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도구는 토론 문서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예전에 썼을 때는 각종 버그로 쓸 수 없을 지경이었는데, 오랜만에 사용해보니 문제가 모두 해결되어 강력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하루 정도만 적응하면 훨씬 편리하게 토론을 편집할 수 있으니 설치를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설치는m:special:MyPage/global.js에 다음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새로운 추상 위키백과 위키 프로젝트의 이름을 정해 주세요.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가위키함수의 함수와 위키데이터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지원되는 모든 언어로 자연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위키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문장은 모든 위키백과(또는 다른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표는 두 차례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후보자에 대한 법적 검토가 진행됩니다. 투표는 2025년 10월 20일과 11월 17일에 시작됩니다. 최종 프로젝트 이름은 2025년 12월 중순에 선정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여를 원하시면 메타위키에서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지금 바로 투표하세요.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토론 참여 독려를 하기 위해 글을 올립니다. 현재위키백과:알찬 글 후보,위키백과:좋은 글 후보,위키백과:알찬 목록 후보에는 문서의 양과 질을 고려했을 때 선정 가능성이 높고 뛰어난 글들이 후보로 올라와 있지만, 대부분의 토론이 올해 초에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토론 참여자 수가 1~2명이거나 찬성 혹은 반대 표가 1개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라 문서의 선정/기각 여부를 판단하는 입장에서도총의가 모였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토론 참여자 저조를 이유로 기각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대로 두기에 안타까운 토론들이 많아 선정/기각을 하지 않고 기다려 보았습니다. 올해도 벌써 10월 하순에 접어들고 있는데, 저는 이 토론들이 올해 안에는 결론을 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혹시 의견 남기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으시다면, 저도 후보를 올려봤던 입장에서 작고 사소한 의견이라도 힘이 된다는 걸 매번 느꼈기에 어떤 분이시던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Nt2025년 10월 21일 (화) 18:42 (KST)[답변]
Wereleased the"Add a Link" Structured Task to 100% of accounts at English Wikipedia on Tuesday, September 2nd (before then it was available to 20% of accounts).
After examining if the Growth features and Mentorship could be adapted to Wikidata, we activated the Growth features onBeta Wikidata to allow for testing and discussion (T400937).Although some features, like Suggested Edits, are Wikipedia-specific, the Growth team designed most features to be more wiki-agnostic.
The machine learning team has been working on a new model that can suggest links to more languages, including Urdu, Chinese, and Japanese Wikipedias.We are starting to release the “Add a Link” feature to Wikipedias that weren’t supported by the previous model.
The Growth team is involved in several research initiatives to help guide our future work:
Progression System – We havepublished initial findings from interviews with 10 English and French Wikipedia newcomers.The research examined motivations, challenges, and feedback on a prototype system intended to help editors build confidence, develop skills, and contribute more constructively over time.
Mobile Web Editing Research – This projec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mmunity feedback, and user journey analysis to identify possible ways to enhance the mobile editing experience.
Newcomers Survey – This project surveys successful newcomers on English Wikipedia to understand their early editing experiences, tool use, and community interactions.
The Growth team participated in several community events to listen, share, and collaborate on improving newcomer experiences across Wikimedia projects.
This session invited organizers to share how they introduce newcomers to Growth features and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 The discussion focused on common newcomer questions and opportunities to strengthen collaboration in supporting new editors.
This talk demonstrated how Structured Tasks help newcomers take their first successful steps on Wikipedia. It shared impact data, community configurations, and a demo of “Add a Link,” illustrating how these tasks make editing more accessible and sustainable, particularly for mobile contributors.
With active editor numbers declining, theContributors Strategy aims to create a clearer, more engaging path for participation. This session, led by the WMF Contributors group with involvement from the Editing, Growth, Moderator Tools, and Connection (formerly Campaigns) teams, highlighted efforts to streamline contributor experiences, offer structured and mobile-friendly workflows, and foster meaningful engagement. Participants learned about ongoing initiatives and shared feedback to help shape a more inclusive and sustainable future for Wikimedia contributors.
Many communities face a decline in volunteer engagement. Newcomers often leave soon after joining, while experienced editors struggle to manage increasingly complex workflows and overwhelming backlogs. We presented theContributors Strategy and the different features and workflows that can help communiti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listened to the specific needs of the CEE communities to help guide the Contributors teams' work.
10월 초추석 챌린지를 통해 WikiVault 생성 문서 가운데미검수 문서에 대한 정리작업이 이루어졌고, 많은 분들의 참여로 약 100여개의 문서가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난 지금, WikiVault나 기타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문제가 아무런 조치나 제한 없이 지속되었고, 결국 미검수 문서의 규모가 챌린지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오면서 무용지물이 된 상황입니다.
미검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적인 면에서 보다 확실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만큼, 다음의 두 가지 조치를 제안해 봅니다.
