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검색

연천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거구에 대해서는연천군 (선거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천군
漣川郡
연천군청
연천군청
연천군의 위치
연천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2, 8
청사 소재지경기도 연천군연천읍 연천로220
단체장김덕현(국민의힘)
국회의원김성원(국민의힘,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1])
지리
면적676.32km2
인문
인구42,725명 (2022년 2월년)
세대22,002세대 (2021[2]년)
상징
나무느티나무
개나리
두루미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s://www.yeoncheon.go.kr/www/index.do

연천군(漣川郡)은대한민국경기도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는이다. 참고로 연천군 중에서도 옛삭녕군 지역이 경기도 최북단에 해당된다. 동쪽은포천시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남쪽은동두천시,양주시,파주시와 접하며, 서쪽은군사분계선을 끼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개성시장풍군, 북쪽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강원도철원군과 경계를 이룬다. 군청 소재지는연천읍이고, 행정구역은 2읍 8면이다.

인구는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 4만 3824명으로경기도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적다. 군의 남부에 위치해 있고서울과 연결되는 교통이 비교적 편리한전곡읍에 군 전체 인구의 43.7%가 거주하고 있다.

역사

[편집]
Daedongyeojido (Gyujanggak) 12-03.jpg
 공성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연천군 남면(南面)군남면삼거리, 선곡리, 옥계리, 왕림리, 진상리
마전군 화진면(禾津面)남계리, 황지리
마전군 장신면(長新面)백학면갈현리, 두현리, 백령리
마전군 하신면(河新面)구미리, 노곡리, 두일리, 전동리, 통구리, 학곡리
연천군관인면(官仁面)관인면냉정리, 부곡리, 사정리, 삼율리, 중리, 초과리, 탄동리
연천군 군내면(郡內面)군내면고문리, 동막리, 읍내리, 차탄리, 통현리
연천군 동면(東面)상리, 옥산리, 와초리, 현가리
연천군 북면(北面)중면
왕징면강내리, 강서리
마전군 북면(北面)노동리, 동중리, 무등리, 북삼리
마전군 강신면(江新面)고왕리, 고잔상리, 고잔하리, 기곡리
마전군 서면(西面)작동리
미산면광동리, 석장리
마전군 동면(東面)백석리, 우정리, 유촌리
마전군 군내면(郡內面)동이리, 마전리, 아미리
적성면삼화리
장단군 고남면(古南面)장좌리
적성군 동면(東面)가월리, 객현리, 구읍리, 늘목리, 마지리, 설마리, 두지리, 어유지리, 율포리, 장현리, 적암리, 주월리
적성군 서면(西面)답곡리, 무건리, 식현리, 자장리, 장파리
적성군 남면(南面)남면경신리, 구암리, 두곡리, 매곡리, 상수리, 신산리, 신암리, 입암리, 한산리, 황방리
양주군 영근면(嶺斤面)영근면간파리, 고능리, 신답리, 마포리, 양원리, 은대리, 전곡리
13면 - 군내면, 군남면, 중면, 관인면, 왕징면, 미산면, 백학면, 적성면, 남면, 북면, 동면, 서남면, 영근면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연천군 적성면 및 전곡면과백학면38선 이남 지역파주군적성면
연천군 남면파주군 남면(→1946년2월 5일양주군으로 이관)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연천군 연천면, 군남면, 관인면, 미산면(파주군 적성면 삼화리 편입), 전곡면, 왕징면(서남면의수복지구,장단군 강상면[10][11] 편입),
중면(삭녕면의수복지구 편입), 백학면(장단군 대강면, 장도면의수복지구, 장남면 판부리 편입)
법률 제1178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강원도철원군 신서면(인목면의수복지구 포함)연천군신서면
장단군장남면연천군백학면 일부
파주군적성면 늘목리연천군전곡면 늘목리
대통령령 제11027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관인면 일원포천군 관인면 일원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대전리·장탄리·궁평리·백의리연천군 청산면 일원
포천군 청산면 삼정리·갈월리·금동리·덕둔리포천군신북면 일부

행정 구역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연천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연천군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96리 616반이다. 연천군의 인구는2019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4만3824 명, 2만1630 가구이고,[20] 면적은 676.32 km2(경기도 내 5위)로,서울의 1.1배이다.[21]1982년에는 인구가 68,144명에 달하였다.전곡읍(43.7%)·연천읍(18.3%)·청산면(9.1%) 등경원선이 지나는 동남부 3개 읍·면에 전체 인구의 71.2%가 거주하고 있다.

삭녕면(朔寧面)과서남면(西南面)은군사분계선 이북에 있다.1954년11월 17일 삭녕면의수복지구(도연·어적산·적음리)가중면에, 서남면의수복지구(고장리)가왕징면에 각각 편입되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52년 12월 위 지역을 모두강원도철원군에 편입시켰다가,1961년 3월임진강을 경계로 그 서쪽인 서남면 지역을황해북도장풍군(경기도장단군의 후신)에 이관하였다.

