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학에서는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대한민국 기상청은 여름의 시작을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20°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로 정의하며, 나흘 전부터 나흘 후까지 9일 동안의 평균 기온이 이틀 연속 유지될 때를 기준으로 한다.[1][2][3][4][5][6][7]
음력 5월, 곧 여름을 달리 부르는 말로주하(朱夏)가 있으며, 곧 여름이 되어 번창한다는 뜻의주명(朱明)으로도 부른다. 이 밖에도 매월(梅月), 훈풍(薰風), 하오(夏五), 포월(蒲月), 중하(仲夏), 주양(朱陽), 조염(早炎), 유화(榴花), 유열(榴烈), 유빈(蕤賓), 오월(午月), 순화(鶉火), 명조(鳴蜩), 매하(梅夏), 매천(梅天), 매우(梅雨), 구월(姤月), 고월(皐月), 매자우(梅子雨), 매림(梅林), 화풍(和風)이라고도 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여름의 시작일을 9일간 일평균 기온의 평균값이20°C 이상으로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은 첫날로 정의한다.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30년 단위, 10년 단위 평균 여름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1][2][3][4][5][6][7]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3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12년 ~ 1940년
6월 11일 ~ 9월 16일
98일
26.8%
2
1921년 ~ 1950년
6월 11일 ~ 9월 17일
99일
27.1%
3
1931년 ~ 1960년
6월 12일 ~ 9월 19일
100일
27.4%
4
1941년 ~ 1970년
6월 12일 ~ 9월 20일
101일
27.7%
5
1951년 ~ 1980년
6월 10일 ~ 9월 21일
104일
28.5%
6
1961년 ~ 1990년
6월 7일 ~ 9월 21일
107일
29.3%
7
1971년 ~ 2000년
6월 4일 ~ 9월 22일
111일
30.4%
8
1981년 ~ 2010년
6월 2일 ~ 9월 23일
114일
31.2%
9
1991년 ~ 2020년
5월 31일 ~ 9월 25일
118일
32.3%
서울의 3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11년 ~ 1940년
6월 9일 ~ 9월 14일
98일
26.8%
2
1921년 ~ 1950년
6월 9일 ~ 9월 15일
99일
27.1%
3
1931년 ~ 1960년
6월 11일 ~ 9월 16일
98일
26.8%
4
1941년 ~ 1970년
6월 10일 ~ 9월 18일
101일
27.7%
5
1951년 ~ 1980년
6월 9일 ~ 9월 18일
102일
27.9%
6
1961년 ~ 1990년
6월 5일 ~ 9월 19일
107일
29.3%
7
1971년 ~ 2000년
6월 2일 ~ 9월 20일
111일
30.4%
8
1981년 ~ 2010년
5월 30일 ~ 9월 22일
116일
31.8%
9
1991년 ~ 2020년
5월 27일 ~ 9월 24일
121일
33.2%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1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