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위키백과의 검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4년 8월 기준 위키백과의 가용성:
  현재차단됨
  이전 차단됨
  부분 차단됨
  차단되지 않음

위키백과검열중화인민공화국,이란,미얀마,파키스탄,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시리아,튀니지,튀르키예,우즈베키스탄,베네수엘라,투르크메니스탄 등 여러 정부에 의해 행해져 왔다. 일부 경우에는위키백과 콘텐츠를 포함하여 광범위한인터넷 검열이 이루어졌다. 다른 조치들은 불쾌하다고 간주되는 특정 콘텐츠의 열람을 막는다. 여러 차단의 지속 기간은 몇 시간에서 몇 년까지 다양했다.

위키백과가HTTP 프로토콜로 운영될 때, 정부는 특정 문서를 차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1년 위키백과는HTTPS로도 운영되기 시작했고, 2015년에는 전적으로 HTTPS로 전환했다.[1] 이 전환으로 인해 일부 국가는 차단을 해제하고 다른 국가들은 전체 사이트로 차단을 확대했다.

위키백과의 광범위한 검열

[편집]

검열의 종류

[편집]
 인터넷 검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모든 위키백과 사이트 차단 (모든 언어 또는 한 언어)

[편집]

일부 국가들은 장기간 위키백과를 계속 차단한다(예: 중화인민공화국). 다른 국가들은 몇 달(예: 시리아)에서 몇 시간(예: 파키스탄)에 이르는 짧은 기간 동안 광범위한 차단을 사용한다.[2]

특정 문서 차단

[편집]

HTTPS로 전환하기 전에는 일부 국가들이 정치적 반대 정당이 지지하는 사상, 시사 문제에 대한 문서(예: 러시아), 또는 정권의 종교적 전통에 반하는 사상(예: 이란)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대한 문서를 차단했다. 2016년경 HTTPS로 전환한 후에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어떤 페이지를 방문했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이러한 유형의 차단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게 되었다.

편집자 기소

[편집]
 위키백과 편집으로 인해 투옥된 인물 목록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소는 정부가 검열하고자 하는 정보를 게시하는 편집자에게 집중되어자기 검열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독자 기소

[편집]

2015년 위키백과가HTTPS로 전환한 이후 정부의 위키백과 사용에 대한 대규모 감시 보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정부와 기업은 사용자 장비에대중감시스파이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VPN 소프트웨어 사용을 감지하고 방문한URL을 기록할 수 있다.[3]

국가별

[편집]
위키백과 검열의 예시
국가시기현재 콘텐츠 차단이전 차단된 콘텐츠정부에 의한이해 충돌 편집편집자 기소세부 정보
벨라루스2022년 3월 11일, 2022년 4월 7일Yes
중화인민공화국2004년, 2005년~2008년, 2015년~현재 (https), 2019년 4월~현재 (모두)모두YesYesYes모든 버전
이란2013년~2015년 (부분), 2023년~현재 (위키뉴스)부분Yes수백 개의 문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모두YesYesYes월드 와이드 웹은 물리적으로 연결이 끊김
미얀마2021년 2월 15일~현재모두Yes모든 버전
파키스탄2006년 3월 31일, 2010년 5월 며칠, 2023년 2월 3일~2023년 2월 6일Yes일부, 모든 버전
러시아2010년대~현재부분YesYesYes선택된 페이지
사우디아라비아2000년대~현재부분YesYesYes선택된 페이지
시리아2008년 4월 30일~2009년 2월 13일YesYes아랍어
튀니지2006년 11월 23일~27일Yes모든 버전
튀르키예2014년~2015년 (부분), 2017년 4월~2020년 1월 (전체)Yes모든 버전
미국2007년Yes
우즈베키스탄2007년, 2008년, 2012년Yes모든 버전
베네수엘라2019년 1월 12일~18일Yes모든 버전

벨라루스

[편집]

2022년 3월 11일, 벨라루스의 정치 경찰구보피크는 민스크 출신의러시아어 위키백과 편집자마크 번스타인을 체포하고 구금했다. 그는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를 편집하고 있었으며, "반러시아 자료 유포"와 러시아 "가짜 뉴스" 법률 위반 혐의를 받았다.[4][5]

2022년 4월 7일,브레스트 (벨라루스) 법원은 위키백과 사용자파벨 페르니코프에게러시아어 위키백과벨라루스어 위키백과에 대한 세 번의 편집으로 2년 징역형을 선고했다.[6] 그는 "벨라루스 공화국 명예 훼손" (벨라루스 형법 제369조 1항)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6]

중화인민공화국

[편집]
 중국 대륙의 위키미디어 접속 차단중화인민공화국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접근은 수년에 걸쳐 다양했으며, 중국어 버전은 다른 버전에 비해 더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2019년 4월 현재, 위키백과의 모든 버전은만리방화벽에 따라 중국 대륙에서 차단되어 있다.[7][8][9]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 5월에 출시되었다.[10] 위키백과는 2004년 초 중국 국영 언론에서 긍정적인 보도를 받았으나,1989년 천안문 사건 15주년을 앞두고 2004년 6월 3일에 차단되었다. 사이트 복원을 위한자기 검열 제안은 중국어 위키백과 커뮤니티에서 거부되었다.[10] 그러나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보도에 따르면,마오쩌둥대만과 같은 주제에 대한 중국어 및 영어 위키백과 항목을 비교한 결과 중국어 항목은 정치적 논쟁이 "희석되고 순화"된 것으로 결론지었다.[11] 2004년 6월 22일, 위키백과에 대한 접근은 설명 없이 복원되었다.[10] 위키백과는 9월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다시 차단되었지만,[12] 단 4일 동안이었다.[10] 위키백과는 2005년 10월에 다시 중국에서 차단되었다. 위키백과 사용자 스자오와 추이웨이는 웹사이트 차단 해제를 설득하기 위해 기술자와 당국에 편지를 보냈다. 편지의 일부에는 "위키백과를 차단함으로써, 우리는 세계에 중국의 목소리를 전달할 기회를 잃고, 사악한 이단,대만 독립운동 세력 등이 왜곡된 중국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게 된다"고 쓰여 있었다.[10]

2006년 10월,뉴욕 타임스영어 위키백과가 중국에서 차단 해제되었지만, 중국어 위키백과는 여전히 차단되어 있다고 보도했다.뉴 미디어 연구원앤드루 리는 중국에서 1989년 천안문 사건에 대한 영어 문서를 읽을 수 없다고 블로그에 썼다.[13] 리는 "단일하게 작동하는만리방화벽은 없다"고 말하며, 중국 내 다양한 지역의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들(베이징의차이나 넷콤, 상하이의차이나 텔레콤,안후이성의 여러 제공자들)에게 중국어 위키백과는 안후이성에서만 차단되었다고 언급했다.[14] 옹호 단체인국경 없는 기자회는 위키백과 지도자들이 자기 검열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칭찬했다.[15]

2006년 11월 10일, 리는 중국어 위키백과가 완전히 차단 해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16] 리는 며칠 후 완전한 차단 해제를 확인하고 중국어 위키백과의 새 계정 생성 속도를 기반으로 한 영향에 대한 부분적인 분석을 제공했다. 차단 해제 전에는 매일 300~400개의 새 계정이 생성되었다. 차단 해제 후 4일 동안 새 등록률은 3배 이상 증가하여 매일 1,200개 이상이 되었고, 영어 버전 다음으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위키백과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11월 13일로 끝나는 주에는 그 전 주보다 75% 더 많은 문서가 생성되었다. 중국어 위키백과가 10만 문서 이정표를 넘었던 같은 주말, 리는 다음 10만 문서는 빠르게 생성될 것이지만, 기존 중국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기본적인 위키백과 정책과 규범을 가르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7]

2006년 11월 16일,로이터 통신은 중국어 위키백과의 메인 페이지는 표시될 수 있지만, "6 월 4일, [1989년 시위]"와 같은 일부 금지된 정치적 주제에 대한 페이지는 표시될 수 없다고 보도했다.[18] 그러나 후속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 날인 11월 17일에 중국어와 영어 버전 모두 다시 차단되었다.[19] 2007년 6월 15일, 영어 위키백과의 비정치적 문서에 대한 접근이 복원되었다.[20] 2007년 9월 6일, IDG 뉴스는 영어 위키백과가 다시 차단되었다고 보도했다.[21] 2008년 4월 2일,더 레지스터는 영어 및 중국어 위키백과에 대한 차단이 해제되었다고 보도했다.[22][23] 이는BBC에 의해 확인되었으며,2008년 하계 올림픽 보도를 위해 베이징에 도착한 외국 언론인들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게임 기간 중언론 자유 요청 맥락에서 이루어졌다.[24] 2008년 9월,지미 웨일스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부주임차이밍자오와 만남을 가졌다.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웨일스는 위키백과 커뮤니티와정부 사이에 소통 채널이 열렸다고 믿었다.[25]