읍·면한자면적
(km2)
인구세대
연천읍漣川邑112.388,0364,010
전곡읍全谷邑55.219,1818,488
군남면郡南面45.633,3281,750
청산면靑山面43.724,0122,320
백학면百鶴面61.272,6741,369
미산면嵋山面40.91,757959
왕징면旺澄面85.91,045567
신서면新西面131.812,8531,706
중면中面95.03202110
장남면長南面56.17736351
연천군漣川郡676.3243,82421,630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장남면은 본래장단군에 속했는데,1989년4월 1일 면을 복구하고 면사무소가 설치되었음에도이북5도위원회에서는 형식적으로 장단군 장남면장을 임명하고 있다.[22] 반면, 연천군 삭녕면과 서남면은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지만 이들 2개 면의 면장은 따로 임명하고 있지 않다.

군사분계선 이북의 면

[편집]
 삭녕군연천군 §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군사분계선 이북의 2개 면이 관할하는 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1954년11월 17일 삭녕면의수복지구(도연·어적산·적음리)가중면에, 서남면의수복지구(고장리)가왕징면에 각각 편입되었다.

리(里)리의 수비고
삭녕면(朔寧面)삭녕¹(朔寧), 도연(陶淵), 어적산(漁積山), 적음(笛音), 진곡(辰谷), 적동산(積洞山),
대사(大寺), 여척(餘尺), 고마(古馬), 상마산(上馬山)
10도연·어적산·적음리
중면에 편입
서남면(西南面)귀존¹(貴存), 고장(古莊), 오탄(伍炭), 가천(佳川), 냉정(冷井), 장학(獐鶴), 솔현(率賢),
석둔(席屯)
8고장리
왕징면에 편입

¹: 옛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52년 12월 위 지역을 모두강원도철원군에 편입시켰다가,1961년 3월임진강을 경계로 그 서쪽인 서남면 지역을황해북도장풍군(경기도장단군의 후신)에 이관하였다.

인구

[편집]

연천군의 인구는2017년12월 31일 기준으로 45,431명이며,인구 밀도는 67명/km2이다.2017년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3.5%, 65세 이상 인구는 20%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0%로 전국평균 70%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19%로 전국 평균인 20%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30%로 전국 평균인 1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9.93로 남자가 다소 많다.[23] 한편 2015년 기준 상주인구는 42,318명이고 주간인구는 44,315명으로 상주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5,668명, 유출인구는 3,205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88명, 유출인구는 268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2,000명으로 조금 더 많다.[24]

연천군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총인구
1966년69,859명
1970년60,617명
1975년67,289명
1980년67,037명
1985년64,851명
1990년61,280명
1995년52,060명
2000년48,915명
2005년41,300명
2010년41,295명
2015년43,846명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14년 연천군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13,397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0.3%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81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2,568명으로 19.2%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0,648명으로 79.5%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3.8%), 도소매업(13.7%)과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8.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5]

슬로건

[편집]
  • 1기 : 한반도의중심 로하스연천
  • 2기 : 통일심장 한국의중심 미라클연천
  • 3기 : 좋은사람들의평화도시 HI❤연천

문화,안보관광

[편집]

문화 관광

[편집]
  • 문화관광
문화관광주소
군자산군남면 삼거리
고대산신서면 대광리
망곡산연천읍 차탄리
열두개울청산면 초성리
역고드름신서면 대광리 산173
임진강유원지군남면
동막골 유원지연천읍 동내로636-2
재인폭포연천읍 고문리산21
동이리주상절리미산면 동이리67-1
호로고루성지장남면 원당리 1257-1
경순왕릉장남면 고랑포리 산18-2
숭의전미산면 숭의전로 382-27
북삼리 허브빌리지왕징면 북삼로 20

DMZ안보관광

안보관광주소
태풍전망대중면 횡산리
열쇠전망대신서면 마전리
승전op장남면
1.21침투로장남면 반정리294
상승op백학면
임진강평화습지원중면 횡산리 243

축제 행사

[편집]
축제행사행사장날짜
연천군민의날연천공설운동장
읍,면민의날행사읍,면 행사장
연천전곡리구석기축제선사유적지5월
농특산물큰장터선사유적지10월
연천군고려인삼축제선사유적지10월
구석기겨울여행선사유적지1월~2월

재래시장

[편집]
시장날짜장소
전곡재래시장전곡읍전곡리전곡시내
전곡5일장4일,9일전곡시내
연천5일장2일.7일연천시내
백학5일장3일,8일백학시내
대광리1일,6일대광리농협앞

