신경 세포의 그룹이다.[1] 의문핵은말하기삼키기와 관련된여린입천장,인두후두의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 세포의세포체를 포함하고 있다. 운동 신경 세포뿐만 아니라, 의문핵에는심장의 신경절 후부교감신경 세포를 자극하는 신경절 전 부교감 신경 세포가 포함되어 있다.[2]

의문핵은 위쪽숨뇌의 가쪽 부분에서아래올리브핵의 바로등쪽(뒤쪽)에 위치한,조직학적으로 이질적인세포로 구성된 영역이다.겉질뇌줄기로를 통해 직접아래운동신경세포 분포를 받는다.

이 신경핵은후두,인두,목젖의 근육에서 끝나는미주신경(CN X)의 가지뿐만 아니라,붓인두근에서 끝나는혀인두신경(CN IX)의날신경섬유를 낸다.

기능

[편집]

의문핵은연구개, 인두, 후두, 상부식도의 같은 쪽 근육에 분포하는 운동 신경 성분을 낸다. 의문핵에 생긴 병변은 비음,삼킴장애,발성장애,목젖이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초래한다.심장에 대한 신경절 이전 부교감신경 가지도 의문핵의 external formation을 통해 주행한다.

분포 구역

[편집]

입천장올림근과 같은미주신경이 분포하는 근육(더부신경뇌뿌리 포함)도고립로의 신경핵과 통합되어 적절하게 삼키는 작용을 하는 데 필요하다. 또한 미주신경은식도의 위쪽과인두,후두의 다른 부분에 분포한다.

운동 신경 세포뿐만 아니라 의문핵의 external formation에는심장에 대한 콜린성 신경절 이전 부교감신경 세포가 포함되어 있다.[2] 이 신경 세포는 심장 억제성이다.[3] 이 심장 억제 효과는중추신경계혈압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보다 더 빠르고 강하게 혈압을 바꾸는 일차적인 수단은세동맥을 수축시키고 심장의 펌프질을 더 빠르고 강하게 만드는교감신경계의 활동 변화이다. 의문핵과미주신경 등쪽핵에서 발생하는 부교감신경 성분은 급격한 혈압 상승에 반응하여,뇌줄기혈관운동중추로부터의교감신경 성분과 통합적이고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심장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의문핵의 external formation은기관지를 수축시키는 섬유를 기관지와 폐 시스템으로 보내 폐와 기관지 공기 흐름의반사적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심장 억제 시스템과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의 병태생리학적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COPD폐기종,천식과 같은 기관지 경련성 질환에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티오트로피움이나이프라트로피움과 같은 흡입 항콜린성 약물이 표준 관리 치료용 약제이다. 천식의 경우 특히자율신경계의 조절 이상으로 인한 운동 시 천식 악화에 대해 이 약제들을 사용한다.

추가 이미지

[편집]
  • 올리브의 중간쯤에 있는 숨뇌 부분.
    올리브의 중간쯤에 있는 숨뇌 부분.
  • 뇌신경의 신경핵을 등쪽에서 나타낸 그림. 빨간색은 운동 신경핵이고, 파란색은 감각 신경핵이다.
    뇌신경의 신경핵을 등쪽에서 나타낸 그림. 빨간색은 운동 신경핵이고, 파란색은 감각 신경핵이다.
  • 뇌신경의 운동신경핵을 가쪽에서 나타낸 그림.
    뇌신경의 운동신경핵을 가쪽에서 나타낸 그림.
  • 숨뇌의 그물체. 올리브 중앙을 통과하는 가로 단면으로 표시됨.
    숨뇌의그물체. 올리브 중앙을 통과하는 가로 단면으로 표시됨.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Haines, Duane E (1999). “NEUROwords 7 Vague, Uncertain, Ambiguous, Obscure: Imprecision or Modesty?”.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Neurosciences》8 (3): 294–295.doi:10.1076/jhin.8.3.294.1828. 
  2. Machado, BH and Brody, MJ."Role MJ of the nucleus ambiguus in the regulation of heart rate and arterial pressure."
  3. McKitrick, D. J.; Calaresu, F. R. (1996년 12월 2일).“Nucleus ambiguus inhibits activity of cardiovascular units in RVLM”. 《Brain Research》742 (1-2): 203–210.doi:10.1016/s0006-8993(96)00971-7.ISSN 0006-8993.PMID 9117396. 

외부 링크

[편집]
전거 통제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의문핵&oldid=39689245"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