2011년아메리칸 이코노믹 리뷰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어 위키백과 차단은 사용자 그룹 크기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차단 해제된 사용자들의 기여도를 평균 42.8% 감소시켰다.[26]

2012년에는 중국에서 중국어와 영어 위키백과 모두 정치적 문서를 제외하고는 접근 가능했다.[27] 중국 IP가 "민감한" 문서에 접근하거나 검색하려고 시도하면, 해당 IP는 몇 분에서 최대 한 시간 동안 위키백과 방문이 차단되었다.[28]

중국 당국은 2013년 5월 31일부터 보안 (HTTPS) 버전 사이트 접근을 차단하기 시작했다. 비보안 (HTTP) 버전은 여전히 이용 가능했지만, 키워드 필터링에 취약하여 개별 문서가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었다.GreatFire는 위키백과와 사용자들에게 HTTPS를 통해 위키백과가 소유한 다른 IP 주소에 접근하여 차단을 우회할 것을 촉구했다.[29] 2013년 지미 웨일스가 위키백과는 "5초"의 검열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자,상하이시푸단 대학의 인터넷 연구원 선이는 "위키백과가 중국 정부에 대해서는 강경하지만, 미국 정부나 유럽 사법 시스템의 문서 수정 또는삭제나 정보 공개 요구에 직면했을 때 반드시 그렇게 대단하지는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30] 한편, 중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 황은 자유아시아방송에 2009년부터 4년 동안 명확한 이유 없이 (정부에 의해) 출국 금지 조치를 당했다고 말했다.[31]

GreatFire에 따르면, 암호화된 중국어 위키백과와 암호화되지 않은 중국어 위키백과 모두 2015년 5월 19일에 차단되었다.[32]

2015년 6월부터 모든 위키백과는 HTTP 요청을 해당 HTTPS 주소로 리다이렉트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암호화를 의무화하고 중국에서 사이트를 접근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 결과, 중국 검열관은 개인이 보고 있는 특정 페이지를 볼 수 없으므로 특정 페이지(예:아이웨이웨이,류샤오보 또는톈안먼 광장)를 이전처럼 차단할 수 없게 되었다.[33]

웨일스는 2015년 12월 2일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15년 아시아 리더십 에너지 서밋에서 중국 정부에 사이트 차단 해제를 로비하기 위해 2주 이내에 중국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중국 정부는 12월 4일에 사이트의 모든 언어 버전을 다시 완전히 차단했다.[34] 많은 중국 인터넷 사용자들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차단에 대해 불평했지만, 대부분의 불만은 짧은 시간 후에 삭제되었다.[35] 그러나 12월 6일 중국에서 다른 언어로 위키백과를 다시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36]

웨일스는 2015년 12월 17일저장성우전진에서 열린세계 인터넷 대회에서루웨이 (정치인)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 국장과 만남을 가졌다. 웨일스는 이것이 첫 만남이며 특정 문제에 대한 합의는 없었지만, 만남의 목적은 서로 "만나고 알아가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웨일스는 루웨이에게 위키백과와 위키미디어가 전 세계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고, 앞으로 루웨이와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을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기자가 중국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위키백과에 일부 정보를 숨기도록 명령할 것인지 묻자, 그는 "절대 안 된다"고 답했다.[37] 그러나 웨일스 자신의 발언도 검열되었다. 그는 패널 토론에서기계 번역의 개선이 미래에 당국이 정보 흐름을 통제하는 것을 "더 이상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식 번역에서는 그의 발언이 그러한 개선이 정부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더 잘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되어 있었다.[38]

2019년 4월 23일, 위키백과의 모든 버전이 중국에서 차단되었다.[7][8][39]

2020년 9월 23일, 위키미디어 재단의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 공식 참관인 지위 신청은 중국 대표가 위키미디어 관련 웹페이지에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위반하는 다량의 콘텐츠와 허위 정보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거부되었다. 또한 위키미디어 대만 지부가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침해할 수 있는 정치적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0]

2020년 10월 24일, 저장성저우산시의 한 중국 시민은 "불법적으로 위키백과를 방문"한 혐의로 지역 경찰에 의해 처벌받았다.[41][42][43]

2021년 10월 5일, 중국 정부는 2020년과 같은 이유로 위키미디어 재단의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 참관인 지위 신청을 다시 거부했다.[44]

중국 본토에서 검열되고, VPN이 일반적으로 위키백과 편집을 허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위키백과 관리자들은 소수의 본토 사용자들에게 IP 차단 면제를 허용했다. 이러한 사용자들은 중국 정부의 관점을 지지하고 위키백과 내 친베이징 관리자 선출을 지원하여 위키백과를 통제하려는 목표로 위키백과의 편집 콘텐츠를 변경하기 위해 모집된다. 학자들은 "중국은 사회주의 가치에 충실하고 일부 핵심 편집 팀을 구성할 수 있는 위키백과 플랫폼 오피니언 리더 및 관리자가 되도록 중국 네티즌을 긴급히 장려하고 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5]본토 중국 위키미디어인 (WMC 또는 WMCUG)이라는 단체는 위키백과 콘텐츠뿐만 아니라 대만 위키백과 공동체에 대한 살해 협박으로 대만 위키백과 편집자들과 충돌했다. 한 대만 편집자는 이것이 단순히 애국적인 본토인들의 문제가 아니라트위터페이스북과 같은 위키백과 외의 "플랫폼을 조작하기 위한 정부의 더 큰 구조적 조직 전략"이라고 시사했다.[46]

WMC는 "2019년~2020년 홍콩 시위" 분쟁 문서에 대한 편집 전쟁을 이유로홍콩 국가안보 경찰 핫라인에 위키백과 편집자들을 신고하겠다고 위협했다.[47] 익명을 유지하는 한 홍콩 기반 편집자는 위협을 우려하여 "친베이징 인사들은 최루탄 발사나 바리케이드 이미지와 같이 시위에 동정적인 내용을 자주 삭제한다. 그들은 또한 자신들의 내용을 추가한다"고 언급했다. "편집 전쟁"이 양측 모두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익명 편집자는 "친민주 편집자들은 문서의 균형이나 어조를 바꾸기 위해 내용을 추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 경험상 친베이징 편집자들은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데 훨씬 더 공격적이다. 외부 간섭 없이는 이제 고칠 수 없다. 누군가 역사를 다시 쓰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48]

2021년 9월 13일,위키미디어 재단7명의 위키백과 사용자를 차단하고 WMC 회원인 12명의 사용자로부터 관리자 권한을 박탈했다. 재단의 지역사회 회복력 및 지속 가능성 부사장 매기 데니스는 "위키백과의 근간을 위협하는 침투 우려"에 대한 1년간의 조사가 있었다고 말했다. 데니스는 침투자들이 "그들이 적용할 수 있는 모든 필터를 통해 해석된 중국의 목표"를 홍보하려고 시도했다고 관찰했다.중국공산당과의 잠재적 연관성을 시사하며, 데니스는 "우리는 해당 그룹 [WMC]의 일부 회원(모두는 아님)이 자신의 권력을 확보하고 우리 프로젝트의 협력적 성격을 전복하기 위해 우리 커뮤니티의 다른 회원들을 괴롭히고, 위협하고, 때로는 신체적으로 해를 끼쳤다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조치해야 했다"고 말했다.[45][49]

인도

[편집]
 인도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2024년 7월,아시안 뉴스 인터내셔널은 위키백과에 자신을 정부의 선전 도구로 묘사한 편집자들의 신원을 밝히기 위해위키미디어를 고소했으며, 편집자들이 뉴스 통신사를명예훼손했다고 주장했다.[50]델리 고등법원은 편집자들의 이름이 공개되지 않으면 인도에서 위키백과를 차단하겠다고 위협했다.[51]

2024년 10월 21일, 위키미디어 재단은 해당 문서가계류 중인 사건 원칙을 위반한다는 법원의 명령에 따라소송 자체에 대한 문서 접근을 중단했다. 이는 법원 명령에 따라 영어 위키백과 페이지가 처음으로 삭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2][53]

2025년 3월 17일,인도 최고재판소는 위키백과에 소송 세부 정보를 삭제하라고 명령한 델리 고등법원의 명령에 의문을 제기했다.[54] 또한 고등법원이 왜 이 문제에 대해 "그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질문했다. 법원은 또한 단순히 비판적이라는 이유만으로 콘텐츠 삭제를 요구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55] 대법관아베이 S. 오카우잘 부얀은 이 사건이 언론의 자유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것은 언론의 자유와 관련됩니다. 오늘 위키백과라면, 내일은 다른 누군가가 될 수 있습니다."[56][57]

