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킴두는 농업의 신이며,[1] "둑과 수로의 신"으로도 불렸다.[2] 또다른 메소포타미아의 신 목록 '안=아눔'에서는 "수로와 제방"의 신으로 루갈에파라라는 신이 등장하는데, 엔킴두의 또다른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3]아카드어로 작성된 신의 목록에서 엔킴두는나부의 경작인으로 등장한다.[4]엔비루루와 비교되기도 한다.[4]움마에서 숭배되었는데, 관개시설을 의인화한 신격으로 추정한다.[5]
니푸르에서 발굴된 두무지드와 엔킴두 이야기. 기원전 2천년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이스탄불에 위치.
엔킴두는 두무지드와 함께이난나에게 구애하는 내용의 신화인 〈엔킴두와 두무지드〉 이야기에서 나타난다.[1] 이 신화는 1944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가 다른 제목으로 출판하였다.[7] 뒤의 내용이 결손되어 처음에는이난나가 엔킴두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맺음될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이후 연구가 축적되며 이러한 해석은 폐기되었다.[7] 처음에 이난나의 동생우투는 그녀에게 두무지드를 선택하라고 재촉하지만, 이난나는 망설이고 선택하지 못한다.[8] 엔킴두는 자신이 지배하는 세력과 관련하여 그녀에게 줄 수 있는 선물들을 나열하고, 두무지드는 엔킴두의 말을 자신이 줄 수 있는 것들로 반박한다.[9] 엔킴두와 두무지드의 논쟁이 끝난 뒤에, 그들은 친구가 된다.[1] 여기서 엔킴두의 역할은 대체로 수동적인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10] 이 이야기의 마지막은 이난나에 대한 짧은 찬양으로 끝나는데, 이처럼 승자를 선택하는 맡은 신에 대한 찬양이 마지막에 삽입되는 것은 수메르 문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논쟁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11]
이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는 애가들에서는 두무지드 대신 마르투가 등장한다. 이는 양치기 등 목축의 신인 마르투를 농경의 신인 엔킴두와 비교하여 서술하기 위한 문학적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12] 제이콥 클라인은 두무지드가 엔킴두를 반박하며 이난나에게 구애하는 모습이 마르투가 누무슈다의 딸의 손을 잡고 싶어한다는 신화에서 마르투가 승리한 것 사이에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본다.[13]
시카고 대학의 근동 연구소에서 MASS(Modeling Ancient Settlement Systems; 고대 거주지 모델링 시스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한 시뮬레이션 엔진에 ENKIMDU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7] 이 엔진은아곤 국립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18] 기원전 4천년 말에서 3천년 사이의 고대 근동 사회의 발전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히 주요 작물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7]시리아의 텔 베이다르에 이 시뮬레이션이 처음으로 시행되었다.[17]
Klein, Jacob (1997). 〈The God Martu in Sumerian Literature〉. Finkel, I. L.; Geller, M. J. 《Sumerian Gods and their Representations》.ISBN978-90-56-93005-9.
Lambert, Wilfred G. (1987), 〈Lugal-epara〉, 《Reallexikon der Assyriologie》|확인날짜=는|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Vanstiphout, Herman L. J. (1997). 〈Why did Enki Organize the World?〉. Finkel, I. L.; Geller, M. J. 《Sumerian Gods and their Representations》.ISBN978-90-56-93005-9.