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테리언주의(영어:Unitarianism)는 18세기 등장한,이신론의 영향을 받은반삼위일체론 계통의기독교 신앙이다. 이들은 신은 하나라는 유일신 신앙 즉, 단일신론(Unitheolism)을 주장하여 성자예수를 성부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며 권능과 영광이 동일한 것을 믿지 않기 때문에,삼위일체 신앙을 갖고 있는 주류기독교와는 교리적으로 차이가 있다.[1]
유니테리언의 발생은윌리엄 채닝에 의한 반칼빈주의적인 교리에서 기인했다. 그는 칼빈주의의 이중예정 즉, 구원받지 못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가혹한 형벌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그는 사랑의 하나님이 구원받지 못한 자에 대한 가혹한 처벌은 불가능하다고 전제한 뒤, 칼빈주의자들을 공격하였다. 또한 삼위일체의 성자하나님에 대해서도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면서, 예수의 인성만을 믿는 한 분이신 하나님을 강조하였다. 또한 아담의 범죄가 온 인류의 범죄로 유전된 것을 부인하여, 펠라기우스적인 가르침을 수용하였다.
이것은아리우스의 가르침과 같으며 초기 기독교에서 아리우스는 이단으로 정죄받았다. 유니테리언은 뉴잉글랜드의 보스톤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나중에는 유니버설리즘과 합쳐져 유니버설리스트 유니테리언으로 불리게 되었다.
유니테리언은신약성서와 고대교회 기독교인들의 글에 기록되어 있는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믿는다. 하나님은 한 분이라는 완전한 유일신론을 신봉하는교의에 근거하여 예수가 위대한 사람이자 하나님의예언자이었고, 아마도 초자연적 존재이기조차 했을 것이지만 하느님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는 기독교의 그리스도론 즉,예수는 사람이 되신 하나님이라는성육신 교의와성부와성자와성령은 한 분의 하나님이라는 삼위일체 교의를 부정하는 것이다. 또한 유니테리언 교인들은 삼위일체 교의를 정치적으로 해석하여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주재한 다분히정치적인공의회였던니케아 공의회에서삼위일체 교의를기독교의 교의로 받아들임으로써예수가 하나님이 되었다는진보적인기독교인들의 그리스도론[2]과 예수의 가르침이삼위일체의 존재에 대해 어떠한 암시도 준다는 주장을 하지 않는다. 유니테리언 교인들은 예수의 도덕적 권위는 믿지만, 삼위일체 교의는 반드시 믿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의 그리스도론은성부와성자와성령은 한 분의 하나님이심을 믿는삼위일체를 핵심 신조로 삼는로마 가톨릭,동방정교회,성공회,개신교 그외기독교 공동체들과 구분된다.
↑정보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A.C. Henderson,What Do Unitarians Believe? (AUA, 1866), Samuel J. May,What Do Unitarians Believe? (AUA, 1867), Orville Dewey,The Unitarian Belief (AUA, 1873), J.F. Clarke,Manual of Unitarian Belief (AUA, 1885), G.H. Ellis,What Do Unitarians Believe About Jesus Christ? (AUA, 1890), J.T. Sunderland,What Do Unitarians Believe? (AUA, 1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