델리 고등법원의 문서 삭제 명령은인도 최고재판소 항소심에서 뒤집혔다. 법원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사법부와 언론은 서로를 지지해야 하며, 법원이 언론에게 콘텐츠를 삭제하라고 지시하는 것은 의무가 아니라고 밝혔다.[58]

이란

[편집]
 이란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2013년 11월펜실베이니아 대학교세계 커뮤니케이션 연구 센터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연구원 콜린 앤더슨과 니마 나제리는페르시아어 위키백과 문서 80만 개를 스캔하여 이란 정부가 이 중 963개 페이지를 차단하고 있음을 발견했다.[59] 저자들에 따르면 "검열관들은 정부 반대파, 소수 종교 신념, 국가, 관리, 경찰에 대한 비판과 관련된 위키백과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표적으로 삼았다. 차단된 위키 페이지의 절반 미만이 당국이 구금하거나 살해했다고 주장되는 개인에 대한 페이지를 포함한 전기이다."[60] 앤더슨은 페르시아어 위키백과가 이란 인터넷의 축소판으로서 "금지된 온라인 콘텐츠 유형을 밝히고 인터넷 전반에 적용되는 키워드 차단 주제 및 필터링 규칙을 식별하는 데 유용한 곳"이라고 말했다.[61] 2014년 5월,매셔블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페르시아어 위키백과에서 최소 두 개의 페이지를 차단했다.[62] AP 통신에 따르면,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이란 네트워크에서 위키백과 접속이 중단되었다.[63] 2023년 현재, 위키뉴스 페르시아어는 차단되어 있다.XTools는 몇 달 동안 차단되었다.[64]

미얀마

[편집]

2021년 2월 21일,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미얀마는 군사 정권의 검열의 일환으로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를 차단했다.[6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검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터넷 접속은 엄격히 제한되어 특별 허가가 필요하며, 외국 매체 시청자는 투옥되거나 사형에 처해질 수 있다.[66]

파키스탄

[편집]
 파키스탄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2006년 3월 31일, 7시간 동안 위키백과 도메인 전체가 파키스탄에서 차단되었다. 이는 한 문서에논란이 된 무함마드 만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67][68][69]

영어 버전 위키백과는에브리바디 드로우 무함마드 데이 논란 기간인 2010년 5월에 파키스탄에서 며칠 동안 차단되었다.[70][71]

2023년 2월 1일,파키스탄 전기통신청 (PTA)은 위키백과가 불경한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48시간 동안 위키백과 서비스를 저하시켰다. PTA는 해당 콘텐츠가 계속 남아있을 경우 위키백과 서비스가 차단될 것이라고 밝혔다.[72][73][74] 2월 3일, 파키스탄 당국은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했다.[75][76] 2023년 2월 6일, 파키스탄 총리셰바즈 샤리프는 PTA에 위키백과에 대한 차단을 즉시 해제하도록 명령했다. 차단 해제 이유는 "위키백과가 일반 대중, 학생 및 학계를 위한 지식과 정보 확산을 지원하는 유용한 사이트/포털"이었기 때문이다.[77] 2025년 6월 15일 (2025-06-15) 기준[update] 현재 위키백과의 대부분은 접속 가능하지만,위키미디어 공용은 현재 접속할 수 없다.

러시아

[편집]
 러시아의 위키백과 차단,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허위 정보,러시아의 인터넷 검열,러시아의 대중감시,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정보전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위키백과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2010년대 초부터러시아어 위키백과와 그 편집자들은러시아 정부에 의한전국적인 차단 및 국가적블랙리스트 적용 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페이지 검열,선전역정보공격 시도도 여러 차례 있었다.[78][79][80][81][82] 최근에는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돈바스 전쟁[83][84][85][86] 그리고 2022년 이후의 현재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간에도 마찬가지이다.[87]

2013년 4월 5일,로스콤나조르는 위키백과가 블랙리스트에 올랐음을 확인하며 "오랫동안 그래왔다. 왜 이제야 깨어났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88] 같은 날, 로스콤나조르는 러시아어 위키백과에 문서"Курение каннабиса" ("대마초 흡연")를 삭제하도록 명령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러시아에서 위키백과 전체를 차단하겠다고 밝혔다.[89] 2013년 11월경 새로운 법이 통과되어 정부가 불법적이거나 어린이에게 유해하다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차단할 수 있게 된 후 인터넷 검열이 더 흔해졌다.[81]

2015년 8월 18일, 로스콤나조르는 러시아어 위키백과 관리자들에게"Чарас (наркотическое вещество)" ("차라스 (마약 물질)")라는차라스라는 대마초 유형에 대한 문서를 2015년 8월 21일까지 삭제하지 않으면 위키백과를 차단하겠다고 지시했다(실제로 8월 25일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90] 해당 문서는 러시아 지방 법원에 의해 마약 제조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금지된 정보로 판정되었다.[91] 로스콤나조르는 "위키백과가 https를 기반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사이트의 개별 페이지를 제한할 수 없으므로, 따르지 않으면 전체 웹사이트가 차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92][91] 임박한 차단에 대응하여 NP 위키미디어 RU 이사 블라디미르 메데이코는 해당 문서가 논란이 되는 부분을 제거하고 명령을 만족시키기 위해 과학 문서와 UN 문서를 사용하여 이미 신속하고 적절하게 재작성되었으며,[90][93] 또한"Гашиш" ("하쉬시") 문서로 텍스트를 옮겨 내용을 보존하려고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위키백과 대표자들은 접근이 제한될 경우 로스콤나조르에 대한 검찰 진정을 제기하고 결정에 항소할 것이라고 밝혔다.[94] 차단을 예상하고 러시아어 위키백과는 "위키백과가 차단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자료를 게시했다.[93][95] 8월 24일, 로스콤나조르는 러시아 인터넷 제공자들에게 위키백과를 차단하도록 지시했다.[94][90] 8월 25일 밤까지 러시아 사용자들의 약 10~20%가 위키백과 접속에 문제가 있었으며, 접속은 지역과 사용 기기에 따라 달라졌다.[93][96] 같은 날, 차라스 문서는 금지된 사이트 목록에서 제거되었다. 로스콤나조르는 "러시아 연방 마약 관리국으로부터 법원 명령 조건을 충족하는 충분한 편집이 이루어졌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설명했다.[95]

2022년 2월과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첫 주에 러시아어 위키백과 편집자들은 독자들과 동료 편집자들에게푸틴이 이끄는 러시아 정부의정치 검열,인터넷 선전,허위 정보공격, 그리고러시아 군 사상자와 우크라이나 민간인 및 어린이 사상자 목록 문서에 대한 방해 편집 시도가 반복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경고했다.[87] 2022년 3월 1일, 로스콤나조르는 러시아어 위키백과 문서ru:Вторжение России на Украину (2022)("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 때문에 러시아에서 러시아어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하겠다고 위협했다. 로스콤나조르는 해당 문서가 "불법적으로 배포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러시아 연방 군인 및 우크라이나 민간인, 어린이들을 포함한 수많은 사상자에 대한 보고서"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97][98][99][100]

2022년 3월 31일, 로스콤나조르는 위키백과가 러시아인들을 "오도하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지 않을 경우 최대 400만 루블(약 49,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101]

2022년 4월~5월에 러시아 당국은 여러 위키백과 문서를 금지된 사이트 목록에 추가했다. 이 목록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문서,라시즘[102], 러시아어 위키백과에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군사 행동 및전쟁 범죄에 관한 여러 문서[103], 그리고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한 러시아어 문서의 두 섹션이 포함되었다.[104]

2022년 7월 20일, 위키백과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문서 삭제를 거부하자로스콤나조르는 검색 엔진에 위키백과를 러시아 법 위반자로 표시하도록 명령했다.[105][106]

2022년 11월 1일, 위키미디어 재단은 러시아 법원에서 러시아어 위키백과의 두 문서를 삭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0만 루블의 벌금을 부과받았다.[107] 2023년 4월 13일, 위키미디어 재단은 러시아 법원에서 다시 벌금을 부과받았다.[108]

2023년 12월, 위키미디어 러시아의 이사 스타니슬라프 코즐로프스키는 러시아 법무부에 의해 "외국 대행업자"로 등재되었다. 그가 가르치던 모스크바 대학교는 그를 퇴학시켰다. 위키미디어 러시아는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109]

2024년 2월, 러시아 대통령 보좌관블라디미르 메딘스키는 위키백과 문서의 99%는 "절대적으로 중립적이고 심지어 흥미롭다"고 제안했지만, 1%의 문서는 "적의 비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위키백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러시아 토종 온라인 백과사전 대안의 아이디어를 장려했다.[110]