교육기관

[편집]
 경기도연천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초등학교

[편집]
학교명주소학급수
상리초등학교연천읍 상리로 70
연천초등학교연천읍 연천로 228
군남초등학교군남면 진상17길46
화진초등학교군남면 청정로2289
왕산초등학교미산면 왕산로 15
백학초등학교백학면 백학로40번길23
노곡초등학교백학면 진목로26
전곡초등학교전곡읍 선사로433
은대초등학교전곡읍 은대로210
초성초등학교청산면 학담로104
궁평초등학교청산면 궁평로45번길52
백의초등학교청산면 청창로726번길 38
대광초등학교신서면 연신로1127-1

중학교

[편집]
학교명주소학급수
대광중학교신서면 구시울길 23
연천중학교연천읍 연천로336번길 13
군남중학교군남면 진상17길 46
전곡중학교전곡읍 전은길 21
백학중학교백학면 두일로 79
청산중학교청산면 아우라지길 13-32

고등학교

[편집]
학교명주소
연천고등학교연천읍 연천로336번길 13
전곡고등학교전곡읍 전은길9-89
화요일아침예술학교전곡읍 양원로 268번길106-125

의료기관

[편집]

관공서

[편집]
  • 의정부지방법원 연천군법원
  • 의정부지방법원 연천군등기소
  • 연천우체국
  • 연천소방서
  • 연천경찰서
  • 한국전력공사 연천지사
  • 한국수자원공사 연천포천권지사
  • 케이티 전곡지사
  • 한국농어촌공사 연천포천지사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연천지사
  • NH농협은행 연천군지부
  • 국민은행 전곡지점
  • 새마을금고 전곡지점

유관기관, 산하기관

[편집]

문화센터

[편집]
  • 연천군통일평생교육원
  • 연천군주민자치센터
  • 연천군노인복지관
  • 연천서부권노인복지관
  • 연천군종합복지관
  • 연천군청소년수련관
  • 연천문화원

교통

[편집]
연천교통에서 운행하고 있는 연천 39-2번 버스

도로

[편집]

철도

[편집]

남북으로경원선 철도가 관통하여 북쪽으로는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남쪽으로는경기도동두천시와 통한다.2023년12월 16일수도권 전철 1호선연천역까지 개통했으며, 현재 운행 중이다. 현재 경원선 통근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있다. 기존의 간이역청산역은 이전되고한탄강역은 폐역이 된다.

버스

[편집]

스포츠

[편집]

사이클

[편집]

직장경기부

사건

[편집]

자매도시

[편집]
지역 & 국가도시
대한민국의 기대한민국경기도안양시
서울특별시동대문구
독일의 기독일바이에른주호프군
미국의 기미국캘리포니아주팜데일시
일본의 기일본니가타현시바타시
중국의 기중국산둥성(山东省)쩌우청시(邹城市)
필리핀의 기필리핀이무스시

군수

[편집]
 연천군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천군수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양주시 남면, 은현면,동두천시,연천군 일원 해당.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4.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5. 포천군 외4군면 폐합에 관한 건
  6.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12월 29일)
  7.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동아일보, 1937.12.16.
  8.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11월 3일)
  9.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10월 21일)
  10. 장단군 강상면은 면 전체가군사분계선 북서쪽의 미수복지구임을 간과한 입법임.(출처 :한국 전쟁 휴전협정 첨부 지도보관됨 2022-04-11 -웨이백 머신7쪽보관됨 2017-08-08 -웨이백 머신6쪽보관됨 2017-08-09 -웨이백 머신, 2017년 8월 9일 확인.)
  11. 장단군 지도 (1945년 8월 15일)보관됨 2016-03-17 -웨이백 머신 민족문화대백과, 2017년 7월 14일 확인.
  12.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11월 21일)
  13. 군조례 제111호 (1965년4월 30일)
  14.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4월 7일)
  15.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1월 10일)
  16.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년9월 26일)
  17. 대통령령 제12007호
  18. 대통령령 제12557호
  19. 군조례 제2026호 (1989년3월 30일)
  20.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0년 5월 26일 확인.
  21. 기본현황보관됨 2020-09-19 -웨이백 머신 연천군청 홈페이지, 2017년 3월 30일 확인.
  22. 미수복 경기>기구>장단군보관됨 2017-08-09 -웨이백 머신 이북5도위원회, 2017년 8월 10일 확인.
  23. 연천군 기본현황보관됨 2018-02-24 -웨이백 머신, 2017년 기본현황 xlsx 자료
  24.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7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5.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연천군 주제와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장풍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철원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경기도 연천군    
경기도 파주시경기도 동두천시경기도 포천시
도청소재지: 수원시, 의정부시
  • 군청소재지: 연천읍
전거 통제: 지리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연천군&oldid=39894311"
분류:
숨은 분류: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