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위성 명명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양계의 위성들 중 일부. 태양계에는 400여개에 가까운 위성이 있으며, 대부분에 이름이 붙여져 있다.

위성 명명은 1973년부터국제천문연맹의 행성계 명명 위원회에서 관할하고 있으며, 현재는 행성계 명명 실무단(Working Group for 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WGPSN)이라고 불린다.

위성 명명 방법은 계속해서 변화해 왔다. 보통은 발견자가 이름을 붙이지만, 발견 이후 한참 동안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타이탄은 1655년 발견되었지만 거의 2세기 후인 1847년 이름이 붙었다.국제천문연맹이 위성 명명을 관할하기 전까지는 25개 위성에만 널리 쓰이는 이름이 붙어 있었으며, 이 이름들은 아직도 쓰이고 있다. 그 후목성의 위성 57개,토성 43개,천왕성 22개,해왕성 12개,명왕성 5개,에리스 1개,하우메아 2개에 이름이 붙었으며, 새로운 위성이 발견됨에 따라 이 수는 계속해서 늘어가고 있다.

2004년 IAU 총회에서 WGPSN에서는CCD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지름 1 km 정도의 작은 위성들도 발견이 가능해짐에 따라, 크기가 작은 위성은 이름을 붙이지 않을 것을 제안했다.[1] 2013년까지는 크기에 상관없이 이름이 붙었지만, 그 후에는 일부 위성은 이름이 붙여지지 않고 있다.

태양계 천체의 위성 명명

[편집]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입니다.

모든 언어에는을 가리키는 어휘가 있으며, 천문학 논문에도 해당 단어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일부 특수 어휘를 사용한 경우가 있는데, 17세기에는 달을 "페르세포네"로 칭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달을라틴어를 따 "루나"로 부르는 경우는 현재도 흔하다. 합성어에서는 그리스어의 "셀레네"(selēnē)를 따 월리학(selenography)과 월학(selenology)에 사용한다.

화성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화성의 위성입니다.

화성의 두 위성포보스데이모스의 이름은 1878년아사프 홀이 지었으며, 이름은그리스 신화아레스의 두 아들 이름에서 따 왔다.

목성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목성의 위성입니다.

갈릴레이 위성이오,유로파,가니메데,칼리스토의 이름은 1610년시몬 마리우스가 발견 이후 붙였으나, 19세기 후반까지 이 이름들은 사용되지 않았으며, 천문학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목성 I", "목성 II"나 "목성의 첫 번째 위성" 등 번호로 불렀다.

20세기 초반에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라는 이름은 다시 인기를 탔지만, 이후에 발견된 5번째부터 12번째 위성은 로마 숫자 V(5)부터 XII(12)까지, 그저 숫자로만 불렸다.[2] 1892년 발견된 목성 V는 프랑스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의 최초 사용 이래,[3] 비공식적인 논의를 통해 "아말테아"라는 이름이 붙었다.[4]

1904년부터 1951년 사이에 발견된 다른불규칙 위성들은 이름 없는 상태로 남겨졌으며, 1955년 브라이언 G. 마즈든이 명칭을 제안하기 전까지는 제안된 이름조차 없었다.[5] 이 이름은 과학 소설이나 기사 등 일부 분야에서는 바로 수용되었지만,[6][7] 1970년대까지 학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8] 1962년 네스테로비치와 1973년 카르펜코가 제안함 이름도 있었지만, 특별한 반응을 얻지 못했다.[9][10]

1974년찰스 코왈의 목성 XIII 발견이 이루어진 1년 후, 1975년IAU 외태양계 명명 실무단에서 목성 V~XIII까지 이름을 부여했고, 이후 발견되는 위성에 이름을 붙이는 절차를 마련했다. 목성 V는아말테아라는 이름이 고정되었고, XIII는 코왈의 제안에 따라레다가 되었으며, VI부터 XII까지는순행 위성의 이름은 a로 끝나고역행 위성의 이름은 e로 끝나게 하자는 철학자 위르겐 블룽크의 제안에 따라, 기존 이름이 전부 폐기되었다.[11]

