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천군 漣川郡 | |
|---|---|
연천군청 | |
연천군의 위치 | |
| 행정 | |
| 국가 | 대한민국 |
| 행정 구역 | 2읍, 8면 |
| 청사 소재지 | 경기도 연천군연천읍 연천로220 |
| 단체장 | 김덕현(국민의힘) |
| 국회의원 | 김성원(국민의힘,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1]) |
| 지리 | |
| 면적 | 676.32km2 |
| 인문 | |
| 인구 | 42,725명 (2022년 2월년) |
| 세대 | 22,002세대 (2021[2]년) |
| 상징 | |
| 나무 | 느티나무 |
| 꽃 | 개나리 |
| 새 | 두루미 |
| 지역 부호 | |
| 웹사이트 | https://www.yeoncheon.go.kr/www/index.do |
연천군(漣川郡)은대한민국경기도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는군이다. 참고로 연천군 중에서도 옛삭녕군 지역이 경기도 최북단에 해당된다. 동쪽은포천시와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남쪽은동두천시,양주시,파주시와 접하며, 서쪽은군사분계선을 끼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개성시장풍군, 북쪽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강원도철원군과 경계를 이룬다. 군청 소재지는연천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8면이다.
인구는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 4만 3824명으로경기도의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적다. 군의 남부에 위치해 있고서울과 연결되는 교통이 비교적 편리한전곡읍에 군 전체 인구의 43.7%가 거주하고 있다.
| 부령 제111호 |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 연천군 남면(南面) | 군남면 | 삼거리, 선곡리, 옥계리, 왕림리, 진상리 |
| 마전군 화진면(禾津面) | 남계리, 황지리 | |
| 마전군 장신면(長新面) | 백학면 | 갈현리, 두현리, 백령리 |
| 마전군 하신면(河新面) | 구미리, 노곡리, 두일리, 전동리, 통구리, 학곡리 | |
| 연천군관인면(官仁面) | 관인면 | 냉정리, 부곡리, 사정리, 삼율리, 중리, 초과리, 탄동리 |
| 연천군 군내면(郡內面) | 군내면 | 고문리, 동막리, 읍내리, 차탄리, 통현리 |
| 연천군 동면(東面) | 상리, 옥산리, 와초리, 현가리 | |
| 연천군 북면(北面) | 중면 | |
| 왕징면 | 강내리, 강서리 | |
| 마전군 북면(北面) | 노동리, 동중리, 무등리, 북삼리 | |
| 마전군 강신면(江新面) | 고왕리, 고잔상리, 고잔하리, 기곡리 | |
| 마전군 서면(西面) | 작동리 | |
| 미산면 | 광동리, 석장리 | |
| 마전군 동면(東面) | 백석리, 우정리, 유촌리 | |
| 마전군 군내면(郡內面) | 동이리, 마전리, 아미리 | |
| 적성면 | 삼화리 | |
| 장단군 고남면(古南面) | 장좌리 | |
| 적성군 동면(東面) | 가월리, 객현리, 구읍리, 늘목리, 마지리, 설마리, 두지리, 어유지리, 율포리, 장현리, 적암리, 주월리 | |
| 적성군 서면(西面) | 답곡리, 무건리, 식현리, 자장리, 장파리 | |
| 적성군 남면(南面) | 남면 | 경신리, 구암리, 두곡리, 매곡리, 상수리, 신산리, 신암리, 입암리, 한산리, 황방리 |
| 양주군 영근면(嶺斤面) | 영근면 | 간파리, 고능리, 신답리, 마포리, 양원리, 은대리, 전곡리 |
| 신 행정구역 |
|---|
| 연천군 연천면, 군남면, 관인면, 미산면(파주군 적성면 삼화리 편입), 전곡면, 왕징면(서남면의수복지구,장단군 강상면[10][11] 편입), 중면(삭녕면의수복지구 편입), 백학면(장단군 대강면, 장도면의수복지구, 장남면 판부리 편입) |
| 대통령령 제11027호 |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관인면 일원 | 포천군 관인면 일원 |
|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대전리·장탄리·궁평리·백의리 | 연천군 청산면 일원 |
| 포천군 청산면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 | 포천군신북면 일부 |
연천군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96리 616반이다. 연천군의 인구는2019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4만3824 명, 2만1630 가구이고,[20] 면적은 676.32 km2(경기도 내 5위)로,서울의 1.1배이다.[21]1982년에는 인구가 68,144명에 달하였다.전곡읍(43.7%)·연천읍(18.3%)·청산면(9.1%) 등경원선이 지나는 동남부 3개 읍·면에 전체 인구의 71.2%가 거주하고 있다.
