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은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22년 3월) |
이 문서는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더 좋은 문서가 되도록문서 편집을 도와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2022년 3월 19일) |
| 영주시 榮州市 | |||||
|---|---|---|---|---|---|
지그재그 방향으로 첫 번째는소수서원 (사적 제55호), 두 번째는 선비촌, 세 번째는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보물 제221호), 네 번째는부석사 다섯 번째는 구성공원 안에 위치한 가학루(駕鶴樓), 여섯 번째는무섬마을, 일곱 번째는 희방폭포다. | |||||
| |||||
| |||||
영주시의 위치 | |||||
| 행정 | |||||
| 국가 | |||||
| 지역 | 경상북도 | ||||
| 행정 구역 | 1읍 9면 9행정동 13법정동 | ||||
| 청사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시청로 1 (휴천2동 470) | ||||
| 단체장 | 이재훈(권한대행) | ||||
| 국회의원 | 임종득(국민의힘,영주시·영양군·봉화군) | ||||
| 지리 | |||||
| 면적 | 670.09 km2 | ||||
| 인문 | |||||
| 인구 | 103,630명(2023년 7월년) | ||||
| 인구 밀도 | 150.17명/km2 | ||||
| 상징 | |||||
| 시목 | 은행나무 | ||||
| 시화 | 철쭉 | ||||
| 시조 | 까치 | ||||
| 마스코트 | 영주도령 | ||||
| 지역 부호 | |||||
| 지역번호 | 054-63× | ||||
| 웹사이트 | http://www.yeongju.go.kr/ | ||||
영주시(榮州市)는대한민국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시이다. 동쪽으로경상북도봉화군, 서쪽으로는예천군, 남쪽으로는안동시, 북쪽으로는 마구령을 경계로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 죽령과 고치령을 경계로충청북도단양군과 인접한다.풍기인삼과 소수서원, 부석사, 소백산국립공원으로 유명하다. 인구는 2023년 기준 103,630명으로, 다소 감소 추세에 있다.
경상북도의 최북단에 위치한영주보관됨 2022-03-07 -웨이백 머신시는 남북이 길고 동서로는 협소하며,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어 주봉인 비로봉(1,439m), 국망봉(1,421m), 연화봉(1,394m)과죽령을 경계로 하여 도솔봉(1,315m)으로 이어진소백산 산록 고원 부지에 형성되어 있으며봉황산과 북부 산악지대에서 발원한 내성천은 봉화군을 관류하여 문수면수도리에 이르고,소백산 주봉인 비로봉·연화봉과 죽령계곡에서 발원한 남원천과,국망봉에서 발원한 죽계천이 고현동에서 합류 되어 서천을 이루어 시가지를 감돌아낙동강으로 유입되며,토질은 대부분이 사질양토로 각종 농산물이 잘 자라며,특히 북부 산악지대는 사양토이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어인삼,사과 등의 생육에 적절한 곳이다.
| 영주기상관측소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7], 해발 211.32m)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13.6 (56.5) | 21.6 (70.9) | 25.2 (77.4) | 32.0 (89.6) | 35.2 (95.4) | 35.5 (95.9) | 37.5 (99.5) | 38.0 (100.4) | 33.9 (93.0) | 30.0 (86.0) | 24.5 (76.1) | 16.4 (61.5) | 38.0 (100.4)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2.7 (36.9) | 5.8 (42.4) | 11.5 (52.7) | 18.6 (65.5) | 23.9 (75.0) | 27.4 (81.3) | 28.9 (84.0) | 29.6 (85.3) | 25.5 (77.9) | 20.0 (68.0) | 12.2 (54.0) | 4.8 (40.6) | 17.6 (63.7) |
| 일일 평균 기온 °C (°F) | −2.2 (28.0) | 0.2 (32.4) | 5.4 (41.7) | 11.8 (53.2) | 17.2 (63.0) | 21.3 (70.3) | 24.0 (75.2) | 24.2 (75.6) | 19.3 (66.7) | 12.9 (55.2) | 6.1 (43.0) | −0.4 (31.3) | 11.7 (53.1)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7.3 (18.9) | −5.4 (22.3) | −0.6 (30.9) | 4.8 (40.6) | 10.5 (50.9) | 15.8 (60.4) | 20.1 (68.2) | 20.2 (68.4) | 14.2 (57.6) | 6.7 (44.1) | 0.4 (32.7) | −5.4 (22.3) | 6.2 (43.2) |
| 역대 최저 기온 °C (°F) | −23.8 (−10.8) | −20.7 (−5.3) | −12.0 (10.4) | −5.8 (21.6) | 1.2 (34.2) | 5.1 (41.2) | 10.8 (51.4) | 9.6 (49.3) | 2.0 (35.6) | −6.9 (19.6) | −11.5 (11.3) | −20.0 (−4.0) | −23.8 (−10.8) |
| 평균강수량 mm (인치) | 18.4 (0.72) | 30.2 (1.19) | 53.3 (2.10) | 94.8 (3.73) | 118.5 (4.67) | 158.5 (6.24) | 298.8 (11.76) | 283.7 (11.17) | 154.1 (6.07) | 58.2 (2.29) | 42.2 (1.66) | 23.3 (0.92) | 1,334 (52.52) |
| 평균 강수일수(≥ 0.1 mm) | 5.0 | 5.1 | 7.8 | 8.5 | 8.4 | 9.6 | 15.8 | 15.0 | 9.9 | 5.7 | 7.1 | 5.5 | 103.4 |
| 평균상대 습도 (%) | 59.2 | 56.2 | 55.5 | 53.8 | 59.7 | 67.6 | 77.2 | 77.2 | 75.0 | 69.6 | 65.4 | 61.9 | 64.9 |
| 평균 월간일조시간 | 185.2 | 187.4 | 211.5 | 222.5 | 247.0 | 205.6 | 147.7 | 163.0 | 169.8 | 197.5 | 167.7 | 175.0 | 2,279.9 |