새로운 명명 체계는 상당한 저항을 받았다. 코왈은 자신이 목성 XIII의 이름을 제안했음에도, 목성의 불규칙 위성은 아에 이름이 붙여지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2]칼 세이건은 새로 붙여진 이름들이 심할 정도로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1955년도의 제안을 바탕으로 1976년 자신이 새 이름을 제안했다.[13] 카르펜코는 1981년 자신이 쓴 책 "The Names of the Starry Sky"에서 같은 문제를 지적하며, e로 끝나는 이름이 항상 일반적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14] 실무단의 대표인 토비아스 오웬은 칼 세이건에게 답변으로, 고의적으로 흔하지 않은 이름을 선택했다는 것을 인정했다.[9]

위성 명칭 제안[9][13]
번호1955년 제안
브라이언 G. 마즈든[5]
1962년 제안
네스테로비치[15]
1973년 제안
카르펜코[10]
1975년 제안
IAU 위원회[9]
1976년 제안
칼 세이건[13]
목성 VI헤스티아아틀라스아드라스테아히말리아마이아
목성 VII헤라허큘리스다나에엘라라헤라
목성 VIII포세이돈페르세포네헬레네파시파에알크메네
목성 IX하데스케르베로스이다시노페레토
목성 X데메테르프로메테우스레토리시테아데메테르
목성 XI다이달로스레다카르메세멜레
목성 XII아드라스테이아헤파이스토스세멜레아난케다나에

현재 목성의 위성을 명명하는 관행은유피테르(제우스)가 연정을 품은 인물이나 자손의 이름을 따는 것으로 굳어져 있다. 위르겐 블룽크의 위성 명명 규칙은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순행 위성의 이름은 o로 끝날 수도 있다는 예외가 추가되었다. 2004년 7월 IAU 총회에서는 당시의 관행이었던 제우스의 연정 관련 인물뿐만 아니라 자손의 이름도 허용했는데, 이는 발견한 목성의 위성 수가 급증함에 따른 것이었다.[1]XXXIV(에우포리에)부터는, LIII(디아)와 LXII(발레투도)를 제외하고, 전부 제우스의 딸 이름이 붙었다. 이후에 발견된 위성들에는 번호는 부여되었으나 이름이 붙지 않은 경우도 있다.

토성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토성의 위성입니다.

1847년 이전에는타이탄은 발견자인크리스티안 하위헌스를 따 "하위헌스의 토성의 위성"이라고 불렀으며, 다른 위성들은 로마 숫자로 불렀다. 1847년에존 허셜이 당시까지 발견된 일곱 개 위성에 이름을 붙였는데, 안쪽의 두 위성(미마스엔셀라두스)은기간테스, 바깥쪽의 다섯 위성(타이탄,이아페투스,테티스,디오네,레아)은티탄의 이름을 땄다. 이후 발견된 위성들도 허셜의 방법을 따랐다.

현재 IAU의 토성 위성 명명 관행도 허셜의 방법과 같이, 티탄 및 티탄의 자식의 이름을 따는 것이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발견되는 위성의 수가 급증하자 외곽 위성들에 대한 규정에 수정을 가했다. 2004년 7월 IAU 총회에서는 토성의 위성들에 그리스-로마 신화 이외의 거인족의 이름을 붙이는 것을 허용했다.[1] 토성의 위성군이 3개로 분류됨에 따라,노르스군노르드 신화,갈릭군켈트 신화,이누이트군이누이트 신화에서의 거인족의 이름을 따고 있다. 이 규칙에 있어 유일한 예외는 노르스군에 속하는포에베로, 어원은 그리스 신화의포이베이다.

천왕성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천왕성의 위성입니다.