삭녕면(朔寧面)과서남면(西南面)은군사분계선 이북에 있다.1954년11월 17일 삭녕면의수복지구(도연·어적산·적음리)가중면에, 서남면의수복지구(고장리)가왕징면에 각각 편입되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1952년 12월 위 지역을 모두강원도철원군에 편입시켰다가,1961년 3월임진강을 경계로 그 서쪽인 서남면 지역을황해북도장풍군(경기도장단군의 후신)에 이관하였다.
|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 연천읍 | 漣川邑 | 112.38 | 8,036 | 4,010 |
| 전곡읍 | 全谷邑 | 55.2 | 19,181 | 8,488 |
| 군남면 | 郡南面 | 45.63 | 3,328 | 1,750 |
| 청산면 | 靑山面 | 43.72 | 4,012 | 2,320 |
| 백학면 | 百鶴面 | 61.27 | 2,674 | 1,369 |
| 미산면 | 嵋山面 | 40.9 | 1,757 | 959 |
| 왕징면 | 旺澄面 | 85.9 | 1,045 | 567 |
| 신서면 | 新西面 | 131.81 | 2,853 | 1,706 |
| 중면 | 中面 | 95.03 | 202 | 110 |
| 장남면 | 長南面 | 56.17 | 736 | 351 |
| 연천군 | 漣川郡 | 676.32 | 43,824 | 21,630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장남면은 본래장단군에 속했는데,1989년4월 1일 면을 복구하고 면사무소가 설치되었음에도이북5도위원회에서는 형식적으로 장단군 장남면장을 임명하고 있다.[22] 반면, 연천군 삭녕면과 서남면은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지만 이들 2개 면의 면장은 따로 임명하고 있지 않다.
군사분계선 이북의 2개 면이 관할하는 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1954년11월 17일 삭녕면의수복지구(도연·어적산·적음리)가중면에, 서남면의수복지구(고장리)가왕징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 면 | 리(里) | 리의 수 | 비고 |
|---|---|---|---|
| 삭녕면(朔寧面) | 삭녕¹(朔寧), 도연(陶淵), 어적산(漁積山), 적음(笛音), 진곡(辰谷), 적동산(積洞山), 대사(大寺), 여척(餘尺), 고마(古馬), 상마산(上馬山) | 10 | 도연·어적산·적음리 중면에 편입 |
| 서남면(西南面) | 귀존¹(貴存), 고장(古莊), 오탄(伍炭), 가천(佳川), 냉정(冷井), 장학(獐鶴), 솔현(率賢), 석둔(席屯) | 8 | 고장리 왕징면에 편입 |
¹: 옛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1952년 12월 위 지역을 모두강원도철원군에 편입시켰다가,1961년 3월임진강을 경계로 그 서쪽인 서남면 지역을황해북도장풍군(경기도장단군의 후신)에 이관하였다.
