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우크라이나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발음[ʊkrɐˈjinʲsʲkɐ ˈmɔʋɐ]
원어 지역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기러시아의 서부
벨라루스의 기벨라루스의 남부
지역동유럽
원어 화자
4700만여 명 (2007)
순위26위
키릴 문자
공식 상태
공용어로 쓰는 나라
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기트란스니스트리아
규제 기관우크라이나 국립 과학원
언어 코드
ISO 639-1uk
ISO 639-2ukr
ISO 639-3

우크라이나어(우크라이나어:українська мова)는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자우크라이나 및 기타 지역에서 사용된다.러시아어 등과 함께인도유럽어족슬라브어파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인도 유럽어족에 속하는슬라브어파이란어파,아르메니아어파,알바니아어파,발트어파 등과 함께사템어군에 속한다. 이 중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는 언어적으로 다양한 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1] 13세기까지동슬라브어은 구분되지 않았으며방언으로서의 차이만 있는 비교적 단일 언어에 가까웠다.[2] 1056년에서 1057년 사이에 제작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오스트르미르 복음서는 동슬라브어의 특징들을 보여준다.[3] 교회어는 점차 문자어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12세기부터는 법령, 공문서. 증명서 등 세속적인 목적에서도 사용되었다.[4]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가 러시아어와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한 것은 14세기경으로 추정되며 동슬라브어의 언어적 통일성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리투아니아에 귀속된 14세기부터 와해되었으나, 16-17세기 사이까지는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는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5] 상용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가 교회 슬라브어와 함께 문학어로도 사용된 것은 16세기에서 17세기이다.[6] 현재의 러시아 지역에서는 1720년 교회 문헌 상에서 교회 슬라브어로부터 파생된 러시아 문학어만 사용하라는 명령이 내려오는 등 18세기부터 문학어로서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가 사용되지 않기 시작하였다. 러시아가 리투아니아 영토를 귀속한 18세기 후반에는예카테리나 2세가 상용어에서도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가 아닌 러시아어만 사용할 것을 명령하였다.

문자

[편집]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한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우크라이나어 알파벳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Ж жЗ зИ и
І іЇ ї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Ь ьЮ юЯ я
우크라이나어 사용 국가 및 인구
국가사용 인구
우크라이나의 기우크라이나31,058,000
러시아의 기러시아 (시베리아)4,363,000
카자흐스탄의 기카자흐스탄898,000
미국의 기미국844,026
몰도바의 기몰도바600,000
헝가리의 기헝가리300,000
벨라루스의 기벨라루스291,000
캐나다의 기캐나다174,830
우즈베키스탄의 기우즈베키스탄153,000
폴란드의 기폴란드150,000
키르기스스탄의 기키르기스스탄109,000
슬로바키아의 기슬로바키아100,000
라트비아의 기라트비아78,000
루마니아의 기루마니아57,593
조지아의 기조지아52,000
리투아니아의 기리투아니아45,000
타지키스탄의 기타지키스탄41,000
투르크메니스탄의 기투르크메니스탄37,118
아제르바이잔의 기아제르바이잔32,000
파라과이의 기파라과이26,000
에스토니아의 기에스토니아21,320
아르메니아의 기아르메니아8,000
세르비아의 기세르비아2,955

음운

[편집]

자음

[편집]
 양순음순치음치음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
파열음p
b
 t
d
 k
 
파찰음  ʦ
ʦʲ
ʣ
ʣʲ
ʈʂ
 
ɖʐ
 
  
마찰음 f
v
s
z
ʂ
 
ʐ
 
 x
 
ɣ
 
비음m
 n
   
전동음  r
   
접근음  ɫ
 j 

일반적인 키릴 문자로Г인 /g/가 /x/나 /ɣ/으로마찰음화 되어 발음되는데,[7] 이는체코어,슬로바키아어,고지 소르비아어,벨라루스어,남부 러시아어,슬로베니아 일부 방언에서도 발생한다.[8]

문법

[편집]