천왕성의 위성에 로마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은 상당한 시간 동안 계속해서 변화를 겪었다.윌리엄 허셜은 자신이 티타니아와 오베론 이외에 위성 4개와 고리를 보았다고 하였으나, 이후 50년 간 허셜 이외에 4개 위성과 고리를 본 사람은 없었다.[16] 1840년대에 들어 관측 기술의 발전과 천왕성의 위치가 관측에 유리한 위치로 바뀜에 따라티타니아오베론 외 위성의 관측 사례가 발생하며, 허셜 방식(티타니아가 II, 오베론이 IV)과 라셀 방식(티타니아가 I, 오베론이 II)이 뒤섞여 쓰이게 되었다.[17]아리엘움브리엘의 발견이 공식화된 이후, 라셀은 궤도 순서로 I부터 IV까지 번호를 매겼고, 현재까지 그대로 쓰이고 있다.[18]

1787년 발견한 두 위성은 위성 2개가 더 발견된 후인 1852년까지 이름을 받지 못했다. 위성 명명은존 허셜이 하였는데,그리스 신화에서 이름을 따 오는 대신영문학에 등장하는 공기의 요정을 땄다.오베론티타니아윌리엄 셰익스피어한여름 밤의 꿈에 등장하는 요정오베론티타니아가 유래이며,아리엘움브리엘알렉산더 포프의 "The Rape of the Lock"의님프인 아리엘과 움브리엘에서 이름을 따 왔다. 공기의 요정의 이름을 딴 이유는우라노스가 하늘의 신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후 위성들의 이름은 "공기의 요정"을 잇기보다는 허셜이 제공한 이름의 근원 자체에 집중했다. 1949년 발견한 다섯 번째 위성미란다는 발견자인제러드 카이퍼가 셰익스피어의템페스트의 등장인물의 이름을 땄으며, 현재 천왕성의 위성 명명 관행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는 것이다. 처음에는템페스트에서만 이름을 따 왔지만,마가렛헛소동에서 이름을 따면서 템페스트 관행은 사라지게 되었다.

해왕성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해왕성의 위성입니다.

해왕성에서 당시 유일하게 발견된 위성트리톤은 발견 이후 몇십년 간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다. 1880년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트리톤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였지만,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았고, 트리톤이라는 이름도 "비공식적 명칭"으로 간주되어 천문학계에서는 "해왕성의 위성"으로만 칭했다. 1949년 발견된 두 번째 위성네레이드는 발견 직후제러드 카이퍼가 이름을 붙였다.

현재 IAU에서의 해왕성 위성 명명 관행은 앞 두 위성에 맞추어, 그리스 신화에서의 바다의 신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명왕성

[편집]
명왕성과 다섯 위성.[19]
 이 부분의 본문은명왕성의 위성입니다.

명왕성의 위성카론의 이름은 발견자인제임스 크리스티가 발견 직후 붙였다. 나머지 네 위성의 이름은히드라,닉스,케르베로스,스틱스가 되었으며, 다섯 위성 모두 그리스 신화의하데스(로마 신화에서의 플루토)와 관련이 있는 명칭이다.

에리스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디스노미아 (위성)입니다.

에리스의 위성디스노미아의 이름은 발견자인마이클 E. 브라운이 붙였으며, 이름의 뜻은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뜻은 신화에리스의 딸인 디스노미아(무법자→lawless)이지만, 의도적으로여전사 지나의 출연자인루시 롤리스→lawless라는 뜻도 붙였다. 이는 에리스가 막 발견되어 공식 명칭이 없었을 당시 '지나'라는 별칭이 붙었던 것에서 유래했으며,[20] 현재까지 디스노미아는 공식적으로 "배우의 이름이 붙은" 유일한 위성이다. 에리스와 디스노미아라는 이름은 2006년 8월 14일 국제천문연맹에서 승인되었다.

하우메아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하우메아의 위성입니다.

하우메아하우메아의 위성의 이름은데이빗 L. 라비노비츠하와이 신화에서 따 온 것이다.

소행성대 및 카이퍼대 천체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소행성 위성입니다.

행성 및 왜행성과 다르게, 소행성의 위성 중 이름이 붙은 위성은 드물다.