연천군의 인구는2017년12월 31일 기준으로 45,431명이며,인구 밀도는 67명/km2이다.2017년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3.5%, 65세 이상 인구는 20%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0%로 전국평균 70%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19%로 전국 평균인 20%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30%로 전국 평균인 1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9.93로 남자가 다소 많다.[23] 한편 2015년 기준 상주인구는 42,318명이고 주간인구는 44,315명으로 상주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5,668명, 유출인구는 3,205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88명, 유출인구는 268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2,000명으로 조금 더 많다.[24]
| 연도 | 총인구 | |
|---|---|---|
| 1966년 | 69,859명 | |
| 1970년 | 60,617명 | |
| 1975년 | 67,289명 | |
| 1980년 | 67,037명 | |
| 1985년 | 64,851명 | |
| 1990년 | 61,280명 | |
| 1995년 | 52,060명 | |
| 2000년 | 48,915명 | |
| 2005년 | 41,300명 | |
| 2010년 | 41,295명 | |
| 2015년 | 43,846명 |
2014년 연천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3,397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0.3%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81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568명으로 19.2%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0,648명으로 79.5%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3.8%), 도소매업(13.7%)과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8.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5]
| 문화관광 | 주소 | |
|---|---|---|
| 군자산 | 군남면 삼거리 | |
| 고대산 | 신서면 대광리 | |
| 망곡산 | 연천읍 차탄리 | |
| 열두개울 | 청산면 초성리 | |
| 역고드름 | 신서면 대광리 산173 | |
| 임진강유원지 | 군남면 | |
| 동막골 유원지 | 연천읍 동내로636-2 | |
| 재인폭포 | 연천읍 고문리산21 | |
| 동이리주상절리 | 미산면 동이리67-1 | |
| 호로고루성지 | 장남면 원당리 1257-1 | |
| 경순왕릉 | 장남면 고랑포리 산18-2 | |
| 숭의전 | 미산면 숭의전로 382-27 | |
| 북삼리 허브빌리지 | 왕징면 북삼로 20 |
DMZ안보관광
| 안보관광 | 주소 | |
|---|---|---|
| 태풍전망대 | 중면 횡산리 | |
| 열쇠전망대 | 신서면 마전리 | |
| 승전op | 장남면 | |
| 1.21침투로 | 장남면 반정리294 | |
| 상승op | 백학면 | |
| 임진강평화습지원 | 중면 횡산리 243 |
| 축제행사 | 행사장 | 날짜 |
|---|---|---|
| 연천군민의날 | 연천공설운동장 | |
| 읍,면민의날행사 | 읍,면 행사장 | |
| 연천전곡리구석기축제 | 선사유적지 | 5월 |
| 농특산물큰장터 | 선사유적지 | 10월 |
| 연천군고려인삼축제 | 선사유적지 | 10월 |
| 구석기겨울여행 | 선사유적지 | 1월~2월 |
| 시장 | 날짜 | 장소 |
|---|---|---|
| 전곡재래시장 | 전곡읍전곡리 | 전곡시내 |
| 전곡5일장 | 4일,9일 | 전곡시내 |
| 연천5일장 | 2일.7일 | 연천시내 |
| 백학5일장 | 3일,8일 | 백학시내 |
| 대광리 | 1일,6일 | 대광리농협앞 |
|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
| 상리초등학교 | 연천읍 상리로 70 | |
| 연천초등학교 | 연천읍 연천로 228 | |
| 군남초등학교 | 군남면 진상17길46 | |
| 화진초등학교 | 군남면 청정로2289 | |
| 왕산초등학교 | 미산면 왕산로 15 | |
| 백학초등학교 | 백학면 백학로40번길23 | |
| 노곡초등학교 | 백학면 진목로26 | |
| 전곡초등학교 | 전곡읍 선사로433 | |
| 은대초등학교 | 전곡읍 은대로210 | |
| 초성초등학교 | 청산면 학담로104 | |
| 궁평초등학교 | 청산면 궁평로45번길52 | |
| 백의초등학교 | 청산면 청창로726번길 38 | |
| 대광초등학교 | 신서면 연신로1127-1 |
|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
| 대광중학교 | 신서면 구시울길 23 | |
| 연천중학교 | 연천읍 연천로336번길 13 | |
| 군남중학교 | 군남면 진상17길 46 | |
| 전곡중학교 | 전곡읍 전은길 21 | |
| 백학중학교 | 백학면 두일로 79 | |
| 청산중학교 | 청산면 아우라지길 13-32 |
| 학교명 | 주소 | |
|---|---|---|
| 연천고등학교 | 연천읍 연천로336번길 13 | |
| 전곡고등학교 | 전곡읍 전은길9-89 | |
| 화요일아침예술학교 | 전곡읍 양원로 268번길106-125 |
남북으로경원선 철도가 관통하여 북쪽으로는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남쪽으로는경기도동두천시와 통한다.2023년12월 16일에수도권 전철 1호선이연천역까지 개통했으며, 현재 운행 중이다. 현재 경원선 통근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있다. 기존의 간이역청산역은 이전되고한탄강역은 폐역이 된다.
직장경기부
| 지역 & 국가 | 도시 | ||
|---|---|---|---|
| 서울특별시 | |||
| 바이에른주 | 호프군 | ||
| 팜데일시 | |||
| 니가타현 | 시바타시 | ||
| 산둥성(山东省) | 쩌우청시(邹城市) | ||
| 이무스시 |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장풍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철원군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 ![]() |
| 경기도 파주시 | 경기도 동두천시 | 경기도 포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