우크라이나어는 총 7개의 격을 가지며, 각각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 호격이 있다. 또한 다른 유럽어들과 같이 명사는 성을 가지며, 남성, 여성, 중성 총 3개이다. 이뿐만 아니라, 명사들은 활동체인지 비활동체인지도 나뉜다.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대 슬라브어와 마찬 가지로, 활성 남성 단수의대격생격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변화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9]러시아어,슬로베니아어,슬로바키아어,벨라루스어와는 달리 호격이 남아있다.[1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최승진 2012, 32쪽: "인도 유럽어족에 속하는 슬라브어는 이란어, 아르메니아어, 알바니아어, 발트 어 등과 함께 사템어군에 속한다. 같은 군의 발트어와 슬라브어는 지리적으로 근접하기도 하지만 언어적으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2. 최승진 2012, 32쪽: "13세기까지 동슬라브어는 오늘날과 같이 구별되지 않았으며 다만 지역적인 방언으로 몇 개로 나눠졌는데 서로는 언어적 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는 비교적 통일어에 가까웠다"
  3. 최승진 2012, 32쪽: "1056-1057년 제작된 최고문헌인 오스트로미르복음서(ОСТОМИРОВА ЕВАНГЕЛИЯ)는 이미 동슬라브어의 여러 가지 특징을 보인다"
  4. 최승진 2012, 32쪽: "교회어는 점차 문자어로 자리 잡아 널리 사용되는데 12세기부터는 종교 외에도 각종 공문서나 법령, 증명서 등 세속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5. 김용화 2011, 284쪽: "동슬라브어의 언어적 통일성이 와해된 것은 대략 14세기경이다. 통상 '이 시기부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로루시어로 분리된 세 언어가 독자적인 발전과정을 거치며, 현재와 같은 각각의 고유한 문학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라고 생각하기 쉽다. 즉 '14세기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혹은 벨로루시 고유의 언어로 작성된 문헌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기대한다"
  6. 김용화 2011, 284쪽: "14-15세기에 고유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로루시어, 그리고 러시아어로 작성 된 문헌은 단지 상용어 (деловой язык) 문서였고, 이 상용어도 상호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5세기 말부터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 상용어가 사용영역을 확장하며, 교회슬라브어와 함께 16-17세기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 의 문학어로 기능하였다. 이 언어가 проста мова (ПМ)1)이다"
  7. Shevelov 1977, 197쪽: "it was relegated to prehistoric time.3" (이는 역사로 기록되기 이전 시대에 음운적으로 변화(relegated)한 것이다)
  8. Shevelov 1977, 197쪽: "e g > y occurred in the vast area from the Bavarian frontier to the Oka (i.e., in Czech, Slovak, Upper Sorbian, Belorussian, Ukrainian, and South Russian, as well as in some westernmost dialects of Slovene and some littoral dialects of Serbo-Croatian)"
  9. 정정원 2021, 4쪽: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는 명사와 형용사5)에서 활성 남성 단수(Animate Masculine Singular)의 대격 (Accusative)이 남성 단수의 생격(Genitive)과 동일한 형태라는 공통점을 가 지고 있다. 비활성 남성 및 중성 단수의 대격은 대체로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며, 여성 단수의 대격은 활성/비활성에 관계없이 별도의 대격 형태로 표현 된다는 것 또한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에서 동일하다"
  10. 정정원 2021, 4쪽: "7) 간혹 서로 다른 슬라브어 단수격의 격형태가 일치하는 경우도 발견되지만, 그 일치됨의 일 관성이 부족하여, 남성, 중성 단수 대격이 주격 및 생격과 일치하는 경우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세-크-보어의 경우 여격과 처소격이 모든 성의 단수 명사 곡용에서 형태적으로 일치하지만, 형용사 단수의 곡용에서 일치하지 않아서, 세-크-보어 단수 곡용에서 여격이 처소격을, 혹은 처소격이 여격을 대신한다고 할 수 없다. 한편, 곡용하는 현대 슬라브어 중 러시아어, 슬로베니아어, 슬로바키아어, 벨라루스어에서는 호격이 사라졌기 때문에, [표1]에서 ( )로 표시하였다"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우크라이나어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Portal icon우크라이나 포털
조어
고대 러시아어
루테니아어
기타
역사
연대순
주제별
지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인구
연방 공용어
연방주체 공용어
공식 지위를 가진 언어
문자 체계
1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가 공식적 문자로 사용된다.2 다른 비키릴 문자의 경우, 별도의 연방법 규정이 필요하다.
국가
기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크라이나어&oldid=40756664"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