위성중심체로마자
다크틸243 이다I
에키드나42355 타이푼I
리누스22 칼리오페I
메노이티오스617 파트로클로스I
프티프랭스45 외제니아I
포르키스65489 케토I
레무스87 실비아II
로물루스87 실비아I
사위스케라88611 테하론히아와코I
조에58534 로고스I

로마자 명칭

[편집]

위성의 로마자 명칭 체계는을 제외한 모든 위성에 적용되었다.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발견한갈릴레이 위성의 이름을 목성에서 가까운 순으로I부터IV까지로 붙였다. 비슷한 방식이 토성, 천왕성, 화성의 위성에도 적용되었다. 이 번호는 행성에서 가까운 순으로 붙였기 때문에, 새로운 위성이 발견될 때마다 순서가 조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1789년미마스엔셀라두스 발견 이전에테티스가 토성 I,디오네가 토성 II였지만,[21] 이후 미마스가 토성 I, 엔셀라두스가 토성 II, 테티스가 토성 III, 디오네가 토성 IV가 되었다.

19세기 중반에 들어서자 이 번호는 각 위성에게 고유한 번호로서 정착되었고, 이후아말테아가 이오보다 안쪽 궤도에 있지만 "목성 V"로 이름이 붙으며 궤도 순서 규칙이 깨졌다. 로마 숫자는 그 후부터 발견 순서를 뜻하는 것으로서 암묵적인 정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현재에는 이 규칙을 엄격하게 따르지는 않고, 만약 위성이 단기간에 여러 개 발견된다면 궤도 순서 등 다른 규칙에 따라 붙이기도 한다. 로마자 명명 방법은87 실비아 I 로물루스 등 소행성의 위성까지 확대되었다.

로마자 명칭은 보통 이름이 붙을 때까지는 붙지 않으며, 임시 명칭만 있을 경우에는 붙지 않았다. 1975년부터 2013년까지 국제천문연맹에서 모든 위성에 이름을 붙였기 때문에 로마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었지만, 최근에 발견된 위성 일부는 궤도 요소가 완벽히 파악되어 로마자 명칭이 붙은 이후에도 이름이 붙지 않았기 때문에 이 위성들은 구별을 위해 로마자 명칭을 사용한다. 최초로 이 경우에 해당한 위성은목성 LI이다.

임시 명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천문학의 임시 명칭 § 위성 및 고리입니다.

위성이 처음 발견되면 "S/2010 J 2" (2010년 목성에서 2번째로 발견된 위성)이나 "S/2003 S 1" (2003년 토성에서 1번째로 발견된 위성)처럼 임시 명칭이 부여된다. 앞의 "S/"는 위성(satellite)을 의미하며, "D/", "C/", "P/"는혜성에, "R/"은 고리에 사용된다. 간혹 두 번째 띄어쓰기를 생략해 "S/2003 S1"처럼 적기도 한다. 네 숫자는 발견 년도이며, 뒤의 글자는 행성의 약자이다. 수성(Mercury)은 화성(Mars)과의 중복을 막기 위해, 어원적으로 같은헤르메스(Hermes)를 사용한다.

참고: 수성의 "H" 사용은 통상 IAU 지침을 따르는USGS 행성 명명 사전에 나오는 것이지만, 확인 필요: 현재까지 수성을 공전하는 위성이 발견된 적이 없음.

명왕성(Pluto)은왜행성으로 격하되기 전에는P를 사용했다.소행성체 주변에서 위성이 발견되면 모천체의 소행성체 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243 이다의 위성다크틸의 임시 명칭은 "S/1993 (243) 1"였으며, 발견 확인 후 명칭 부여 후에는(243) 이다 I 다크틸이 되었다. 같은 원리로 명왕성의 넷째 위성인케르베로스는 명왕성의 행성 지위 박탈 이후 발견되었기 때문에, S/2011 P 1 대신S/2011 (134340) 1이라는 임시 명칭이 붙었다.[22] 명왕성의 행성 지위 박탈에 반대했던뉴 허라이즌스 팀은 S/2011 P 1을 사용했다.[23]

몇 개월에서 몇 년 후 위성의 존재가 완전히 확정되고 궤도가 계산되면 임시 명칭 대신 영구 명칭이 부여된다. 과거에 발견된 위성들은 매우 오랜 기간 동안 명칭이 붙여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변천사

[편집]

IAU 이전 명칭

[편집]

다음 명칭들은IAU 1973년 위성 명명 위원회의 상정 이전에 비공식적으로 통용된 명칭들이다.