사우디아라비아

[편집]
 사우디아라비아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ISP가 웹사이트를 차단한 예시

2006년 7월 11일, 사우디 정부는 성적 및 정치적으로 민감한 콘텐츠를 이유로 위키백과와구글 번역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다.[111][112] 구글 번역은 차단된 사이트의 필터를 우회하여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111][112] 위키백과는 현재 차단되지 않았지만, 2011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위키백과의 특정 페이지, 예를 들어 진화론을 다룬 페이지가 검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13][114]암호화HTTPS 연결은 이러한 페이지의 검열을 더 어렵게 만들었으며, 오늘날 개별 페이지가 여전히 차단되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114]

2020년 9월, 두 명의위키백과 자원봉사 관리자가 같은 날 체포되었다. 오사마 칼리드는 32년형을 선고받았고,지야드 알-소피아니는 8년형을 선고받았다. 이는 아랍어권 정보 사회의 자율 규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레바논 NGO인 Smex와Democracy for the Arab World Now에 따른 것이다. 이후 위키미디어 재단의 조사 결과, 사우디 정부를 위한 스파이 활동을 포함하여이해 충돌 편집에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16명의 사용자가 확인되었다.[115][116][117]

시리아

[편집]
 시리아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아랍어 위키백과에 대한 접근은 2008년 4월 30일부터 2009년 2월 13일까지 시리아에서 차단되었지만, 다른 언어판은 계속 접속할 수 있었다.[118][119]

바셀 카르타빌(아랍어:باسل خرطبيل)은 위키백과를 포함한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했다. 그의 2012년 체포는 온라인 활동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2015년다마스쿠스 근처아드라 감옥에서 처형되었다.[120]위키미디어 재단을 포함한 여러 단체는 2017년에 그의 명예를 기려 3년의 초기 기간 동안 바셀 카르타빌 자유 문화 펠로우십을 설립했다.[121]

튀니지

[편집]
 튀니지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위키백과 웹사이트는 2006년 11월 23일부터 11월 27일까지 튀니지에서 접속할 수 없었다.[122]

튀르키예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튀르키예의 위키백과 차단입니다.

2017년 4월 29일 이른 시간, 모니터링 그룹Turkey Blocks는 튀르키예 전역에서 모든 언어판 위키백과에 대한 접근이 상실되었음을 확인했다.[123][124] 이 차단은 튀르키예 당국이 위키백과에 "테러를 지지하는 작가들의 콘텐츠를 삭제하고 튀르키예를 테러 단체와 연결하는 내용을 제거하라"고 요구했으나, 정부가 만족스러운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힌 후에 이루어졌다.[125]

2014년 11월 17일부터 튀르키예는튀르키예어 위키백과의 특정 문서만 검열했는데, 예를 들어"2015 Türkiye genel seçim anketleri" ("2015년 튀르키예 총선 여론조사") 및 생식기관 관련 문서들이 그러했다.[126] 이 검열에 대한 법원 결정은 없었다. 한 튀르키예 인터넷 제공업체인TTNET는 위키백과가 고장났다고 추측했다.캐서린 마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는 이것이 사실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26]

2019년 12월,튀르키예 헌법재판소는 2년 반 동안의 차단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2020년 1월 15일, 위키미디어 재단에 웹사이트 접속이 복원되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127][128]

미국

[편집]
이 단락들은 다음의 발췌 내용입니다:위키백과-미국 정부 갈등 타임라인.[편집]

위키백과는 비영리 단체인위키미디어 재단이 운영하며,미국 연방 정부와 다양한 갈등을 겪어왔다. 이러한 갈등에는FBICIA이해 상충 편집, FBI의 법적 위협,NSA위키백과 편집자에 대한대중감시 의혹, 그리고 상당한 반발을 불러일으킨위키백과에 영향을 미치는 법안 제안 등이 포함된다.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위키백과는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 관료들로부터 더 빈번하게 정치적 압력을 받아왔다. 특히가자 전쟁 중 친팔레스타인 편향으로 인한반유대주의 의혹이 주요 쟁점이었다. 2025년 8월 27일,미국 하원공화당 의원들은 위키백과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ArbCom 조치 대상인위키백과 편집자의 계정명 및IP 주소와 같은 고유 정보를 요청했다. 이는 2025년 4월부터 시작된 정부의 일련의 조치에 따른 것으로, 트럼프와 연계된싱크탱크헤리티지 재단프로젝트 에스더피싱 공격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위키백과 편집자를신상 공개할 계획을 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위키백과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가해졌다.

우즈베키스탄

[편집]
 우즈베키스탄의 인권 § 인터넷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위키백과 전체가 2007년과 2008년 두 차례 우즈베키스탄에서 잠시 차단되었다.[129]우즈베크어 위키백과 차단은 2012년 2월 말 국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30]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우즈베크어 페이지에 접속하려고 할 때MSN으로 리다이렉트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사용자들은 다른 언어로 된 위키백과 문서를 쉽게 열 수 있었다. 우즈베크어 문서만 차단되었다.[131] 오늘날 우즈베크 사용자들은 우즈베크어 문서에 문제없이 접속할 수 있다. 2022년 우즈베크 정부는 우즈베크 공동체와 함께위키스팁펜디야 문서 생성 에디터톤을 공동 주최했다.

베네수엘라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베네수엘라의 위키백과 차단입니다.
 베네수엘라의 검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9년 1월 12일 기준 CANTV에 의한 베네수엘라 위키백과 차단 사건의 전개를 보여주는 NetBlocks 보고서

2019년 1월 12일 저녁,넷블록스 인터넷 감시 단체는베네수엘라에서 위키백과의 모든 판이 차단되었다는 기술적 증거를 수집했다. 이 제한은 국가 최대의통신 제공업체CANTV에 의해 시행되었다. 넷블록스는 지난 24시간 동안 베네수엘라 국민의 통신 및 정보 접근 능력에 영향을 미친 다른 제한들과 동시에 통신 인프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네트워크 중단을 확인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또한 여러 지역 웹사이트가 최근 제한되었음을 보여주었는데, 이는최근의 정치적 불안정이 인터넷 통제 체제를 강화하는 근본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32][133][134]

단일 문서 분쟁

[편집]

분쟁 유형

[편집]

개별 문서는 비밀 군사 시설의 위치 공개 (아래 프랑스 참조), 명예 훼손 또는 허위 정보 법률 (아래 독일 참조), 또는 문서 내 이미지가 포르노그래피적이라는 판단 (아래 영국 참조) 등 다양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국가에 의해 분쟁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국가별 사례

[편집]

오스트레일리아

[편집]

2018년빅토리아주 군법원 피터 키드 대법원장은 호주 추기경조지 펠의 재판에서 모든 증거와 판결에 대해 비공개 명령을 내렸다. 이 비공개 명령은 "모든 호주 주 및 준주"와 "호주 내에서 접근 가능한 모든 웹사이트 또는 기타 전자 또는 방송 형식"에 적용되었다.[135] 여기에는 위키백과도 분명히 포함되었지만, 기소되지는 않았다.[136]

프랑스

[편집]
 프랑스의 인터넷 검열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레미 마티스,프랑스어 위키백과의 관리자는 프랑스 국내 정보기관으로부터 문서 삭제 명령을 받았다.

2013년 4월,피에르쉬르오트 군용 무선국을 설명하는 위키백과 문서가 프랑스 국내 정보기관인DCRI의 주목을 받았다. 이 기관은프랑스어 위키백과에서 이 시설에 대한 문서를 제거하려고 시도했다. DCRI는자원봉사 관리자이자 프랑스 거주자인레미 마티스에게 이 문서를 삭제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37][138] 위키미디어 재단은 DCRI에 문서의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물었고, 이 문서는 프랑스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인Télévision Loire 7이 2004년에 제작한 다큐멘터리의 정보를 밀접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 다큐멘터리는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137][139] DCRI는 이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를 거부하고 문서 삭제 요구를 반복했다. 2013년 4월 6일위키미디어 프랑스가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DCRI는 2013년 4월 4일 사무실로 위키백과 자원봉사자를 소환했습니다. 이 자원봉사자는 페이지 삭제를 허용하는 도구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 중 한 명이었고, DCRI 사무실에서 해당 문서를 삭제하도록 강요받았으며, 만약 따르지 않으면 구금되고 기소될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압력 속에서 그는 위키백과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고 DCRI에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서를 삭제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다른시삽들에게 문서를 되살리려고 하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자원봉사자는 해당 문서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으며, DCRI 사무실에 들어가기 전에는 그 존재조차 알지 못했습니다. 그는 프랑스에서 위키백과 및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의 정기적인 홍보 활동으로 인해 쉽게 식별될 수 있었기 때문에 선택되어 소환되었습니다.