3만 바이트 이상의 단일 기계번역 생성 금지
기계번역 생성 후, 일주일 동안 생성자 본인에 의해 검수나 개선이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문서는초안 문서로 이동하거나 빠른 삭제 조치.
이 두 가지의 목적은 기계번역의 빠른 생성 속도를 늦추고, 문서 생성자들에게 책임감을 갖도록 하며, 편집자들의 검수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단언컨대 기계번역을 금지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첫번째의 경우, 문서 생성자가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생성 버튼을 눌렀는데 일반 검수자가 제대로 검수하기 어려운 분량이어서 방치되어 버리는 상황을 방지하려는 목적입니다. 두번째는 생성자 본인이 내용을 검수하는 최소한의 책임감을 부여하여, 검수자의 수고를 덜고 자정노력을 유도하려는 목적입니다.
이러한 조치와 더불어위키백과토론:2025 추석 챌린지를 통해서도 지적된 바 있듯이 '어떻게 검수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지침, 안내문, 수필)의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이드라인의 수립을 통해 정책적 활동, 에디터톤과 챌린지 활동의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고 지금의 문제에서도 제대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밥풀떼기 (토론)2025년 10월 23일 (목) 11:24 (KST)[답변]
1, 2번의 조치에 대체로 동의하는데, 2번의 경우 검수나 개선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을 생각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애초에 WikiVault로 처음에 문서를 생성했을 때 번역의 품질이 준수해서 수정을 가하지 않을 수도 있고, 처음 문서 생성 당시에 검수를 하고 글을 생성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ikiVault를 사용해 문서를 생성한 사용자가 토씨 몇 개 고치고 문서 생성 후 검수나 개선을 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 같구요. —Nt2025년 10월 23일 (목) 12:32 (KST)[답변]
2번의 기준은 '단 한번이라도 검수나 수정 관련 편집을 했는가' 입니다. 보수적인 선에서 잡은 최소한의 조치이고, 실질적으로도 검수가 이루어졌는지 눈으로 읽지 않는 이상 쉽고 빠른 분류가 어렵기 때문에, 편집 유무만 판별하는 선에서 이동 조치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서 생성자의 주장보다는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분이 확인하셔야 검수 유무를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밥풀떼기 (토론)2025년 10월 23일 (목) 14:20 (KST)[답변]
음, 크게 두 가지 절차인 것 같네요. 문서 생성 후 최소한의 편집이 있다면 초안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2차적으로 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의 판단이 중요하겠네요. 근데 전문적으로 검수를 누가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남는 것 같습니다. —Nt2025년 10월 23일 (목) 15:55 (KST)[답변]
그렇죠. 그 부분은 검수자 라는 새로운 단위의 사용자를 만들든, 검수 프로젝트라는 활동의 형태로 나아가든,백:동료 평가처럼 검수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형태로 만들든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검수 활동에 대한 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존재해야 원활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선 무리인 측면이 존재합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기계번역 생성 문서의 미검수 방치 문제는 계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것들을 관리 대상으로 분류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WikiVault만 보더라도 생성된 문서의 절대다수가 어떠한 편집 없이 방치된 문서인 경우이기에 더더욱 그렇습니다.밥풀떼기 (토론)2025년 10월 24일 (금) 08:05 (KST)[답변]
검수 활동 자체에 대해서는 Nt님께서 고민하시는 알찬 글, 좋은 글 활성화와도 연계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토론에서 번역된 문서가 후보로 올라올 때 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번역 검수이기 때문입니다. WikiVault를 사용하려면 알찬글이나 좋은글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거나, 후보 토론상의 검수 활동에 일정 활동을 했어야 승인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알찬글과 좋은글의 검수 활동을 많이 하신 분에게 검수자의 특권을 부여할 수도 있겠지요.밥풀떼기 (토론)2025년 10월 24일 (금) 08:08 (KST)[답변]
의견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 대로 검수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있을 수 있고, 밥풀떼기님이 제시해주신 의견도 한국어 위키백과 내에서 시도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검수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 지에 대해 아직 뚜렷한 아이디어나 의견은 없지만,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 분들도 이 토론에 참여하여 생산적인 토론으로 이어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Nt2025년 10월 24일 (금) 13:05 (KST)[답변]
아시아의 달 행사는 연례적으로 진행되는 아시아와 관련된 문서를 편집하는 에디터톤으로, 한국어 위키백과 외에도 다양한 위키미디어 커뮤니티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지난 10월 11일에 진행되었던 말레이시아 친선 교류 행사에 이어서, 말레이시아 특집 행사로 진행되며, 아울러 아시아의 달 골든 어워드 수상자 분께 여러분이 편집하신 국가에 관한 리워드를 엄선하여 증정할 예정입니다. 그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Youngjin (WMKR) (토론)2025년 10월 28일 (화) 12: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