IAU 이전 명칭
날짜명명자명칭사진행성/번호 명칭발견일비고
17세기
1614년시몬 마리우스이오
목성 I1610시몬 마리우스는 자신의 책 "Mundus Iovialis anno M.DC.IX Detectus Ope Perspicilli Belgici"에서 이 이름을 제안하였으며, 이 이름은요하네스 케플러제안이라고 밝혔다.
유로파
목성 II
가니메데
목성 III
칼리스토
목성 IV
19세기
1847년존 허셜미마스
토성 I1789허셜은 자신의 책 "Resul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made at the Cape of Good Hope"에서 토성의 위성 일곱 개의 이름을 붙였다.
엔셀라두스
토성 II
테티스
토성 III1684
디오네
토성 IV
레아
토성 V1672
타이탄
토성 VI1655
이아페투스
토성 VIII1671
1848윌리엄 라셀히페리온
토성 VII1847허셜의 제안을 따라 라셀은 위성의 이름을 히페리온으로 지었다.Discovery of a New Satellite of Satur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Vol. 8, No. 9, pp. 195–197.
1852년존 허셜아리엘
천왕성 I1851허셜은 천왕성의 네 위성의 이름을 1952년에 붙였다.Astronomische Nachrichten, Vol. 34, No. 812, pp. 325/326
움브리엘
천왕성 II
티타니아
천왕성 III1787
오베론
천왕성 IV
1878년아사프 홀포보스
화성 I1877홀은 자신이 발견한 위성의 이름을 포버스(Phobus)와 데이머스(Deimus)로 지었으며:Astronomische Nachrichten, Vol. 92, No. 2187, pp. 47/48 이후 "포보스"와 "데이모스"로 점차 바뀌었다.
데이모스
화성 II
1880년카미유 플라마리옹트리톤
해왕성 I1846플라마리옹은 자신의 책 "Astronomie populaire"에서 트리톤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며:p. 591 이 이름은 이후 몇십 년 동안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간주되었다.
1893년아말테아
목성 V1892플라마리옹은 발견자인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와의 서신에서 아말테아라는 이름을 제안했지만, 바너드는 어떠한 이름을 붙이는 것을 거부했고, 아말테아는 1975년 IAU에서 공식 명칭으로 받아들여지기 전까지 비공식 명칭으로 존재했다.
1899년 4월윌리엄 헨리 피커링포에베
토성 IX1899피커링은 자신이 발견한 위성의 이름을 포에베로 제안했다.A New Satellite of Saturn
20세기
1939년 4월세스 반스 니컬슨은 자신이 발견한 목성의 위성에 이름 붙이기를 거부했다.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Vol. 51, No. 300, pp. 85–94
1949년 6월제러드 카이퍼미란다
천왕성 V1948카이퍼는 자신의 발견 논문에서 미란다라는 이름을 제안했다.The Fifth Satellite of Uranus
1949년 8월네레이드
해왕성 II1949카이퍼는 자신의 발견 논문에서 네레이드라는 이름을 제안했다.The second satellite of Neptune
1967년2월 1일오두인 돌퍼스야누스
토성 X1966돌퍼스는 자신의 위성 발견 논문에서 위성의 이름을 야누스라고 붙였다.IAUC 1995: Saturn X (Janus)

IAU 명칭

[편집]

밑의 명칭은 IAU의 공식적 절차를 통해 선택된 이름들로, 이름을 정한 사람이 확실한 경우는 드물다.