— 위키미디어 프랑스[140]

나중에 이 문서는 프랑스 외 스위스에 거주하는 다른 위키백과 기여자에 의해 복원되었다.[140][141] 이 논란의 결과로 해당 문서는 프랑스어 위키백과에서 가장 많이 읽힌 페이지가 되었으며,[142] 2013년 4월 6~7일 주말 동안 12만 회 이상의 페이지 조회수를 기록했다.[143] 이 문서는 여러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144] 프랑스 신문20 minutes,[145]아르스 테크니카,[142] 그리고슬래시닷의 게시물[146]은 이를스트라이샌드 효과의 사례로 언급했다.프랑스 내무부AFP에 이 사건에 대해 논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147]

AFP 보도에서 인용된 사법 소식통에 따르면, 4월 8일 이 문서의 삭제는 프랑스어 위키백과 문서가 "핵 발사 명령의 전송 사슬과 관련된 기밀 자료"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파리 검찰청의 대테러 섹션"이 이끄는 "예비 조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148]

이 사건 이후,Télévision Loire 7은 DCRI가 위키백과 문서의 기반이 된 원래 2004년 보고서의 철회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프랑스 군의 전적인 협력으로 촬영되고 방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139]경찰청장 전국연합은 다음 단계는 사법부가 프랑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위키백과 문서 접속 차단을 명령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149] 그러나 프랑스 기반의비정부 기구인 국경 없는 기자회는 DCRI의 행동을 "나쁜 선례"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의 대변인은르 푸앵에 "기관이 비밀 방어 정보가 유출되었다고 판단한다면, 법원에서 주장을 펼치고 그 적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인정받을 모든 기회를 가지고 있다. 그런 다음 기본 자유의 수호자인 판사가 군사 비밀의 현실과 범위를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변인은 문서에 포함된 정보가 이전에 군의 협력으로 촬영되고 배포된 다큐멘터리에서 나왔으며, 호스트와 중개자는 책임을 져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150]

독일

[편집]

한 사건에서 Wikipedia.de (위키미디어 독일이 운영하는 인터넷 도메인)는 실제 위키백과 콘텐츠를 가리키는 것이 금지되었다. 이 법원 명령은 정치인루츠 하일만이 구동독 정보 기관슈타지와의 과거 연루에 대한 주장으로 제기한 소송에서 임시 가처분이었다.[151]

포르투갈

[편집]

포르투갈대법원의 2025년 8월 법원 명령에 따라 사업가카이사르 데파수에 대한 영어 및 포르투갈어 위키백과 문서가 해당 명령을 준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검열되었다.[152]

영국

[편집]
 영국의 인터넷 검열인터넷 감시 재단과 위키백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차단된 Virgin Killer 문서의 스크린샷

