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유식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교

유식설(唯識說)은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실유(實有)가 아니고, 그실상(實相)은(空)이라고 본다.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모든 종류의이 현재 있는 것과 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근거된 원인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그 원인은 이미 가능성의 상태에서 존재한다고 보며 그것을종자라고 부른다. 유식설에서,종자라고 하는 것은을 나타나게 하는 가능력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가능력이 순수한 정신작용 즉(識)이라고 유식설은 주장한다.

유식설에 따르면,이라는 것은 대상을 분별하여 아는 작용이다. 만유는 식에 의하여 현현(顯現)한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유식설은 주장한다. 이 동향을식체전변이라고 한다.식체가 전변하여 세 가지 종류의을 성립시킨다. 첫째로아라야식근본식이라고도 하는 것인데, 이는제법종자가 된다. 둘째로사량의 작용을 하는말나식으로서,말나식아라야식에 의존하여 일어나지만아라야식을 대상으로 하여아집을 일으킨다. 셋째로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 · 의식6식인데 각각 ·  ·  ·  ·  · 을 인식한다.

그런데 자기의 대상을(空)이라고 깨달아 실재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음은유식성(唯識性)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지에 도달한 수행자는생사(生死)와열반(涅槃)을 상이한 별개의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그 어느 것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는진여지혜(반야 · 보리)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생사의 차원에서 존재되지 않는다. 또한자비를 갖고 있기 때문에중생을 구제하는 일에 노력하여 권태함이 없으며,열반에 머무르는 일도 없다. 구체적인 덕목으로서는6도를 실천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인도 불교
일본 불교
중국 불교
티베트 불교
한국 불교
문화
건축
기념일
미술
상징
성지
수행과 생활
기타
기본 사상
역사
국가별
철학
기타
비교 종교
개념
목록
예불의식 경전
대장경
상좌부 불교
대승 불교
선불교
티베트 불교 · 밀교
부파불교 (북방)
부파불교 (남방)
대승불교
선불교
전거 통제: 국가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 글은 불교에 관한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식설&oldid=39178949"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