20세기

[편집]
IAU 명칭 - 20세기
날짜명칭사진행성/번호 명칭발견일비고
1975년10월 7일히말리아목성 VI1904IAUC 2846: 목성의 위성. "아말테아"라는 이름을 공식화함.
엘라라목성 VII1905
파시파에목성 VIII1908
시노페목성 IX1914
리시테아목성 X1938
카르메목성 XI
아난케목성 XII1951
레다목성 XIII1974
1982년에피메테우스토성 XI1980Transaction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Vol. XVIIIA, 1982. "야누스"라는 이름을 공식화함.
텔레스토
토성 XIII
칼립소
토성 XIV
1983년9월 30일테베
목성 XIV1979IAUC 3872: 목성, 토성의 위성
아드라스테아
목성 XV
메티스
목성 XVI
아틀라스
토성 XV1980
1986년1월 3일프로메테우스
토성 XVIIAUC 4157: 토성, 명왕성의 위성
판도라
토성 XVII
카론
명왕성 I1978
1988년6월 8일헬레네
토성 XII1980IAUC 4609: 토성, 천왕성의 위성
코델리아천왕성 VI1986
오필리아천왕성 VII
비안카천왕성 VIII
크레시다천왕성 IX
데스데모나천왕성 X
줄리엣천왕성 XI
포르티아천왕성 XII
로살린드천왕성 XIII
벨린다천왕성 XIV
천왕성 XV1985
1991년9월 16일
토성 XVIII1990IAUC 5347: 토성, 해왕성의 위성
나이아드해왕성 III1989
탈라사해왕성 IV
데스피나해왕성 V
갈라테아해왕성 VI
라리사
해왕성 VII
프로테우스
해왕성 VIII
1998년4월 30일칼리반천왕성 XVI1997IAUC 7132: 천왕성의 위성
시코락스천왕성 XVII
2000년8월 21일프로스페로천왕성 XVIII1999IAUC 7479: 천왕성의 위성
세테보스천왕성 XIX
스테파노천왕성 XX