2008년 12월, 영국에 본사를 둔비정부 기구인터넷 감시 재단은 앨범 표지 이미지와 영국 내아동 포르노의 불법성 때문에 위키백과 문서Virgin Killer를 인터넷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이 이미지는 IWF에 의해 법적 우려가 가장 낮은 수준인 "성적 활동 없이 에로틱한 포즈"로 평가되었다.[153] 그 결과, 많은 주요 영국ISP를 사용하는 사람들은클린피드 시스템에 의해 문서 전체를 볼 수 없게 되었고,[153][154][155] IWF가 이미지를 차단한 방식 때문에 영국 내 상당 부분이 위키백과 편집이 차단되었다. 논의, 위키미디어 재단의 항의,[156] 그리고 대중의 불만[157] 이후, IWF는 3일 뒤 결정을 철회하고, 앞으로 해외에 호스팅된 동일 이미지 복사본은 차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인했다.[15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lark, Justin; Faris, Robert; Heacock Jones, Rebekah (2017).“Analyzing Accessibility of Wikipedia Projects Around the World” (영어). 《Berkman Klein Center》. 2018년 9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20일에 확인함. 
  2. Zaccaro, Maria (2023년 2월 4일).“Pakistan blocks Wikipedia for 'blasphemous content'. 《BBC News》. 2023년 2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4일에 확인함. 
  3. 《China's Algorithms of Repression》 (영어). 《Human Rights Watch》. 2019년 5월 1일. 
  4. Moon, Mariella (2022년 3월 12일).“Prominent editor of Russian Wikipedia pages detained in Belarus”. 《Yahoo! News》. 2022년 3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4일에 확인함. 
  5. Henning, Maximilian (2022년 3월 15일).“Russische Wikipedia: Festnahme und Drohungen wegen Artikelbearbeitung” [Russian Wikipedia: Arrest and threats for editing article] (독일어). Öffentlichkeit. 《Netzpolitik》 (Berlin, Germany:netzpolitik.org e. V.). 2022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6. Редактора Википедии приговорили к двум годам колонии за "дискредитацию Беларуси" [Wikipedia editor sentenced to two years in prison for "discrediting Belarus"] (러시아어). 《Viasna Human Rights Centre》. 2022년 4월 7일. 2022년 6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8일에 확인함. 
  7. Gandolfo, Ryan.“Wikipedia Currently Down in China”. 《That's Beijing》. 2019년 4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24일에 확인함. 
  8. Singh, Sukhbir; Filastò, Arturo; Xynou, Maria (2019년 5월 4일).“China is now blocking all language editions of Wikipedia”. Open Observatory of Network Interference. 2019년 5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7일에 확인함.The following chart, based on OONI data, illustrates that multiple language editions of Wikipedia have been blocked in China as of April 2019. ... OONI measurements show that many of these Wikipedia domains were previously accessible, but all measurements collected from 25 April 2019 onwards present the same DNS anomalies for all Wikipedia sub-domains. ... Based on these test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China Telecom does in fact block all language editions of Wikipedia by means of both DNS injection and SNI filtering. 
  9. 【新聞大解讀】美中貿易戰延燒 川普封殺華為對中再補一槍! 2019.05.16 (중국어).Public Television Service. 2019년 5월 16일. 2019년 8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0일에 확인함.在中國境內所有的維基百科今天都被封閉都被關閉了 
  10. Pan, Philip (2006년 2월 20일).“Reference Tool on Web Finds Fans, Censors”. 《The Washington Post》 (Beijing). 2011년 8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1. Montopoli, Brian (2006년 11월 30일).“Is Wikipedia China Really Wikipedia?”. 《CBS 뉴스》.AP (통신사). 2011년 8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2. “Alert: Authorities block access to online encyclopaedia”.International Freedom of Expression Exchange. 2005년 10월 21일. 2011년 12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3일에 확인함. 
  13. Cohen, Noam (2006년 10월 16일).“Chinese Government Relaxes Its Total Ban on Wikipedia”. 《The New York Times》. 2019년 2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4. “China PARTIALLY unblocks Wikipedia” (blog). 《andrewlih.com》. 2006년 12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15. “China 'unblocks' Wikipedia site”. 《BBC News》. 2006년 11월 16일. 2012년 3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16. “Chinese Wikipedia now fully unblocked?” (blog). 《andrewlih.com》. 2007년 6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17. “Chinese Wikipedia's Surge in Growth” (blog). 《andrewlih.com》. 2007년 9월 3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18. “Wikipedia unblocked in China after year-long ban”. Reuters. 2012년 3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19. “The Nanny changes her mind: Wikipedia blocked again”. DANWEI. 2007년 2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20. “English Wikipedia unblocked in China”. 2011년 8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21. Schwankert, Steven (2007년 9월 6일).“Wikipedia Blocked in China Again”. IDG News. 2007년 11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6일에 확인함 – PCworld 경유. 
  22. Barak, Sylvie (2008년 4월 3일).“China uncensors Wikipedia”. 《The Inquirer》. 2008년 4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3일에 확인함. 
  23. Metz, Cade (2008년 7월 31일).“Chinese net censors unblock BBC, Wikipedia”. 《The Register》. 2008년 8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31일에 확인함. 
  24. “Beijing unblocks BBC Chinese site”. 《BBC News》. 2008년 7월 31일. 2008년 8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Wikipedia's Jimmy Wales meets China's censors” (blog). 《RConversation》. 2008년 10월 1일. 2011년 7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3일에 확인함. 
  26. Zhang, Xiaoquan; Zhu, Feng (June 2011).《Group Size and Incentives to Contribute: A Natural Experiment at Chinese Wikipedia》. 《American Economic Review》101. 1601–1615쪽.doi:10.1257/aer.101.4.1601. 2021년 12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7. “Wikipedia founder caps off MSE Symposium”. 《The Johns Hopkins News-Letter》. 2012년 11월 15일. 2013년 2월 2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23일에 확인함. 
  28. Espiner, Tom (2006년 7월 4일).“Academics break the Great Firewall of China”. 《ZDNet》. 
  29. McMillan, Graeme (2013년 6월 4일).“Chinese authorities apparently started blocking access to the site this past May 31”. 《Digital Trends》. 2013년 6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维基百科:宁愿放弃中国业务 网络审查"5秒都不行 [Wikipedia would rather give up business in China than tolerate '5 seconds of Internet Censorship']. 《Global Times》. 2013년 8월 13일. 2014년 2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1. 心语 (2013년 8월 4일).“维基百科拒绝配合北京审查 中文管理员被限制出境” [Wikipedia refuses to cooperate with Beijing's censorship, Chinese administrators are restricted from leaving the country].자유아시아방송. 
  32. Smith, Charlie (2015년 6월 18일).“We Had Our Arguments, But We Will Miss You Wikipedia”. 《Huffington Post》 (United States). 2015년 6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9일에 확인함. 
  33. 《Interview with Jimmy Wales, founder of Wikipedia and Wikia》. 2017년 10월 26일. 5:18에 발생. 2020년 8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2일에 확인함 – YouTube 경유. 
  34. “China has blocked Wikipedia again”. 《PixelsTech》. 2015년 12월 5일. 2015년 12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6일에 확인함. 
  35. 基金会全站IP被墙 维基百科所有语言全面阵亡 (중국어). 《China Digital Times》. 2015년 12월 4일. 2015년 12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6. 维基创始人:向鲁炜介绍了运作模式 不知为何在内地被禁 (중국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5년 12월 18일. 2016년 3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7. Yeung, L. (2015년 12월 17일).“維基百科創辦人稱永不以審查換解禁 今首晤網信辦未達共識” [Wikipedia founder meets "China's Internet Tsar"] (중국어). 《명보》. 2015년 12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7일에 확인함. 
  38. Areddy, James T. (2015년 12월 17일).《Anti-Wikipedian Translation at China's Internet Conference》. 《WSJ》. 2015년 12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9. “Wikipedia blocked in China in all languages”. 《BBC 뉴스》. 2019년 5월 14일. 2019년 5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15일에 확인함. 
  40. Hui, Mary (2020년 9월 25일).“Beijing blocked Wikimedia from a UN agency because of 'Taiwan-related issues'. 《Quartz》. 2020년 11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5일에 확인함. 
  41. 行政处罚结果信息公开 (중국어). 《People's Government of Zhejiang Province》. 2020년 10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2. 民众翻墙上维基查资料,遭警方登门逮捕并行政处罚 (중국어). 《China Digital Times》. 2020년 10월 28일. 2020년 10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29일에 확인함. 
  43. VanderKlippe, Nathan (2020년 10월 29일).“China cracks down on use of unsanctioned foreign websites and social media”. 《글로브 앤드 메일》. 2021년 7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6일에 확인함. 
  44. “China again blocks Wikimedia Foundation's accreditation t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kimedia Foundation》. 2021년 10월 5일. 2021년 10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7일에 확인함. 
  45. Harrison, Stephen (2021년 10월 26일).“Why Wikipedia Banned Several Chinese Admins”. 《Slate》. 2021년 10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6일에 확인함. 
  46. “China and Taiwan clash over Wikipedia edits”. 《BBC News》. 2019년 10월 4일. 2019년 1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20일에 확인함. 
  47. Cheng, Selina (2021년 7월 11일).“Wikipedia wars: How Hongkongers and mainland Chinese are battling to set the narrative” (영국 영어). 《Hong Kong Free Press HKFP》. 2021년 12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11일에 확인함. 
  48. “Wikipedia in Chinese editing war of words”. 《BBC News》. 2021년 10월 29일. 2021년 10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일에 확인함. 
  49. “Wikipedia blames pro-China infiltration for bans”. 《BBC News》. 2021년 9월 16일. 2021년 9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4월 20일에 확인함. 
  50. Singh, Manish (2024년 11월 5일).“India issues notice to Wikipedia over concerns of bias” (미국 영어). 《TechCrunch》. 2024년 11월 6일에 확인함. 
  51. “Govt issues notice to Wikipedia, asks why it should be treated as intermediary and not publisher” (영어). 《The Indian Express》. 2024년 11월 5일. 2024년 11월 6일에 확인함. 
  52. Deep, Aroon (2024년 10월 21일).“Wikipedia suspends page on the ongoing defamation lawsuit filed by ANI against Wikimedia Foundation” (영어). 《The Hindu》.ISSN 0971-751X. 2024년 11월 9일에 확인함. 
  53. “Wikipedia v ANI: Why the online encyclopaedia has landed in legal trouble in India” (영국 영어). 《BBC News》. 2024년 10월 30일. 2024년 11월 9일에 확인함. 
  54. Staff, T. N. M. (2025년 3월 18일).“SC slams Delhi HC order directing Wikipedia to remove ANI defamation case page” (영어). 《The News Minute》. 2025년 4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2일에 확인함. 
