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엄씨 종문 | |
| 나라 | 한국 |
|---|---|
| 관향 | 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 |
| 시조 | 엄림의(嚴林義) |
| 주요 인물 | 엄수안,엄유온,귀인 엄씨,엄흔,엄흥도,엄황,엄집,엄숙,엄진삼,엄준원,엄주익,엄주명,엄복동,엄항섭,엄상섭,엄민영,엄병학,엄정주,엄기표,엄영달,엄앵란,엄삼탁,엄낙용,엄태항,엄기영,엄호성,엄기학,엄홍길,엄현성,엄용수,엄태준,엄동환,엄기두,엄기준,엄정화,엄지원,엄지인,엄홍식,순헌황귀비 |
| 인구(2015년) | 140,206명 |
| 비고 | 영월 엄씨 대종회 |
영월 엄씨(寧越嚴氏)는강원특별자치도영월군을 본관으로 하는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신라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고려조에엄수안(嚴守安)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1]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11세엄유온(嚴有溫)이 조선의 개국공신으로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역임하였고, 그의 증손녀가 성종의 후궁인귀인 엄씨이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하였다. 16세엄흔(嚴昕)이 중종 때 홍문관전한(典翰)을 지냈고, 엄흔의 현손인엄집(嚴緝)은 숙종 때우참찬(右參贊)에 이르렀다.엄집의 손자엄숙(嚴璹)이 영조 때대사헌(大司憲)에 올랐고, 엄숙의 손자엄도(嚴燾)는 순조 때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하였다. 25세엄석정(嚴錫鼎)은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엄진삼(嚴鎭三)의 딸이 고종 후궁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가 되었고, 엄귀비의 아들이 황태자가 된영친왕(英親王)이다.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 석(錫) | 口영(永) | 주(柱) | 口섭(燮) | 재(在) 익(翼) 기(基) | 口용(鎔) 口호(鎬) 口현(鉉) | 태(泰) | 口상(相) 口식(植) | 희(熙) | 口배(培) | 선(善) | 口수(洙) | 동(東) 병(柄) | 口훈(勳) 口묵(默) | 규(奎) | 口강(鋼) 口현(鉉) | 낙(洛) | 口표(杓) | 환(煥) | 口준(埈) | 일(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