21세기

[편집]
IAU 명칭 - 21세기
날짜명칭사진행성/번호 명칭발견일비고
2002년10월 22일칼리로에목성 XVII1999IAUC 7998: 목성의 위성
테미스토목성 XVIII2000
메가클리테목성 XIX2001IAUC 7998에서 "Magaclite"로 표기; 2002년 11월 29일에IAUC 8023: 목성의 위성에서 정정됨.
타이게테목성 XXIAUC 7998: 목성의 위성
칼데네목성 XXI
하르팔리케목성 XXII2000
칼리케목성 XXIII2001
이오카스테목성 XXIV
에리노메목성 XXV
이소노에목성 XXVI
프락시디케목성 XXVII
2002년8월 8일아우토노에목성 XXVIII2002IAUC 8177: 목성, 토성, 천왕성의 위성
티오네목성 XXIX
헤르미페목성 XXX
아이트네목성 XXXI
유리도메목성 XXXII
유안테목성 XXXIII
유포리에목성 XXXIV
오르토시에목성 XXXV
스폰데목성 XXXVI
칼레목성 XXXVII
파시티목성 XXXVIII
2003년8월 8일이미르토성 XIX2000IAUC 8177: 목성, 토성, 천왕성의 위성
팔리아크토성 XX
타르보스토성 XXI
이지라크토성 XXII
수툰그르토성 XXIIIIAUC 8177에서 "Suttung"으로 표기; 2005년 1월 21일에IAUC 8471: 토성의 위성에서 정정됨.
키비우크토성 XXIVIAUC 8177: 목성, 토성, 천왕성의 위성
문딜파리토성 XXV
알비오릭스토성 XXVI
스카티토성 XXVIIIAUC 8177에서 "Skadi"로 표기; 2005년 1월 21일에IAUC 8471: 토성의 위성에서 정정됨.
에리아푸스토성 XXVIIIIAUC 8177에서 "Erriapo"로 표기; 2007년 12월 14일에 정정됨 (USGS)
시아르나크토성 XXIXIAUC 8177: 목성, 토성, 천왕성의 위성
트리므르토성 XXXIAUC 8177에서 "Thrym"으로 표기; 2005년 1월 21일에IAUC 8471: 토성의 위성에서 정정됨.
2003년8월 8일트린쿨로천왕성 XXI2002IAUC 8177: 목성, 토성, 천왕성의 위성
2005년1월 21일나르비토성 XXXI2003IAUC 8471: 토성의 위성
메토네토성 XXXII2004
팔레네
토성 XXXIII
폴리데우케스
토성 XXXIV
2005년3월 30일헤게모네목성 XXXIX2003IAUC 8502: 목성의 위성
므네메목성 XL
아오에데목성 XLI
텔크시노에목성 XLII2004
아르케목성 XLIII2002
칼리코레목성 XLIV2003
헬리케목성 XLV
카르포목성 XLVI
유켈라데목성 XLVII
킬레네목성 XLVIII
2005년12월 29일프란시스코천왕성 XXII2006IAUC 8648: 천왕성의 위성
마가렛천왕성 XXIII
페르디난드천왕성 XXIV
페르디타천왕성 XXV
마브천왕성 XXVI
큐피드천왕성 XXVII
2006년6월 21일닉스명왕성 II2005IAUC 8723: 명왕성의 위성
히드라
명왕성 III
2006년7월 17일다프니스
토성 XXXV2005IAUC 8730: 토성 XXXV (다프니스) = S/2005 S 1
2006년9월 13일디스노미아에리스 I2005IAUC 8747: (134340) 명왕성, (136199) 에리스, (136199) 에리스 I (디스노미아)
2007년2월 3일할리메데해왕성 IX2002IAUC 8802: 해왕성의 위성
프사마테해왕성 X2003
사오해왕성 XI2002
라오메데이아해왕성 XII
네소해왕성 XIII
2007년4월 5일코레목성 XLIX2003IAUC 8826: 목성, 토성의 위성
2007년4월 5일아에기르토성 XXXVI2004IAUC 8826: 목성, 토성의 위성
베비온토성 XXXVII
베르겔미르토성 XXXVIII
베스틀라토성 XXXIX
파르바우티토성 XL
펜리르토성 XLI
포르뇨트토성 XLII
하티토성 XLIII
히로킨토성 XLIVIAUC 8826에서 "Hyrokkin"으로 표기; 2007년 7월 31일IAUC 8860: 토성 XLIV (Hyrrokkin)에서 정정됨.
카리토성 XLV2006IAUC 8826: 목성, 토성의 위성
로게토성 XLVI
스콜토성 XLVII
수르투르토성 XLVIII
2007년9월 20일안테토성 XLIX2007IAUC 8873: 토성의 위성
야른삭사토성 L2006
그레이프토성 LI
타르케크토성 LII2007
2008년9월 17일히이아카하우메아 I2005
나마카하우메아 II2005
2009년5월 5일아에가에온토성 LIII2009IAUC 9041: S/2008 S 1에게의 번호 및 명칭 부여
2009년11월 11일헤르세목성 L2003IAUC 9094: S/2003 J 17에게의 번호 및 명칭 부여
2013년7월 2일케르베로스
명왕성 IV2011IAU 1303
스틱스
명왕성 V2012
2015년3월 7일(미명명)목성 LI2010CBET (Central Bureau Electronic Telegram) 4075: 20150307: 목성의 위성, 2015년 3월 7일
목성 LII2010
디아목성 LIII2000
2017년6월 9일(미명명)목성 LIV2016MPC 105280: 자연위성 번호 부여
목성 LV2003
목성 LVI2011
(당시 미명명)목성 LVII2003
목성 LVIII2003
(미명명)목성 LIX2017
2017년10월 5일(당시 미명명)목성 LX2003MPC 106505: 자연위성 번호 부여
2018년9월 25일(미명명)목성 LXI2003MPC 111804: 자연위성 번호 부여
(당시 미명명)목성 LXII2016
(미명명)목성 LXIII2017
목성 LXIV2017
(당시 미명명)목성 LXV2017
(미명명)목성 LXVI2017
목성 LXVII2017
목성 LXVIII2017
목성 LXIX2017
목성 LXX2017
(당시 미명명)목성 LXXI2018
(미명명)목성 LXXII2011
(당시 미명명)해왕성 XIV2004
2018년10월 4일발레투도목성 LXII2016목성 위성 명칭 승인: 발레투도
2019년2월 20일히포캄프해왕성 XIV2004해왕성 위성 명칭 승인: 히포캠프
2019년8월 19일에이레네목성 LVII2003목성의 다섯 위성의 이름 승인
필로프로시네목성 LVIII2003
유페메목성 LX2003
판디아목성 LXV2017
에르사목성 LXXI201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보관됨 10월 9, 2004 -웨이백 머신
  2. Nicholson, Seth Barnes (April 1939).“The Satellites of Jupiter”.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51 (300): 85–94.Bibcode:1939PASP...51...85N.doi:10.1086/125010. 