  55. https://www.uniindia.com/news/india/sc-issues-notice-to-ani-on-wikipedia-s-plea-against-delhi-hc-takedown-order/3415322.html
  56. “Wikimedia moves SC seeking to quash HC order asking it to take down content” (미국 영어). 《www.business-standard.com》. 2025년 4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2일에 확인함. 
  57. Scroll Staff (2025년 3월 18일).'Question of media freedom': SC on Delhi HC order to remove Wikipedia page on ANI defamation suit” (영어). 《Scroll.in》. 2025년 4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5월 2일에 확인함. 
  58. Roy, Debayan (2025년 5월 9일).“Win for Wikipedia as Supreme Court quashes Delhi High Court's order to takedown page on ANI v Wiki case”. 《Bar and Bench》. 
  59. Harrison, Stephen (2019년 5월 21일).“Why China Blocked Wikipedia in All Languages” (미국 영어). 《Slate》.ISSN 1091-2339. 2024년 4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7일에 확인함. 
  60. Anderson, Colin; Nazeri, Nima (2013년 11월 7일).“Citation Filtered: Iran's Censorship of Wikipedia”. 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 Stud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0년 3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1. “How Iran Uses Wikipedia To Censor The Internet”. 《BuzzFeed》. 2013년 11월 12일. 2016년 4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5일에 확인함. 
  62. “Iran blocks access to Google, Wikipedia: Report”. 《Times of India》. 2014년 5월 17일. 2014년 5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7일에 확인함.According to Mashable, Iran has blocked another Google service, the hosting platform Google Sites, and censored at least two sensitive Wikipedia pages in Farsi in the last couple of days. 
  63. ویکی‌پدیا فارسی به خاطر شیوع کرونا در ایران مختل شده است [Persian Wikipedia has been disrupted due to the outbreak of Corona in Iran] (페르시아어). 2020년 3월 3일. 2020년 3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64. ویکی‌پدیا:قهوه‌خانه/فنی: تفاوت میان نسخه‌ها (페르시아어). 《Wikipedia》. 2023년 6월 29일에 확인함. 
  65. “Myanmar blocks Wikipedia in all languages, internet suspended: NetBlocks”. 《Business Standard India》.ANI. 2021년 2월 21일. 2021년 3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일에 확인함. 
  66. McCartney, Micah (2024년 4월 12일).“Kim Jong Un 'desperate' to control narrative in North Korea: US official” (영어). 《Newsweek》. 2024년 5월 23일에 확인함. 
  67. “Websites blocked, PTA tells SC: Blasphemous material”. 《Dawn》. 2006년 3월 14일. 2013년 9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5일에 확인함. 
  68. “Pakistan Blocks Wikipedia”. 《Blogcritics》. 2006년 3월 31일. 2011년 6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13일에 확인함. 
  69. “Wikipedia Blocked in Pakistan for seven hours”. Karachi Metblogs. 2006년 3월 31일. 2011년 7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13일에 확인함. 
  70. Ali, Basit (2010년 5월 20일).“Youtube, Wikipedia, Flickr blocked in Pakistan after Facebook”. 《basitali.com》. 2016년 3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71. “Pakistan blocks access to YouTube in internet crackdown”. 《BBC News》. 2010년 5월 20일. 2017년 1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72. “Wikipedia services degraded for 48 hours over 'sacrilegious content': PTA”. 《Dawn》. 2023년 2월 1일.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73. “PTA degrades Wikipedia services for not blocking 'sacrilegious content'. 《The Express Tribune》. 2023년 2월 1일.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74. Sabir Mir, Zainab (2023년 2월 1일).“Pakistan warns of blocking Wikipedia over non-removal of 'sacrilegious content'. 《Geo News》.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75. Clark, Mitchell (2023년 2월 3일).“Pakistan is reportedly blocking Wikipedia”. 《The Verge》. 2023년 2월 4일에 확인함. 
  76. Haider, Kamran (2023년 2월 3일).“Wikipedia Is Blocked in Pakistan Over 'Sacrilegious' Content”. 《블룸버그 뉴스》 (블룸버그 L.P.). 2023년 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2월 3일에 확인함. 
  77. Zehra, Zarmeen (2023년 2월 6일).“Pakistan lifts ban on Wikipedia” (영어). 《Geo News》.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78. Забастовка Википедии на русском языке [Russian-language Wikipedia strike] (러시아어). 2012년 7월 10일. 2012년 7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0일에 확인함. 
  79. “Russian Wikipedia goes dark in protest at censor law”. 《BBC 뉴스》. 2012년 7월 10일. 2012년 7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0일에 확인함. 
  80. “Wikipedia down in protest in Russia”. 《유로뉴스》. 2012년 7월 10일. 2012년 7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0일에 확인함. 
  81. Kramer, Andrew E. (2013년 3월 31일).“Russians Selectively Blocking Internet”. 《뉴욕 타임스》. 2013년 4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8일에 확인함. 
  82. “Russian media regulator confirms Wikipedia blacklisted”.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13년 4월 5일. 2021년 12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8일에 확인함. 
  83. Stukal, Denis; Sanovich, Sergey; Bonneau, Richard; Tucker, Joshua A. (February 2022).《Why Botter: How Pro-Government Bots Fight Opposition in Russia》(PDF).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116 (Cambridge, England and New York: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on behalf of the미국정치학회). 843–857쪽.doi:10.1017/S0003055421001507.ISSN 1537-5943.LCCN 08009025.OCLC 805068983.S2CID 247038589. 2022년 4월 1일에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10일에 확인함. 
  84. Sorokanich, Bob (2014년 7월 18일).“A Tweetbot Caught the Russian Gov't Editing Flight MH17 Wikipedia Info”. 《Gizmodo》. 2016년 11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일에 확인함. 
  85. Dewey, Caitlin (2014년 7월 21일).“Flight MH17's Wikipedia page edited by Russian government; An IP address associated with Vladimir Putin's office has made multiple edits to the Wikipedia page for the MH17 flight page”. 《토론토 스타》. The Washington Post. 2018년 6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0일에 확인함. 
  86. Zeveleva, Olga (2014년 8월 6일).“Knowledge is power: why is the Russian government editing Wikipedia?”. 《The Calvert Journal》. 2016년 11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일에 확인함. 
  87. Cole, Samantha (2022년 3월 1일).“Russia Threatens to Block Wikipedia for Stating Facts About Its War Casualties, Editors Say”. 《Vice》 (뉴욕:VICE Media).ISSN 1077-6788.OCLC 30856250. 2022년 3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88. “Russian media regulator confirms Wikipedia blacklisted”. 《Russia Beyond The Headlines》. Interfax. 2013년 4월 5일. 2021년 12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89. “Russia May Block Wikipedia Access Over Narcotics Article”. RIA Novosti. 2013년 5월 6일. 2013년 4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90. Роскомнадзор готов заблокировать "Википедию" [Roskomnadzor is ready to block Wikipedia] (러시아어). 《Коммерсантъ》. 2015년 8월 21일. 2019년 8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1. Boren, Zachary Davies (2015년 8월 25일).“Russia threatens to block Wikipedia over cannabis page” (영어). 《The Independent》. 2015년 8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2. Роскомнадзор пригрозил "Википедии" блокировкой [Roskomnadzor threatens to block Wikipedia] (러시아어). 《RIA Novosti》. 2015년 8월 8일. 2019년 8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3. Спорную статью "Википедии" отредактировали сами пользователи [Controversial Wikipedia article was edited by the users themselves] (러시아어). 《Govorit Moskva》. 2015년 8월 25일. 2019년 6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4. Rozhkov, Roman (2015년 8월 24일).Роскомнадзор предписал заблокировать страницу "Википедии" [Roskomnadzor ordered to block Wikipedia page] (러시아어). 《콤메르산트》. 2019년 8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5. Sabitova, Alina (2015년 8월 25일).Роскомнадзор удалил статью "Википедии" из реестра запрещенных сайтов (러시아어). 《Коммерсантъ》. 2019년 6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6. Российские провайдеры начали блокировку "Википедии" [Russian ISPs start blocking Wikipedia] (러시아어). 《RIA Novosti》. 2015년 8월 25일. 2019년 6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4일에 확인함. 
  97. “Moscow threatens to block Russian-language Wikipedia over invasion article” (영어). 《National Post》. 2022년 3월 1일. 2022년 3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일에 확인함. 
  98. dsc (2022년 3월 2일).“Russland droht Wikipedia mit Sperre – wenn weiter über Kriegsopfer informiert wird” [Russia threatens to block Wikipedia – if they continue to inform about the casualties of the war] (독일어). 《Watson》 (Zürich, Switzerland: FixxPunkt AG). 2022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99. Wojnarski, Pascal (2022년 3월 3일).“Informationskrieg: Russland will Wikipedia sperren” [Information war: Russia wants to block Wikipedia] (독일어). 《netzwoche》 (Zürich, Switzerland: Netzmedien AG). lha. 2022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100. Kleinz, Torsten (2022년 3월 3일).“Ukraine-Krieg: Russische Medienaufsicht droht mit Wikipedia-Sperre” [Ukraine-War: Russian media regulation threatens to block Wikipedia] (독일어). 《heise online》 (Hannover, Germany:Heise Medien /Heise Gruppe GmbH & Co. KG). 2022년 3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101. Saul, Derek (2022년 3월 31일).“Russia Demands Wikipedia Take Down Information About Ukraine War”. 《포브스》. 2022년 3월 3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일에 확인함. 
  102. Роскомнадзор обязал поисковики маркировать "Википедию" как нарушителя российских законов из‑за неудаления статей о войне в Украине [Roskomnadzor orders search engines to label Wikipedia as violating Russian laws for failing to remove articles about the war in Ukraine] (러시아어). 《메디아조나》. 2022년 7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103. Роскомнадзор потребовал от "Википедии" удалить пять статей про военные преступления в Украине [Roskomnadzor demands Wikipedia remove five articles about war crimes in Ukraine] (러시아어). 《메디아조나》. 2022년 7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4일에 확인함. 
  104. РКН потребовал от "Википедии" удалить из статьи про Путина разделы об Украине [RKN demands Wikipedia to remove sections about Ukraine from articles about Putin] (러시아어). 《메디아조나》. 2022년 7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13일에 확인함. 