| 출처: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8][9] | |||||||||||||
영주시는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영남 육괴의 북부에 위치해 있어, 전 지역이선캄브리아기의변성암류와중생대에 이를 관입한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10]
영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주시의 면적은 668.89km2이며, 인구는2021년12월을 기준으로 50,271세대 101,942명이다.[11]
|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 풍기읍 | 豊基邑 | 5,473 | 10,485 | 75.93 |
| 이산면 | 伊山面 | 1,197 | 2,295 | 53.24 |
| 평은면 | 平恩面 | 787 | 1,422 | 62.18 |
| 문수면 | 文殊面 | 1,116 | 1,938 | 41.25 |
| 장수면 | 長壽面 | 1,163 | 2,143 | 42.06 |
| 안정면 | 安定面 | 1,583 | 2,962 | 43.69 |
| 봉현면 | 鳳峴面 | 1,404 | 2,700 | 51.93 |
| 순흥면 | 順興面 | 1,121 | 1,983 | 54.35 |
| 단산면 | 丹山面 | 1,075 | 1,831 | 92.2 |
| 부석면 | 浮石面 | 1,688 | 2,995 | 91.68 |
| 상망동 | 上望洞 | 3,467 | 7,430 | 15.78 |
| 하망동 | 下望洞 | 2,889 | 6,007 | 2.55 |
| 영주1동 | 榮州1洞 | 2,228 | 3,912 | 1.02 |
| 영주2동 | 榮州2洞 | 2,549 | 4,915 | 0.49 |
| 휴천1동 | 休川1洞 | 2,796 | 6,511 | 5.24 |
| 휴천2동 | 休川2洞 | 5,030 | 9,837 | 0.88 |
| 휴천3동 | 休川3洞 | 3,549 | 7,599 | 10.32 |
| 가흥1동 | 可興1洞 | 6,735 | 15,303 | 7.08 |
| 가흥2동 | 可興2洞 | 4,421 | 9,674 | 17.12 |
| 연도 | 총인구 | |
|---|---|---|
| 1975년 | 173,977명 | ![]() |
| 1980년 | 163,397명 | ![]() ![]() ![]() ![]() |
| 1985년 | 157,292명 | ![]() ![]() ![]() |
| 1990년 | 140,889명 | ![]() ![]() |
| 1995년 | 131,097명 | ![]() ![]() ![]() ![]() |
| 2000년 | 126,507명 | ![]() ![]() ![]() ![]() ![]() |
| 2005년 | 114,081명 | ![]() ![]() ![]() |
| 2010년 | 113,926명 | ![]() ![]() ![]() |
| 2015년 | 109,735명 | ![]() ![]() ![]() |
| 2020년 | 103,119명 | ![]() ![]() |

영주시의 캐릭터는 "영주도령"이다. 선비의 고장인 영주를 상징하는 선비의 모습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게 도령의 모습으로 만들었다. 앞으로 영주시를 새롭게 만들어 갈 영주의 도령은 활력이 넘치고 희망이 가득한 영주시를 상징하고 과거의 정신을 바탕으로 밝은 미래가 있는 영주시로 거듭나겠다는 영주시의 의지를 담고 있다.

은행잎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활기차게 뻗어나가는 높은 기상과 세계화를 추구하는 영주의 영문 첫머리의 Y자를 의미한다. 적색의 원은 특산물인사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마름모형을 이룬 원은 특산물인 인삼꽃(딸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신라문무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세운화엄종 종찰부석사가 부석면 북지리에 있다. 국보 5점, 보물 4점, 도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 중 하나로 몇 안 되는고려시대 건축물인부석사 무량수전이 유명하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된소수서원이 있다.조선중종 37년(1542년)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 순흥면 내죽지에 있다. 그리고 소백산국립공원이 소재하고 있다. 관광문화해설사가 관광지 주변 건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광 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중앙선,영동선,경북선의 분기점이며 서울(청량리역),강릉,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김천으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며,코레일 경북본부가 위치한 철도의 요충지이다. 2022년 경에중앙선 복선전철화 및 고속화가 완료되면 서울(청량리역)로 1시간 내외, 대구(동대구역)로 45분 내외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서산↔️울진 동서횡단철도(예정)
중앙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영주를 관통하며영주 나들목과풍기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남북으로국도 제5호선,제28호선이 지나며, 동서로국도 제36호선이 있다.
영주시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예천공항을 통해김포나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15]국내선 및 일부일본 ·중국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김해국제공항, 또는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영주읍 일원 | 영주시 |
| 안정면 아지리 | |
| 이산면 조암리 | |
| 문수면 적서리 |
![]() | 충청북도 단양군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 ![]() | |
| 경상북도 봉화군 | ||||
| 경상북도 예천군 | 경상북도 안동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