  3. USGS Astrogeology Research Program,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2]
  4. Barnard, E. E. (1893). “Jupiter's fifth satellite”. 《Popular Astronomy》 (1): 76–82. 
  5. Marsden, Brian (1955). “Satellite Nomenclature”.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65: 308–310. 
  6. Asimov, Isaac (1957). 《Lucky Starr and the Moons of Jupiter》. Doubleday & Co.ISBN 0-553-29682-5. 
  7. Asimov, Isaac (December 1963). “Roll Call”.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 
  8. Payne-Gaposchkin, Cecilia; Katherine Haramundanis (1970).《Introduction to Astronom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ISBN 0-13-478107-4. 
  9. Owen, Tobias (September 1976). “Jovian Satellite Nomenclature”. 《Icarus》29 (1): 159–163.Bibcode:1976Icar...29..159O.doi:10.1016/0019-1035(76)90113-5. 
  10. Журнал "Земля и Вселенная" №6 1973 г
  11. “IAUC 2846: N Mon 1975 (= A0620-00); N Cyg 1975; 1975h; 1975g; 1975i; Sats OF JUPITER”. Cbat.eps.harvard.edu. 2011년 11월 6일에 확인함. 
  12. Kowal, Charles T. (December 1976). “The Case Against Names”. 《Icarus》29 (4): 513.Bibcode:1976Icar...29..513K.doi:10.1016/0019-1035(76)90071-3. 
  13. Sagan, Carl (April 1976). “On Solar System Nomenclature”. 《Icarus》27 (4): 575–576.Bibcode:1976Icar...27..575S.doi:10.1016/0019-1035(76)90175-5. 
  14. Ю. А. Карпенко, "Названия звёздного неба", 1981. pp. 94-96
  15. Nesterovich, E. I. (1962). “On some regularities in structure of systems of planetary satellites”. 《Bulletin of VAGO (Astronomical-Geodetical Society of the U.S.S.R.)》 (31 (38)): 51–56. 
  16. Herschel, John (1834년 3월 14일).“On the satellites of Uranu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3 (5): 35-36.Bibcode:1834MNRAS...3...35H.doi:10.1093/mnras/3.5.35.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17. Lassell, William (1848년 1월 14일).“Observations of Satellites of Uranu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8 (3): 43-44.Bibcode:1848MNRAS...8...43L.doi:10.1093/mnras/8.3.43.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date= (도움말)
  18. Lassell, W.;Letter from William Lassell, Esq., to the Editor, Astronomical Journal, Vol. 2, No. 33 (signed November 11, 1851), p. 70
  19. “Names for New Pluto Moons Accepted by the IAU After Public Vote”. 《IAU Press Release》. 2013년 7월 7일에 확인함. 
  20. Tytell, David (2006년 9월 14일).“Tytell, David: All hail Eris and Dysnomia”. Skyandtelescope.com. 2012년 5월 27일에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6일에 확인함. 
  21. Herschel, William (1790년 1월 1일). “Account of the Discovery of a Sixth and Seventh Satellite of the Planet Saturn; With Remarks on the Construction of Its Ring, Its Atmosphere, Its Rotation on an Axis, and Its Spheroidical Figure. By William Herschel, LL.D. F. R. 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80: 1–20.doi:10.1098/rstl.1790.0001.JSTOR 106823. 
  22. http://www.cbat.eps.harvard.edu/cbet/cbet002769.txt
  23. New Horizons news,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Fourth Moon Adds to Pluto's Appeal", 20 July 2011

외부 링크

[편집]
행성의 위성


왜행성의 위성
크기순 위성
(반지름≥100 km)
반지름
가나다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위성_명명법&oldid=40546466"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