  105. Faulconbridge, Guy 편집 (2022년 7월 20일).“Russia to punish Wikimedia Foundation over Ukraine conflict 'fakes' (영어). 《로이터》. 2022년 7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106. Роскомнадзор принял меры в отношении Wikimedia Foundation [Roskomnadzor takes action against Wikimedia Foundation] (러시아어) (보도 자료). Roskomnadzor. 2022년 7월 20일. 2022년 7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0일에 확인함. 
  107. “Russia fines Wikimedia Foundation over Ukraine war entries”. 《Reuters》. 2022년 11월 1일. 2023년 2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1일에 확인함. 
  108. Frank Bajak (13 4 2023), “Russian court fines Wikipedia for article about Ukraine war”, 《ABC 뉴스, AP》, 21 April 2023에 원본|보존url=|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위키데이터Q117785765
  109. “Wikimedia Russia Shuts Down Amid 'Foreign Agent' Threats”. 《The Moscow Times》. 2023년 12월 19일. 2024년 1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10. “Russian presidential aide suggests copying Wikipedia in its entirety for Russian analog”. 《Meduza》. 2024년 2월 15일.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111. Mokhtar, Hassna'a (2006년 7월 19일).“What is Wrong with Wikipedia?”. 《Arab News》. 2011년 8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2. “Saudi Arabia Blocks Google and Wikipedia”. 《SIA News》. Saudi Information Agency. 2006년 7월 14일. 2012년 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3일에 확인함. 
  113. Zittrain, Jonathan L.; Tilton, Casey B.; Noman, Helmi; Morrison-Westphal, Ryan J.; Faris, Robert M.; Clark, Justin D. (2017).“The Shifting Landscape of Global Internet Censorship” (미국 영어). Berkman Klein Center for Internet & Society. 
  114. Kelley, Carolyn (2017년 6월 29일).“New Berkman Klein Center study examines global internet censorship”. 《Harvard Law Today》. 
  115. “Saudi Arabia jails two Wikipedia staff in ‘bid to control content’, Ả Rập Xê Út phạt tù hai nhân viên Wikipedia trong 'nỗ lực kiểm soát nội dung'”, 《가디언》, 5 1 202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위키데이터Q116039713
  116. Su, Alice (2014년 2월 12일).“In the Middle East, Arabic Wikipedia Is a Flashpoint – And a Beacon”. 《Wired》. 2018년 6월 2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4일에 확인함. 
  117. “Saudi Arabia: Freedom on the Net 2023 Country Report” (영어). 《프리덤 하우스. 2024년 5월 17일에 확인함. 
  118.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08년 6월 3일).“Syrian youth break through internet blocks”. 2012년 4월 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일에 확인함. 
  119. (아랍어)Arabic Wikipedia Disappears From The Internet in Syria보관됨 11 5월 2021 -웨이백 머신, Menassat, 19 May 2008
  120. “Bassel Khartabil: Syrian internet freedom activist 'executed' (영국 영어). 《BBC News》. 2017년 8월 2일. 2023년 3월 1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5일에 확인함. 
  121. Maher, Katherine; Merkley, Ryan; Surman, Mark (2017년 8월 11일).“Honoring our friend Bassel: Announcing the Bassel Khartabil Free Culture Fellowship” (미국 영어). 《Diff》. Wikimedia Foundation. 2023년 2월 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5일에 확인함. 
  122. Backer, Alice (2006년 11월 27일).“Tunisia: Censoring Wikipedia?”. 《Global Voices》. 2015년 6월 2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9월 8일에 확인함. 
  123. “Wikipedia blocked in Turkey”. 《Turkey Blocks》. 2017년 4월 29일. 2017년 5월 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일에 확인함. 
  124. “Turkish authorities block Wikipedia without giving reason”. 《BBC News》. 2017년 4월 29일. 2017년 4월 2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125. “Wikipedia blocked across Turkey”. 《Hürriyet Daily News》. 2017년 4월 29일. 2017년 8월 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126. Erem, Onur (2015년 6월 19일).“Vikipedi sansüre isyan etti” [Wikipedia rebels against censorship] (튀르키예어). 《BirGün》. 2017년 5월 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127. “Access to Wikipedia restored in Turkey after more than two and a half years” (보도 자료). Wikimedia Foundation. 2020년 10월 16일. 2020년 1월 16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6일에 확인함. 
  128. Erkoyun, Ezgi; Sezer, Can; Buter, Darren; Kucukgocmen, Ali (2020년 1월 15일).“Turkey ban on Wikipedia lifted after court ruling” (영어). 《Reuters World News》 (Reuters). 2020년 5월 2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6일에 확인함. 
  129. “Uzbekistan Blocks Its Wikipedia”. RIA Novosti. 2012년 2월 17일. 2012년 2월 1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130. Ўзбекистонда ўзбекча Wikipedia тўсиб қўйилди [Uzbek Wikipedia is blocked in Uzbekistan] (우즈베크어). 《Озодлик Радиоси》. 2012년 2월 16일. 2012년 5월 2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4일에 확인함. 
  131. RFE/RL's Uzbek Service (2012년 2월 16일).“Wikipedia Articles in Uzbek Blocked”. 《자유유럽방송》. 2012년 2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1일에 확인함. 
  132. “Venezuela's crisis of political legitimacy has rocked Wikipedia – and might have led to its blocking” (영어). 《Global Voices》. 2019년 1월 15일. 2019년 1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1일에 확인함. 
  133. “Wikipedia blocked in Venezuela as internet controls tighten” (미국 영어). 《NetBlocks》. 2019년 1월 12일. 2019년 1월 13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3일에 확인함. 
  134. Benjakob, Omer (2019년 1월 13일).“Venezuela Blocks Wikipedia After Maduro 'Ousted' From Article, Internet Watchdog Says” (영어). 《Haaretz》. 2019년 1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3일에 확인함. 
  135. “Why was Pell's conviction kept secret?” (영국 영어). 《BBC》. 2019년 2월 26일. 2019년 9월 1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2일에 확인함. 
  136. “Wikipedia:Wikipedia Signpost/2019-08-30/Op-Ed” (영어). 《Signpost》. 2019년 9월 3일. 2021년 12월 1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2일에 확인함. 
  137. Willsher, Kim (2013년 4월 7일).“French secret service accused of censorship over Wikipedia page”. 《The Guardian》. 2019년 5월 1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7일에 확인함. 
  138. Kleinz, Torsten (2013년 4월 6일).“Französischer Geheimdienst verlangt Löschung eines Wikipedia-Artikels” [French secret service forces deletion of a Wikipedia article] (독일어). 《Heise Online》. Heise. 2019년 6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5일에 확인함. 
  139. Poncet, Guerric (2013년 4월 9일).“Wikipédia et DCRI: la chaîne locale 's'attend' à être censurée” [Wikipedia and DCRI: local channel 'expects' to be censored] (프랑스어). 《Le Point》 (Paris). 2017년 10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140. “French homeland intelligence threatens a volunteer sysop to delete a Wikipedia Article” (보도 자료). Wikimédia France. 2013년 4월 6일. 2013년 4월 2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6일에 확인함. 
  141. “La DCRI accusée d'avoir illégalement forcé la suppression d'un article de Wikipédia” [DCRI accused of illegally forcing the deletion of a Wikipedia article] (프랑스어). 《르 몽드》. 2013년 4월 6일. 2019년 6월 21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2. Geuss, Megan (2013년 4월 6일).“Wikipedia editor allegedly forced by French intelligence to delete 'classified' entry”. 《아르스 테크니카》. 2013년 4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7일에 확인함. 
  143. “Wikipedia article traffic statistics for 'Station hertzienne militaire de Pierre-sur-Haute'. 《stats.grok.se》. 2013년 4월 14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4. List of translations on위키데이터틀:User-generated source
  145. “La DCRI accusée d'avoir fait pression pour obtenir la suppression d'un article Wikipedia” [DCRI accused of pressuring to have Wikipedia article deleted] (프랑스어). 《20 minutes》. 2013년 4월 6일. 2013년 4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146. saibot834 (2013년 4월 6일).“French intelligence agency forces removal of Wikipedia entry”.슬래시닷. 2013년 4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7일에 확인함. 
  147. “La DCRI accusée d'avoir fait supprimer un article sur Wikipedia” [DCRI accused of having an article deleted from Wikipedia] (프랑스어). 《Le nouvel Observateur》. Agence France-Presse. 2013년 4월 6일. 2013년 4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148. Huet, Anne-Claire (2013년 4월 8일).“Le retrait de l'article Wikipedia demandé dans le cadre d'une enquête préliminaire” (프랑스어). 《La Chaîne Info》. CP. 2013년 4월 8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9일에 확인함. 
  149. Poncet, Guerric (2013년 4월 10일).“Un syndicat de police évoque le filtrage de Wikipédia” (프랑스어). 《Le Point》. 2013년 4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0일에 확인함. 
  150. Poncet, Guerric (2013년 4월 10일).“RSF dénonce les 'manoeuvres de la DCRI' contre Wikipédia” (프랑스어). 《Le Point》. 2013년 4월 1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0일에 확인함. 
  151. Efroni, Zohar (2008년 11월 16일).“German Court Orders to Block Wikipedia.de Due Due to Offending Article”. 《Center for Internet and Society Blog》. Stanford University Law School. 2010년 7월 22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8일에 확인함. 
  152. https://www.tribunalconstitucional.pt/tc/acordaos/20250282.html
  153. Arthur, Charles (2008년 12월 8일).“Wikipedia row escalates as internet watchdog considers censoring Amazon US over Scorpions image”.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3년 9월 5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8일에 확인함. 
  154. “Wikipedia child image censored”. 《BBC News》. 2008년 12월 8일. 2008년 12월 9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8일에 확인함. 
  155. “AP: Wikipedia article blocked in UK over child photo”. 2008년 12월 10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6. "Censorship in the United Kingdom disenfranchises tens of thousands of Wikipedia editors"보관됨 29 9월 2018 -웨이백 머신,위키미디어 재단 보도 자료, 2008년 12월 7일
  157. ZDNet보관됨 19 2월 2009 -웨이백 머신 cites "floods of angry users".
  158. “IWF statement regarding Wikipedia webpage”. 《인터넷 감시 재단》. 2009년 6월 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백과의 검열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메타위키에 이 문서와
관련된 글이 있습니다.
검열 대상
검열 주체
형태
차단된 웹사이트 (국가별)
개요
공동체
(위키백과 사용자)
행사
위키 러브스
인물
역사
논란
보도
영예
각주 및 분석
모바일
콘텐츠 사용
관련 항목
인물
프로젝트
현재
과거
프로젝트
기타
관련 항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위키백과의_검열&oldid=4091349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